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簡牘文字의 書體硏究 : 隸變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Gan-Dok Characters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sith Ye-Be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16874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원광대학교 , 서예문화학과 , 2008. 2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41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i, 78p. ; 26cm

      • 소장기관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春秋戰國時代(춘추전국시대)로부터 漢代(한대)에 이르기까지 민간 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던 簡牘文字(간독문자)를 통해 문자 발전사에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의 형태를 ...

      본 연구는 春秋戰國時代(춘추전국시대)로부터 漢代(한대)에 이르기까지 민간 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던 簡牘文字(간독문자)를 통해 문자 발전사에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의 형태를 만드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한 획을 그었던 隸變(예변)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간독문자의 발굴기원 및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 고, 春秋戰國時期춘추전국시기), 秦時期(진시기), 漢時期(한시기)의 각 시기별 로 지금까지 발굴 발표되어진 간독 가운데 수량 · 내용 · 字迹 등 연구의 가치 가 높은 것으로 선정하여 그 書體(서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시대에 따라 어떠한 演變(연변)의 과정을 거쳐서 발전되었는지 살펴보고, 시 기에 따른 서체의 특징과 변화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예변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필연성과 예변의 규율을 도출해내어 간독과 예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춘추전국시기로부터 진 한 대에 이르는 간독문자의 서체를 통해 隸書(예서) 와 章草(장초)의 생성 및 완성 뿐 아니라 동시에 行書(행서) 및 楷書(해서)까 지도 싹트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것은 古文字(고문자)체계의 篆書體(전서체)가 古隸로 변화되는 과정 을 거쳐 今文字(금문자)체계인 예서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이 곧 예변이다. 이 예변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일 어났던 것으로, 예변은 여러 가지 규율을 가지고 있다.
      규범화된 문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인간의 심미추구라는 본성과 어우러져 八 分書體(팔분서체)를 탄생하게 하였다. 또한 한자의 자형은 타원형에서 偏方形 (편방형)으로, 다시 方塊(방괴)형태로 변화 발전한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예변의 기간은 춘추전국에서 한대에 이르기까지의 대략 500 여 년간이다. 이 오랜 기간 동안 예변을 가능하게 했던 핵심적인 요인이 간독 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러한 점이 이 논문에서 밝히고자한 내용 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Gan-Dok characters which were widely used in the private community from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to the Han dynasty, to find its relationship with Ye-Beon, which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forming...

      This study explores the Gan-Dok characters which were widely used in the private community from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to the Han dynasty, to find its relationship with Ye-Beon, which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type of Chinese characters used today.
      To do so, I first studied the original excav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an-Dok characters and of the excavated and reported Gan-Dok characters of each period of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the Qin, and the Han dynasties, I selected those of high academic value in terms of quantity · contents · characters's trace and so 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ligraphic style.
      I investigated the process of changes involved in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characters and 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each period.
      As a result, I found out why Ye-Beon was necessary and the regulations of Ye-Beon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Gan-Dok and Ye-Beon. I also knew that, through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Gan-Dok characters from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to the Qin and Han dynasties, not only was lishu(隸書) and zhangcao(章草) formed and completed, but even xingshu(行書) and kaishu(楷書) sprouted from this.
      As this signifies that zhuanshu(篆書) of ancient character system goe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into guli(古隸) and gives birth to the modern character system of lishu, this process is in fact called Ye-Beon. This Ye-Beon took place inevitably due to may complex factors and has many rules.
      As time passed, regulated calligraphy was combined with the human instinct of aesthetic pursuit to give birth to bafen(八分). Also, the character form of Chinese characters changed from oval through flat to square form.
      Ye-Beon, which was so important, took place over six hundred years from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to the Han dynasty. There is no doubt that Gan-Dok characters were what made Ye-Beon possible over such a long period of time. This is what this study wished to uncov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第一章 緖論 = 1
      • 第二章 簡牘資料의 槪況 = 4
      • 第一節 簡牘의 기원 및 특성 = 4
      • 第二節 簡牘文字의 발굴정황 및 연구범위 = 11
      • 第三節 簡牘文字의 분류와 그 내용 = 16
      • 第一章 緖論 = 1
      • 第二章 簡牘資料의 槪況 = 4
      • 第一節 簡牘의 기원 및 특성 = 4
      • 第二節 簡牘文字의 발굴정황 및 연구범위 = 11
      • 第三節 簡牘文字의 분류와 그 내용 = 16
      • 1. 분류(春秋戰國時代簡牘, 秦簡, 漢簡) = 16
      • 2. 내용((春秋戰國時代簡牘, 秦簡, 漢簡) = 21
      • 第三章 簡牘文字의 書體 = 30
      • 第一節 春秋戰國時代簡牘 서체 = 31
      • 第二節 秦簡 서체 = 41
      • 第三節 漢簡 서체 = 51
      • 第四章 簡牘文字와 隸變 = 60
      • 第一節 隸變의 必然性 = 60
      • 第二節 隸變의 規律 = 64
      • 第三節 簡牘과 隸變의 關係 = 67
      • 第五章 結論 = 71
      • 參考文獻 = 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