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terminants of induced abortion among Korean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375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 요인에 관한 주요 가설들을 검증함으로써 우리나라 여성들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 요인에 관한 주요 가설들을 검증함으로써 우리나라 여성들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임신·출산요인, 그리고, 가치관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실태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임신력 조사에서 1998년부터 조사시점까지의 총 임신회수 1,901회를 사용하였으며, 결정요인 분석을 위한 가설 검정에서는 임신중인 건수 289회(15.2%)를 제외한 1,612건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기술적인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여성의 각 요인별 임신, 출산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로짓분석을 통하여 각 결정요인들의 유의성을 통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으로 사회, 경제적 요인으로 부인의 교육수준이 전문대이상일 경우 인공임신중절의 확률이 낮아졌으며, 현재 취업여부도 인공임신중절의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여성의 종교는 유의한 결정요인이 아닌 것으로 파악되었다. 임신, 출산 요인의 경우, 1998년에서 2000년도까지의 임신종결 연도가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 1998년도의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다른 연도에 비해 높았던 것을 확인하였다. 임신당시 자녀의 수가 2인 이상인 경우, 원하지 않은 임신일 경우 인공임신중절의 확률이 높아졌다. 임신당시 자녀의 수와 원하지 않은 임신의 여부는 인공임신중절을 결정하는데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들의 여부는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가치관 요인에서 성감별후 태아가 여아인 경우 인공임신중절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예방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연구들이 임신, 출산요인과 가치관 요인만을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으로 분석하고자 한 반면, 본 연구는 부인과 남편의 사회, 경제적 요인을 분석에 포함하여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향후 우리나라 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들을 측정하여 요인들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임신 중이었던 결과들을 분석에 포함하여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을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eterminants of induced abortion among Korean women concerning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the women's fertility, and family values. Data from the 2000 Korea National Fertility Survey by Korea Instit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eterminants of induced abortion among Korean women concerning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the women's fertility, and family values.
      Data from the 2000 Korea National Fertility Survey by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for the research. In particular, the women's fertility history from 1998 to 2000 was served as the main data for this study. There were 1,901 pregnancies in total and 1,612 pregnant outcom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289(15.2%) cases of the pregnant status.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e results of pregnanci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t factors on determining induced abortion were found by Chi-square analysis. Finally, Logit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induced abor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men's high educational level was the significant factor reducing the probability of induced abortion. Women in the job market currently had the high probability to terminate their pregnancy by induced abortion. Relig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induced abortion in Korea. The year of pregnant outcomes from 1998 to 2000 showed the strong relation with induced abortions, which implied the social impact on women's fertility.Second, pregnancy with more than 2 children or unwanted pregnanc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induced abortion and, there was a strong interaction between number of children at the time of conception and intention of the conception. However, number of son did not affect the choice of induced abortion from this study.
      Third, women objecting to induced abortion as the method of selecting male child had the less probability of determining induced abortion comparing to the others.
      Based on these results, to develop the prevention strategies and the effective family planning policy for induced abortion in Korea this study could serve as a baseline inform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요약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 배경 = 1
      • 2. 연구목적 = 3
      • 목차
      • 국문요약 = ⅳ
      • Ⅰ. 서론 = 1
      • 1. 연구 배경 = 1
      • 2. 연구목적 = 3
      • 3. 용어의 정의 = 4
      • Ⅱ. 문헌고찰 = 5
      • 1. 인공임신중절 - A Global Health Problem = 5
      • 2. 인공임신중절의 결정 요인 = 11
      • 가. 사회 경제적 요인 = 13
      • 나. 임신 출산 요인 = 15
      • 다. 가치관 요인= 16
      • Ⅲ. 연구방법 = 18
      • 1. 연구의 틀 = 18
      • 2. 연구가설 = 19
      • 가. 사회 경제적 요인을 변수로 하는 가설 = 19
      • 나. 임신 출산 요인을 변수로 하는 가설 = 20
      • 다. 가치관을 변수로 하는 가설 = 22
      • 3. 연구자료 및 분석 = 23
      • 가. 연구자료 = 23
      • 나. 연구에 사용되는 변수의 내용 = 24
      • 다. 분석방법 = 28
      • Ⅳ. 연구결과 = 29
      • 1. 연구변수의 기술적 통계 = 29
      • 가. 사회 경제적 변수의 기술적 통계 = 29
      • 나. 임신 출산관련 변수의 기술적 통계 = 33
      • 다. 가치관 변수의 기술적 통계 = 35
      • 2. 연구변수와 인공임신중절과의 관계 = 36
      • 가. 사회 경제적 변수와 인공임신중절과의 관계 = 36
      • 나. 임신 출산관련 변수와 인공임신중절과의 관계 = 38
      • 다. 가치관 변수와 인공임신중절과의 관계 = 40
      • 3. 로짓 분석을 통한 가설검정 = 41
      • 가. 로짓분석 = 41
      • 나. 가설검정 = 46
      • Ⅴ. 고찰 = 50
      • 1.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 50
      • 2.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 51
      • Ⅵ. 결론 = 55
      • 참고문헌 = 58
      • ABSTRACT =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