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뉴로피드백 훈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for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 훈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20명의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로 ...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 훈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20명의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로 배분하여 실험군은 작업치료와 뉴로피드백 훈련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작업치료와 전통적 인지치료를 적용하였다. 두 집단의 치료 전ㆍ후 LOTCA와 NCSE를 실시하여 인지기능을 비교하였고,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구체적 자기효능감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인지기능이 향상되었지만, 중재 후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뉴로피드백 훈련이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뉴로피드백 훈련이 작업치료와 함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임상에서 유용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for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wenty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 gro...

      To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for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wenty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 group consisting of ten and the control group also consisting of te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occupational therapy and neurofeedback training, control group applied occupational therapy and traditional cognitive therapy. The cognitive function of both groups was assessed using a LOTCA and NCSE, self-efficacy were compared by conducting the general, specific self-efficacy scale.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w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on cognitive function. But, there is after interven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w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on self efficacy. And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more improve than control group in self-efficacy. Therefore, neurofeedback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neurofeedback training in intervention would be useful in a clinical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with occupational therap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춘서, "호흡명상과 알파파명상이 뇌지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6

      2 김혜숙, "한방병원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과 자기효능감, 가족지지와의 관계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3

      3 김영근,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졸중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75-87, 2011

      4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11

      5 이희령, "한국 작업치료의 인지재활 실태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73-84, 2012

      6 백지영, "컴퓨터-보조프로그램의 특수접근과 수직적 접근이 뇌손상환자의 인지기능과 기능 회복에 미친 효과" 10 (10): 43-54, 2002

      7 이성아, "컴퓨터-보조인지프로그램이 뇌손상환자의 인지, 지각, 일상생활에미치는 효과" 9 (9): 123-133, 2001

      8 이정민,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0

      9 이정은, "중년여성의 피로와 스트레스 저항력 그리고 정서와의 관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1145-1150, 2011

      10 김수한, "전산화 인지재활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사회인지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77-91, 2013

      1 박춘서, "호흡명상과 알파파명상이 뇌지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6

      2 김혜숙, "한방병원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과 자기효능감, 가족지지와의 관계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3

      3 김영근,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졸중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75-87, 2011

      4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11

      5 이희령, "한국 작업치료의 인지재활 실태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 20 (20): 73-84, 2012

      6 백지영, "컴퓨터-보조프로그램의 특수접근과 수직적 접근이 뇌손상환자의 인지기능과 기능 회복에 미친 효과" 10 (10): 43-54, 2002

      7 이성아, "컴퓨터-보조인지프로그램이 뇌손상환자의 인지, 지각, 일상생활에미치는 효과" 9 (9): 123-133, 2001

      8 이정민,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0

      9 이정은, "중년여성의 피로와 스트레스 저항력 그리고 정서와의 관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1145-1150, 2011

      10 김수한, "전산화 인지재활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사회인지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77-91, 2013

      11 조영남, "전산화 인지재활이 뇌졸중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261-278, 2012

      12 김동희,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적용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97-216, 2013

      13 최승원, "전두엽 알파파 뉴로피드백의 우울증 치료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14 김진호,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2002

      15 김금순,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5주간의 자조관리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3 (3): 196-211, 2000

      16 권기창, "장애인의 고등교육 학습요인에 따른 학업성취도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6 (16): 123-138, 2011

      17 권재성, "작업치료사를 위한 인지재활과 치료" 퍼시픽북스 2008

      18 이종민,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대인관계 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 1 (1): 71-79, 2012

      19 김창윤,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의 임상적용을 위한 연구. 60세 이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33 : 1329-1341, 1994

      20 정진화, "신경되먹임 뇌파 훈련과 컴퓨터보조 인지 재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뇌파변화, 인지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1

      21 백기자, "시계열 선형 분석을 통한 뉴로피드백 훈련 전, 후의 주의력 결핍 성향과정서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4 (14): 43-60, 2007

      22 김용진, "문제풀이의 활동에서 뇌파 측정에 의한 두뇌 기능 상태의 평가" 28 (28): 291-301, 2000

      23 박인순,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뇌기능 최적화 연구 - 임상사례중심" 18 (18): 64-85, 2004

      24 정우식, "뉴로피드백(Neurofeedback)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3

      25 양혜련, "뉴로피드백 훈련이 회상기억과 재인기억에 미치는 효과" 한국감성과학회 13 (13): 647-658, 2010

      26 이문수, "뉴로피드백 훈련이 고등학생의 뇌 기능 변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1

      27 박광제, "뉴로피드백 훈련이 ADHD 아동의 주의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1 (1): 41-56, 2010

      28 노옥분, "뉴로피드백 훈련이 ADHD 아동의 부주의와 과잉행동/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397-418, 2011

      29 최윤식, "뉴로피드백 자기조절훈련을 통한 자기효능감 향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30 박병운, "뉴로피드백 입문" 정신과학연구소 2005

      31 권재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가정환경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 17 (17): 39-48, 2009

      32 정원미, "뇌손상 환자의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 소견" 7 (7): 1-16, 1999

      33 한영수, "뇌-컴퓨터-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암환자들의 전전두엽 뇌파 분석" 한국정보과학회 35 (35): 169-178, 2008

      34 유계준, "노인의 치매진단에 대한 한국어판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의타당성" 32 (32): 484-491, 1993

      35 권용철, "노인용 한국판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 제1편 MMSE-K의 개발" 28 (28): 125-135, 1989

      36 방요순, "과제 지향적 활동이 성인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15 (15): 49-62, 2007

      37 육진숙, "가정에서의 인지재활치료 지침서" 군자출판사 2006

      38 Adcock, R. A., "When top-down meets bottom-up : auditory training enhances verbal memory in schizophrenia" 35 (35): 1132-1141, 2009

      39 Thornton, K. E.,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 : QEEG biofeedback treatment protocols" 34 : 59-68, 2009

      40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 663-671, 1982

      41 Kiernan, R. J.,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 a brief but differentiated approach to cognitive assessment" 107 (107): 481-485, 1987

      42 Vernon, D., "The effect of training distinct neurofeedback protocols on aspects of cognitive performance" 47 : 75-85, 2003

      43 Salomon, G., "Television is"easy"and print is"tough" : the differential investment of mental effort in learning as a function of perceptions and attributions" 76 (76): 647-658, 1984

      44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45 Bandura, A., "Self-efficacy theor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46 Iyer, M. B., "Safety an cognitive effect of frontal DC brain polarization in healthy individuals" 64 (64): 872-875, 2005

      47 Pedretti, L. W.,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Mosby 2012

      48 Trombly, C. A.,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Williams & Wilkins 2008

      49 Rozell, G. R., "Neurotherapy for stroke rehabilitation : a single case study" 20 (20): 211-228, 1995

      50 Keller, I., "Neurofeedback therapy of attention deficit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5 (5): 19-32, 2001

      51 Folstein, M. F., "Mini-mental state : a practical method of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hildren" 12 (12): 189-198, 1975

      52 Gronwall, D. M., "Memory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after closed head injury" 44 : 889-895, 1981

      53 Katz, N.,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battery brain injured patient : reliability and validity" 43 : 184-192, 1989

      54 강태우, "ICF Tool을 적용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보행능력 증진을 위한 점진적 중재전략의 증례" 대한물리의학회 7 (7): 137-147, 2012

      55 Thornton, K. E., "Efficacy of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 : interventions of QEEG-guided biofeedback, computers, strategies, and medications" 33 : 101-124, 2008

      56 Wing, K., "Effect of neurofeedback on motor recovery of a patient with brain injury : a case study and its implications for stroke rehabilitation" 8 (8): 45-53, 2001

      57 Silver, J. M., "Depression and cognitive complaints following mild traumatic brain injury" 116 : 653-661, 2009

      58 Wood, R. L., "Cognitive rehabilitation in perspective" Taylor & Francis, Inc 1990

      59 Tinius, T. P., "Changes after EEG biofeedback and cognitive retraining in adults with mild traumatic brain injury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4 (4): 27-44, 2000

      60 박용광, "Beta-SMR 훈련을 이용한 뉴로피드백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2

      61 Williams, J., "10Hz flicker improves recognition memory in older people" 7 (7): 21-,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