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채 발행제도의 개편방향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Bond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352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방채 발행제도의 개편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착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총액한도제의 발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두 번...

      본 연구는 지방채 발행제도의 개편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착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총액한도제의 발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두 번째는 지방채발행 등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장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총액한도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방채시장을 공공자금 중심에서 민간자금 중심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자금조달비용을 저감하면서 지방채시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BIS비율 산정시 위험가중치 하향조정, 총액한도 대상 지방채무 범위 확대 등 다양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그리고 적채단체 대상을 완화하여 기채자율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채자율권 확대에 대응하여 재정위기관리제도 도입을 적극 검토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상급정부의 경우 지방채무 총액한도만 규정하고 총액한도 이내에서 지방자치단체 기채자율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채단체 및 적채사업, 지방채무 발행조건 등은 금융기관(투자자)이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적채단체 및 지방채무 발행조건에 대한 정보는 신용평가기관이 생산ㆍ유통하여야 한다. 총액한도제에서 신용평가제도로 이행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채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반구축 수단으로서 신용평가제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fiscal policy in Korea traditionally emphasized the principle of sound finance, the local borrowing policy focuses on maintaining a sound fiscal operation. Based on this principle, it is required that local governments acquire the central gover...

      As the fiscal policy in Korea traditionally emphasized the principle of sound finance, the local borrowing policy focuses on maintaining a sound fiscal operation. Based on this principle, it is required that local governments acquire the central government's approval to issue bonds. The local borrowing system is regul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nature of projects and the repaying ability of local governments. While projects benefit the public and are reflected in the mid-term financial planning, issuing authorities should be capable of redeeming principle amount and interest. Also, the local bond market heavily relies on public funds, thus, crippling the market mechanism.
      But, the republic of Korea is trying to implement several reform with respect to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ne of the way of enhancing local public finance is to issue local bond based on its self-regulation. They will have autonomy in issuing bonds may lead to vulnerable finances overissue. Therefore, autonomy in issuing bonds should be controlled by pricing mechanism in capital market through private credit rating agenc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지방채 관련 논의
      • Ⅲ. 지방채의 현황과 문제점
      • Ⅳ. 지방채 발행제도의 개편방향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지방채 관련 논의
      • Ⅲ. 지방채의 현황과 문제점
      • Ⅳ. 지방채 발행제도의 개편방향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상경, "현대 지방재정론" 박영사 2002

      2 김동기, "한국지방재정학" 법문사 2003

      3 김정매, "한국의 지방채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6 (6): 135-154, 2001

      4 성지은, "지방채제도의 역사적 형성과 진화과정 분석" 43 (43): 163-194, 2005

      5 강태구, "지방채의 효율적 관리방안" 집문당 2003

      6 김제안, "지방채와 지역경제 발전에 관한 연구" 18 (18): 2223-2243, 2005

      7 조기현, "지방채시장의 재구축 : 신용평가의 유용성과 한계" 15 (15): 141-174, 2003

      8 김 렬, "지방채무 규제정책: 미국 주의 규제제도와 채무수준의 변화" 34 (34): 179-197, 2000

      9 조기현, "지방채무 관리정책으로서 신용평가제도의 유용성" 6 (6): 149-176, 2001

      10 박상우, "지방채 운용의 현안과 과제" 9 (9): 111-129, 1997

      1 전상경, "현대 지방재정론" 박영사 2002

      2 김동기, "한국지방재정학" 법문사 2003

      3 김정매, "한국의 지방채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6 (6): 135-154, 2001

      4 성지은, "지방채제도의 역사적 형성과 진화과정 분석" 43 (43): 163-194, 2005

      5 강태구, "지방채의 효율적 관리방안" 집문당 2003

      6 김제안, "지방채와 지역경제 발전에 관한 연구" 18 (18): 2223-2243, 2005

      7 조기현, "지방채시장의 재구축 : 신용평가의 유용성과 한계" 15 (15): 141-174, 2003

      8 김 렬, "지방채무 규제정책: 미국 주의 규제제도와 채무수준의 변화" 34 (34): 179-197, 2000

      9 조기현, "지방채무 관리정책으로서 신용평가제도의 유용성" 6 (6): 149-176, 2001

      10 박상우, "지방채 운용의 현안과 과제" 9 (9): 111-129, 1997

      11 이영조, "지방채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재정신용평가제도와 투자유인제도 도입검토" 9 (9): 809-827, 1997

      12 권찬태, "지방채 신용평가모형의 개발" 200-229, 2001

      13 조기현, "지방채 발행제도의 한계와 정책대응" 6 (6): 117-137, 2001

      14 주만수, "지방채 발행의 적정규모와 상환능력" 9 (9): 31-50, 2004

      15 강태구, "지방채 공채비의 효율적 관리방안" 14 (14): 1-25, 2002

      16 이정훈, "지방정부의 지방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32 : 139-167, 2003

      17 이재원, "지방정부의 전략적 재원동원방안으로서 지방채활용과제" (창간) : 79-100, 1996

      18 김종순, "지방재정확충을 위한 지방채제도의 개편방향" 28 (28): 1339-1352, 1994

      19 손희준, "지방재정론" 대영문화사 2005

      20 이용환, "지방분권화시대의 경기도 지방채 발행과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경기개발연구원 2003

      21 이효, "재정위기에 대비한 지방채 운용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8

      22 조기현, "재정분권화와 지방채정책의 설계" 17 (17): 277-302, 2003

      23 조기현, "재정분권화와 지방채정책의 발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3

      24 김렬, "자치단체 채무수준의 변화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14 (14): 173-191, 2002

      25 김동욱, "자본시장을 통한 지방채 신용평가제도 도입에 대한 고찰" 9 (9): 169-187, 2005

      26 정창영, "우리나라 지방채시장 활성화 과제와 전략" 19 : 251-284, 1996

      27 김규영, "미국의 지방채시장 활성화와 지방자치제 발전에 관한 연구" 5 (5): 75-103, 1999

      28 고성삼, "국세와 지방세의 합리적 배분과 지방자치단체의 신용평가에 관한 연구" 6 (6): 39-66, 2005

      29 Bahl, Roy, "Urban Public Finance in Developing Countr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30 Prud'homme, R?y, "The dangers of decentralization" 10 : 201-220, 1995

      31 Samir EI Daher, "The building blocks of a sound local government finance system" World Bank Infrastructure Notes FM-8e 2001

      32 Moody's, "Subnational Government: A Rating Agency Perspective, Special Report" 1998

      33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Subnational Government Bailouts in OECD Countries: Four Case Studies" Working Paper 2000

      34 Poterba, James M., "State reponses to fiscal crisis: The effect of budgetary institutions and politics" 102 : 799-821, 1994

      35 Poterba, James, "State fiscal institutions and the municipal bond market in Fiscal institutions and fiscal perform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36 Moody's, "Moody's US Municipal Bond Rating Scale, Special Comment"

      37 Tanzi, V., "Fiscal fedealism and decentralization : A Review of some efficiency and macroeconomic aspects" The World Bank 295-316, 1996

      38 Bird, Richard, "Fiscal decentralization: from command to market" The World Bank Working Paper 1995

      39 Wildasin, David E., "Fiscal aspects of evolving federations: issues for policy and research"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1884-, 1998

      40 Inman, Robert, "Designing tax policies in federalist economies: An overview" 60 : 307-334, 1996

      41 Litvack, Jennie, "Decentralization:Rethinking Government, World Development Report 1999/2000" The World Bank 107-124, 2000

      42 Ter-Minassian Teresa, "Control of Subnational Government Borrowing in Fiscal Federalism in Theory and Practice" IMF 1997

      43 Bohn, H., "Constitutional limits and public deficits: evidence from the U.S. states" Carnegie-Rochester Conference Series on Public Policy 1995

      44 Carlsen, F., "Central Regulation of Local Government Borrowing; A Game-Theoritical Approach" 12 : 213-224, 1994

      45 Grewal, Bhajan S., "Australian Loab Council: Arrangement and Experience with Bailouts"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Working Paper 397-, 2000

      46 Albert Breton, "An introduction to decentralization failure" Internatinal Centre for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2001

      47 Leigland James, "Accelerating Municipal Bond Market Development in Emerging Economics ; An Assessment of Strategies and Progress, Center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rach Triangle Institute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13 1.257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