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폐교의 활용방안 연구 :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39945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53.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Creative Use of Closed School as Multi-Cultural Complex: Focused on the case of KT&G Sangsangmadang Nonsan

      • 형태사항

        vii, 63장: 삽화;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광철
        참고문헌 : 59-60장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999, based on the legislation of the act called A Special Law for the Encouragement for the Use of Assets of Closed Schools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he momentum for a variety of uses of the assets of closed schools was initiated. It has bee...

      In 1999, based on the legislation of the act called A Special Law for the Encouragement for the Use of Assets of Closed Schools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he momentum for a variety of uses of the assets of closed schools was initiated. It has been reinforced by the recent amendment that changed the suggested use of a closed school to a cultural space from the exclusive use as educational space.
      Many local and regional governments in Korea have developed various plans for "the creative use of closed schools" in their areas recognizing that it could be an efficient solution to the request of cultural enjoyment,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inspiration from their own residents. The redefinition of the closed schools as a cultural facility from the limited conception for the educational and social welfare and the revision on the authority entitled to manage the assets of a closed school enabled us to assess the potential of its re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mense possibility for closed schools as a multi-cultural complex where there are various arts disciplines in one spot by looking into some cases that illustrate a distinctive space composition and programming strategies.
      My point is that the "mixed-use strategy" for the use of the closed schools deserves to be examined; the complex may include social, economic and leisure related contents as well as cultural activities, by which the space itself would become the core living space for its regional life.
      By containing a wide variety of programs such as cultural creation, exhibition, participation by the people, education, day-to-day living space, and local community center in one complex, a closed school will be redeveloped as a multi-cultural center. Such a center will provide the residents with the possibility to enjoy themselves in one complex without going somewhere outside the region meanwhile encouraging them to participate in many programs that the center offers.
      The comprehensive use of the space contributes to the quality life for the local residents. To illustrate, the major expectations for the center from visitors fall into the following three realms: cultural activities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rts and visual arts; educational programs and an archive information system; offerings of space for meetings and film screening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constituents to take only the above mentioned cultural programs. What I point out is that the facilities and programs for leisure and entertain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public.
      In this respect, I tried to find out more potential for the redevelopment of closed schools by doing some research on the case of KT&G Sangsangmadang, Nonsan. Sangsangmadang Nonsan used to be an elementary school called Hancheon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established as "suburban cultural space" as part of the efforts for the creation of the social value and improvement of local infrastructure by the KT&G. By providing the community-oriented education and th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Sangsangmadang Nonsan positions itself as an essential venue for the creative education while increasing more platforms for domestic artists. The ultimate goal of the complex, therefore, is a unique cultural complex where the people enjoy culture breathing in the nature.
      As a good example of a multi-cultural complex, KT&G Sangsangmadang Nonsan offers cultural space to the public, supports various cultural disciplines, which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the positive corporate image with the regional cultural prosperity.
      In conclusion, a multi-cultural complex may broaden its perspective by taking the 'mixed-use' strategy as the cultural hub for a region; That is to say that by taking the strategy of containing various programs of exhibition, education, and leisure as well as performing arts, closed schools could be redeveloped as a cultural complex with a new concept and vis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 multi-cultural complex established at the corporate level may prove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which contributes to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among the people and the relevant compan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9년 제정된 ‘폐교재산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과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이 실시됨으로 폐교자산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

      1999년 제정된 ‘폐교재산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과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이 실시됨으로 폐교자산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또한 최근 개정된 법령을 보면, 본래 ’교육 공간‘으로 제한되어 있던 권장 활용 용도의 형태에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확대된 바 있다. 최근 들어 지방자치단체들은 문화공간으로서의 폐교 활용이 주민의 문화향유나 복지 및 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미 많은 폐교를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기존의 ‘교육용 시설, 사회복지시설’의 용도에서 ‘문화시설’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과 ‘폐교재산을 시․도 교육감에 권한을 이양한다’ 등을 포함한 개정된 법령으로 폐교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폐교가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성공적인 지역문화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복합 문화예술 공간이 단일화된 성격의 공간이 아닌 지역 내에서의 문화예술 공간인 동시에 사회, 경제, 여가 활동 공간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역 내에서 중요한 생활 중심공간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KT&G의 상상마당 논산의 폐교활용 사례는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부족한 문화예술 공간운영과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문화가치 창출,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를 확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를 통해 복합 문화예술 공간은 새로운 문화예술이 창조되는 공간으로 공연 뿐 아니라 전시, 교육, 휴식 기능 등의 다양한 문화적 기능을 포괄하는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소비자와 기업의 이익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발전과 문화예술분야의 발전을 위한 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폐교재산의 문화예술 공간 활용에 있어 단일문화 프로그램을 특성화 하여 지속성을 유지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창작․전시․체험․교육․생활문화 공간․지역 커뮤니티 센터의 역할 등 다양한 활동들을 한 곳의 장소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고 참여할 수 있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는 새로운 면모를 갖춘 공간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바란다.
      하나의 문화공간이 건립되어 안정적 운영과 특색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운영기반조성에 보편적으로 2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 다만, 복합 문화예술 공간 사례로 KT&G상상마당 논산이 운영시스템의 안정과 지역민을 위한 공간을 넘어 도시와 지역의 연결, 도시민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과 연구가 아직 미비하지만, 개관을 하고 4개월이 된 KT&G상상마당 논산으로 한정하여 연구한 것은 새로운 문화공간으로서 발전 가능성에 대한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과 방향은 폐교활용에 있어 문화공간에 대한 좀 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하며 문화예술의 대안적, 새로운 형식의 공간으로 발전가능성을 지속시키고자 함에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개요 1
      • Ⅱ. 폐교의 이론적 고찰 3
      • 1. 폐교의 생성원인과 현황 3
      • 2. 폐교의 사회적 환경과 배경의 특수성 6
      • Ⅰ. 서 론 1
      • 1. 연구개요 1
      • Ⅱ. 폐교의 이론적 고찰 3
      • 1. 폐교의 생성원인과 현황 3
      • 2. 폐교의 사회적 환경과 배경의 특수성 6
      • 3. 폐교의 문화공간 활용현황과 분석 7
      • Ⅲ.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KT&G상상마당 논산 사례 분석 13
      • 1.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폐교의 정의와 역할 13
      • 2. KT&G상상마당 논산 건립목적과 추진배경 15
      • 3. KT&G상상마당 논산 운영전략 및 방향성 수립 21
      • 4. 교육공간으로의 기획 22
      • 5. 문화공간으로의 기획 27
      • 6. 운영조직의 구성 40
      • 7. 행정관할 기관 협력체계 구축 42
      • 8.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간 구성 46
      • Ⅳ.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서 폐교 활성화 방안 55
      • 1. 운영자운영조직으로서 기업의 참여 55
      • 2. 지역의 수요조사를 통한 방향설정 56
      • 3. 행정관할 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56
      • 4. 폐교 매각의 운영사례 구축 57
      • 5.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57
      • Ⅴ. 결 론 58
      • 참고문헌 59
      • Abstract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