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실존주의 집단상담 적용 =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tress of family caregivers with demented elderly : using existential group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1011

      • 저자
      • 발행사항

        안양 :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86 판사항(6)

      • DDC

        616.8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 149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동열
        권말부록: 연구의 소개 ; 연구 참여 동의서 ; 연구 윤리 서약서
        참고문헌: 장 129-142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의학기술의 발달과 경제성장은 인간의 평균수명을 늘려 인구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노령화로 노년층의 인구와 치매유병률의 급격한 상승은 심각한...

      의학기술의 발달과 경제성장은 인간의 평균수명을 늘려 인구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노령화로 노년층의 인구와 치매유병률의 급격한 상승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치매노인의 부양은 보편적 삶과는 다른 방식이며 관계적 측면에서 새로운 문화적 실존관계가 얽힌 세계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심리적 문제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를 떠나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실존의 이해를 위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Giorgi의 방법을 기반으로 치매노인 부양가족이 경험한 스트레스 현상을 실존주의 집단상담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는 데 그 의의를 둔다. 연구 문제는 “첫째, 부양가족의 심리 정서적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둘째, 부양가족의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셋째, 부양가족의 시간 의존적 스트레스는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6년 3월부터 2018년 5월까지이며 실존주의 집단상담은 2017년 10월부터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치매노인과 동거 또는 다른 사람이 대신하지 않는 주 부양자로 부양대상인 치매노인의 유병기간이 최
      소 1년 이상이며, 이전에 유사한 연구 참여 경험이 없는 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존주의 집단상담 과정을 통해 도출한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에 대한 심층적 진술을 실존철학 기반의 Giorgi 연구방법 4단계를 적용하여, 실존적 자기 인식 경험의 결과로서 93개의 의미단위와 11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첫째, 치매노인 부양가족은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과 본인의 도덕적 심리 상황이 상충함에 따라 불안과 책임, 고립, 무의미함에 대한 정서적 스트레스를 겪었다. 치매노인 주 부양자는 가족관계에서 오는 의무감에 의한 부양과정에서 죄책감, 자기비난, 수치심, 낮은 자기 효능감, 우울과 절망 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였다.
      둘째, 치매노인을 돌보는 과정에서 부양가족은 현실에서 소외와 고립에 직면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기의 실존적 존재감 상실로 인한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스트레스는 치매노인 주 부양자에게 자기결정권인 자율·관계·능력에 대한 욕구 불만, 돌봐야 하는 직계가족의 삶의 질 저하, 자녀에 대한 양육 의무 소홀 등으로 인한 자책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자책감과 치매노인에 대한 잠재된 불만은 치매노인의 행동심리증상으로 인해 행동이나 감정으로 표출되기도 하였다.
      셋째, 치매노인의 특성상 높은 의존도로 인하여 부양가족이 24시간 치매노인 관찰과 돌봄 행위로 인해 시간 의존적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주 부양자는 이러한 스트레스 경험을 통해 개인에게 주어진 시간에 대한 권리의 박탈감을 느끼게 되고, 이는 부양자에게 심리 정서적·심리 사회적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실존적 자기를 망각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실존주의 집단상담을 적용하여 치매노인 부양가족이 겪는 스트레스 현상을 도출함으로써 그들의 고통을 이해하고, 자신의 아픔을 스스로 표현하지 못하는 부양자들의 마음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매노인과 부양가족에게 치료적 지원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치매노인의 지원뿐만 아니라 부양가족들의 자조적 집단상담 활동이 활성화되어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둔 우리 사회가 보다 건강해지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 문제 …………………………………………………………………3
      • 3. 용어의 정의……………………………………………………………… 4
      • 4. 연구의 한계점……………………………………………………………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 문제 …………………………………………………………………3
      • 3. 용어의 정의……………………………………………………………… 4
      • 4. 연구의 한계점……………………………………………………………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치매노인에 대한 이해 ………………………………………………… 6
      • 2. 치매노인 부양가족에 대한 이해………………………………………14
      • 3. 부양 스트레스의 이해 …………………………………………………18
      • 4. 실존주의 집단상담 이론 ………………………………………………25
      • 5. 선행연구………………………………………………………………… 32
      • Ⅲ. 연구방법 ………………………………………………………………35
      • 1.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이해……………………………………………35
      • 2. 연구 과정…………………………………………………………………45
      • Ⅳ. 연구 결과 ………………………………………………………………57
      • 1.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심리 정서적 스트레스에 관한 경험 ………57
      • 2.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에 관한 경험 ………73
      • 3.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시간 의존적 스트레스에 관한 경험 ………88
      • Ⅴ. 논의 …………………………………………………………………… 96
      • 1. 연구 참여자의 상황 구조적 기술 ……………………………………96
      • ii
      • 2. 심리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한 구조적 기술………………………102
      • 3.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구조적 기술………………………110
      • 4. 시간 의존적 스트레스에 대한 구조적 기술………………………118
      • Ⅵ. 결론 및 제언 ………………………………………………………124
      • 1. 요약 및 결론 …………………………………………………………124
      • 2. 연구의 함의……………………………………………………………125
      • 3.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128
      • 참고문헌 ……………………………………………………………………129
      • ABSTRACT ……………………………………………………………………143
      • 부록……………………………………………………………………………1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