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70년대 이후 부산 용호동 정책이주마을 연립주택의 주생활과 주공간의 변화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47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책이주마을의 주택들을 대상으로 과거 약 40여 년간의 생활상과 주거공간의 변화 양샹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으를 통해 정책이주마을의 형성시기에서부터 경제적 안정기와 ...

      본 연구는 정책이주마을의 주택들을 대상으로 과거 약 40여 년간의 생활상과 주거공간의 변화 양샹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으를 통해 정책이주마을의 형성시기에서부터 경제적 안정기와 현재에 이르는 시대상과 가족의 변화에 따라 전개되는 주거공간의 변화과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주민들의 소요 거주공간 확보를 위해 변용 및 대응하는 양상의 특징 즉, 부족한 주거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공간으로 확장시켜 공간적으로 대응한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 외에도 단독주택 이 외에 경제적인 이유에서 단독주택에 셋집이나 점포를 확보해 겸용주택으로 변경한 사례를 추가로 조사해 주생활(住生活) 공간에 나타난 변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concerning on changing residential space of enforced migrant residential housing area for migration refugees in the early 1970s, Busan.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Dedicated on-site investigation for possible cooperation reside...



      This research is concerning on changing residential space of enforced migrant residential housing area for migration refugees in the early 1970s, Busan.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Dedicated on-site investigation for possible cooperation residents housing 25 households, conducted the actual survey residents wrote the actual fig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enlargement size is 34.79∼67.84㎡, currently the average area per generation after enlargement was enlarged about 1.5 times the initial move appeared to 50.33㎡. Second, the public space is from 3K type 2∼3L-K, 2∼4L-DK, 2∼3LDK to appeared in various aspects. The average floor area of the room is a private area of two generations(8/25 generation) 50.26㎡, total floor area of the room with three generations(17/25), and there was little variety in the same area as level as a flat 50.63㎡. Thirdly, in the concrete support filled(infilled) with a variety of structures is a space with a flat construction spatial and differentiation in various forms by small spatial units, which develop properties and derive a time series floor plan various in the representation a comprehensively analyz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부산 정책이주지 마을과 용호동 정책이주마을
      • 2.1 부산 정책이주마을
      • 2.2 용호동 정책이주마을 2층4호 연립단지의 특성
      • Abstract
      • 1. 서론
      • 2. 부산 정책이주지 마을과 용호동 정책이주마을
      • 2.1 부산 정책이주마을
      • 2.2 용호동 정책이주마을 2층4호 연립단지의 특성
      • 3. 용호동 2층4호 연립주택의 평면변화 특성
      • 3.1 단독주택 주거공간의 변화
      • 3.2 다가구형 주택 주거공간의 변화
      • 3.3 주거현황 및 특성
      • 3.4 주거유형별 통시적 변화 특성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암, "집합주택 단위평면 유형의 고정화 현상에 관한 연구(Ⅲ) - 민간, 주공, 시영 아파트의 분석비교-" 1992

      2 강무길, "부산지역 정책이주지 형성과 주거변화 특성 : 반여·반송·용호지역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3 권영민, "부산시 도시거주지의 변천과정 및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4 신용재, "공적 제안주택 거주자의 주의식에 관한 연구; 부산시 용호동 2층조 4호 연립주택을 중심으로" 1994

      5 장성준, "공영주택의 형태적 특성과 주민에 의한 변용" 1986

      6 崔聖吉, "政策移住地域의 住居實態와 住居環境改善에 관한 住民意識 : 釜山市 龍湖2·4洞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行政大學院 1993

      1 김수암, "집합주택 단위평면 유형의 고정화 현상에 관한 연구(Ⅲ) - 민간, 주공, 시영 아파트의 분석비교-" 1992

      2 강무길, "부산지역 정책이주지 형성과 주거변화 특성 : 반여·반송·용호지역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3 권영민, "부산시 도시거주지의 변천과정 및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1

      4 신용재, "공적 제안주택 거주자의 주의식에 관한 연구; 부산시 용호동 2층조 4호 연립주택을 중심으로" 1994

      5 장성준, "공영주택의 형태적 특성과 주민에 의한 변용" 1986

      6 崔聖吉, "政策移住地域의 住居實態와 住居環境改善에 관한 住民意識 : 釜山市 龍湖2·4洞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行政大學院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