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GSM/GPRS Phone 상에서 IPv6 지원을 위한 IP Security 의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P Security for supporting IPv6 on GSM/GPRS Ph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73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rowth of the Internet and the success of mobile wires networks leads to increasing need for supporting the security. The IPv6, a next generation internet protocol, defines the expansion header to support data integrity and data secret maintenance...

      The growth of the Internet and the success of mobile wires networks leads to increasing need for supporting the security. The IPv6, a next generation internet protocol, defines the expansion header to support data integrity and data secret maintenance. It also provides security services with built-in security function, IPsec. The IPSec provides essentially the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function, as well as the mechanism to defend the safe key exchange and key attack.
      In this thesis, we firstly studied the detail of IPv6 Security structure and model and technology trends of the IP security supported from the USAGI. Then we design and implement an IP security based on the Linux kernel 2.4 IPv6 Protocol Stack on the GSM/GPRS phone. We constructed a virtual IPv6 based wireless network to experiment the IP security implemented on the GMS Phone. The transport mode and the tunneling mode of our IP security were tested and the test results show that our IP security is applicableto the GSM phone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과 이동통신망의 활성화로 인하여 보안의 중요성은 갈수록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6는 인증,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기밀 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

      인터넷과 이동통신망의 활성화로 인하여 보안의 중요성은 갈수록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6는 인증,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기밀 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확장헤더를 정의하고 있으며, IPv4와는 달리 보안 기능을 기본으로 내장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IPSec은 암호와 인증기능을 필수적으로 제공하며, 동시에 안전한 키교환과 키공격 등을 방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USAGI 에서 지원하는 IPv6 Security 세부 구조와 모델, 동향을 고찰하고, GSM 폰 상에서 Linux kernel 2.4 IPv6 Protocol Stack 을 기반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폰 환경에 맞게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 Ⅱ. IPv6 Protocol Stack = 3
      • 2. 1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구조 = 3
      • 2. 2 IPv6 주소체계 = 5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 Ⅱ. IPv6 Protocol Stack = 3
      • 2. 1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구조 = 3
      • 2. 2 IPv6 주소체계 = 5
      • Ⅲ. IP Security = 7
      • Ⅳ. IPv6를 지원하는 IPSec 구현 = 14
      • 4. 1 전체 구성 = 14
      • 4. 2 IPSec Engine = 16
      • 4. 2. 1 File Description = 20
      • 4. 3 PF_Key, SPD, SAD = 21
      • 4. 3. 1 PF_Key 관련 메시지 = 23
      • 4. 3. 2 File Description = 25
      • 4. 3. 3 PF_Key 관련 API = 26
      • 4. 4 Key Engine = 27
      • Ⅴ. 실험 환경 및 결과 = 33
      • 5. 0 포팅 Flow 및 가상 테스트 = 33
      • 5. 0 1 Linux based IPSec테스트 및 검증 작업 = 34
      • 5. 0 2 Window based IPSec테스트 및 검증 작업 = 35
      • 5. 0 3 실제 GSM Phone based IPSec 포팅 작업 = 39
      • 5. 0 4 실제 GSM Phone based IPSec 포팅시 수정 사항 및 문제점 = 42
      • 5. 1 실험 환경 = 43
      • 5. 2 IPv6 Security 시나리오 및 결과 = 44
      • 5. 2. 1 IPSec 설정 및 Ping6 테스트 = 44
      • 5. 2. 2 테스트 결과 = 46
      • 5. 3 Packet 분석 = 47
      • 5. 3. 1 IPSec 설립 전, Ping6/UDP/TCP = 47
      • 5. 3. 2 IPSec 설립 후, Ping6/UDP/TCP = 49
      • Ⅵ. 결론 및 향후과제 = 42
      • 참고문헌 = 43
      • 부록 = 45
      • Abstract =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