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 Current State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research in Chungcheong Province and Future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4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역 전통의 정신문화는 곧 그 지역의 경쟁력과도 맞물려 있다. 선비들이 남긴 한문학 자료는 지역 정체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원이며 아직도 현대인의 몸과 삶 ...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역 전통의 정신문화는 곧 그 지역의 경쟁력과도 맞물려 있다. 선비들이 남긴 한문학 자료는 지역 정체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원이며 아직도 현대인의 몸과 삶 속에 면면히 배어있는 정신문화의 가장 근간이 된다.
      본고는 충청지역 한문학 자료와 연구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해보았다. 한문학 자료 현황을 살펴보면 근현대 문집은 대략 410여종으로 파악되었으며, 비지정 동산문화재는 수 만 건이었다. 이는 모두 귀중한 한문학 연구 자료이다.
      향후 연구과제는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했다. 첫째는 한문학 자료를 기반으로 충청지역 장소에 대한 연구이다. 장소에 대한 연구는 장소성, 장소생성방식, 장소감 세 측면에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지역학의 측면에서 한문학 작품을 통해 충청지역의 정체성을 밝히는 일이기도 하다.
      둘째는 충청지역 문집 분석 및 문인들의 관계망 연구이다. 문집분석은 예술적인 측면에서 문학성을 밝히고, 문학에 담긴 사상 즉 문학사상을 밝혀야 하며, 문집을 기반으로 작가의 사회관계망을 연구할 수 있다.
      셋째는 詩會, 詩社. 契會 등 문학 동호회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동호회의 자료가 수집되어야 하며, 자료를 기반으로 동호회에 대한 성격 및 참가자의 규모와 신분 등을 밝혀야 한다. 이는 동호회의 사회 관계망을 밝히기 위한 작업이기도 하다. 다음에는 시회를 비롯한 동호회의 운영방식과 시문의 기록을 분석하여 운영 실태와 작품의 내용에 대해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문희순, "호서지역 사대부가의 여성교육과 여성문인의 배출" 인문과학연구소 41 (41): 39-72, 2012

      2 성봉현, "충청 고문헌 자료의 성격과 연구 과제" 충남역사문화연구원·백록학회 2019

      3 박우훈, "충남지역의 한문학 연구" 동방한문학회 26 : 175-211, 2004

      4 이향배, "추강(秋江) 백낙관(白樂寬)의 위정척사활동 연구" 유학연구소 55 : 177-202, 2021

      5 허남욱, "지역학으로서의 한문학, 연구 범위와 전망" 한국한문고전학회 22 (22): 7-26, 2011

      6 이종호, "지역 한문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39) : 7-50, 2007

      7 이종묵, "지방화 시대 한문학 연구의 시각과 방향" 한민족어문학회 (45) : 39-56, 2004

      8 이병주, "조선후기의 尤庵宋時烈의 詩文學" 1996

      9 송기섭, "인간 존재의 외현과 내관-송인수의 한시에 대하여-" 16 : 2007

      10 임형택, "수당 이남규와 그의 주의에 대한 이해 - 근대 전환기의 한 대응논리-" 1 : 1999

      1 문희순, "호서지역 사대부가의 여성교육과 여성문인의 배출" 인문과학연구소 41 (41): 39-72, 2012

      2 성봉현, "충청 고문헌 자료의 성격과 연구 과제" 충남역사문화연구원·백록학회 2019

      3 박우훈, "충남지역의 한문학 연구" 동방한문학회 26 : 175-211, 2004

      4 이향배, "추강(秋江) 백낙관(白樂寬)의 위정척사활동 연구" 유학연구소 55 : 177-202, 2021

      5 허남욱, "지역학으로서의 한문학, 연구 범위와 전망" 한국한문고전학회 22 (22): 7-26, 2011

      6 이종호, "지역 한문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39) : 7-50, 2007

      7 이종묵, "지방화 시대 한문학 연구의 시각과 방향" 한민족어문학회 (45) : 39-56, 2004

      8 이병주, "조선후기의 尤庵宋時烈의 詩文學" 1996

      9 송기섭, "인간 존재의 외현과 내관-송인수의 한시에 대하여-" 16 : 2007

      10 임형택, "수당 이남규와 그의 주의에 대한 이해 - 근대 전환기의 한 대응논리-" 1 : 1999

      11 조동일, "세계·지방화시대의 한국학1(길을 찾으면서)" 계명대학교출판부 2005

      12 박우훈, "성암 이철영의 내범요람에 대하여" 15 : 1986

      13 박우훈, "성암 이철영의 내범교훈가 고" 25 : 1987

      14 장유승, "서북 지역 한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고전연구학회 (24) : 73-100, 2011

      15 이병혁, "목은 이색의 성리학적인 시세계" 10 : 1996

      16 이향배, "명재 윤증의 학문연원과 가학" 2006

      17 김선기, "근현대 대전 충남지역 한학가의 문헌연구" 2018

      18 박우훈, "근현대 대전 충남 지역의 한문학" 2018

      19 박우훈, "震澤 申光河의 <東遊紀行> 硏究" 어문연구학회 79 : 193-220, 2014

      20 이향배, "醉琴軒朴彭年의 文學思想" 13 : 2006

      21 劉永奉, "草廬 李惟泰의 詩世界" 한국한문학회 (31) : 167-201, 2003

      22 이향배, "草廬 李惟泰의 書簡에 나타난 출처사상" 한국사상문화학회 (35) : 213-242, 2006

      23 어강석, "稼亭 李穀의 在元期 詩에 나타난 交遊樣相과 精神的 葛藤" 한국한문학회 (45) : 303-329, 2010

      24 박우훈, "石北 申光洙의 散文世界" 인문과학연구소 33 (33): 47-70, 2006

      25 조종업, "益齋李齊賢의 중국기행시 연구" 5 : 1998

      26 원주용, "白文寶의 時代認識에 대한 對應과 文學" 동방한문학회 (44) : 7-30, 2010

      27 박우훈, "玄山李玄圭의 생애와 交遊" 30 : 2003

      28 이영휘 ; 송기섭, "淵齋 宋秉璿의 學脈과 作品世界" 어문연구학회 43 : 419-446, 2003

      29 辛承云, "成三問 文集의 편찬과 간행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317-340, 2002

      30 박우훈, "惺軒林翰周의 散文試考" 2016

      31 유예근, "忠淸山林의詩文硏究-17세기 충청 오현의 산림시를 중심으로" 43 :

      32 정만호, "地域 漢文學 硏究의 實相과 問題點" 한국한문학회 (39) : 51-83, 2007

      33 허권수, "圭菴宋麟壽의 선비정신과 詩世界" 13 : 2006

      34 정경훈, "同春堂 宋浚吉의 碑誌文攷" 한국사상문화학회 (32) : 7-27, 2006

      35 송준호, "儒學者詩에 있어서 그 한 典型에 대한 考察-愼獨齋金集의 詩를 中心으로-" 75 : 1996

      36 배규범, "14世紀 前半期 高麗 文人의 社會的 慾望 探求 — 稼亭 李穀을 中心으로 —" 온지학회 (56) : 9-40,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