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디어 패러다임 변화에 의한 지식디자인의 확장 연구 = A Study on Extension of Knowledge Design about Change of Media Paradig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34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디어는 인간의 지적 탐구와 새로운 정보의 습득을 가능케 하는 창구로서 다양한 정보자원의 수집과 배포, 발간 기능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창조하였고, 인간의 지적 욕구충...

      미디어는 인간의 지적 탐구와 새로운 정보의 습득을 가능케 하는 창구로서 다양한 정보자원의 수집과 배포, 발간 기능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창조하였고, 인간의 지적 욕구충족의 과정에서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인간에게 정보와 지식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기본적인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새로운 환경과 도전에 대응하는 방법론을 제공하고 있다.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인식 구조의 축으로 시공간의 궤적을 통해 새로운 가치체계의 틀에서 발견되며, 그 기술적, 방법론적 발전에 따라 미디어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의 인식은 이전의 미디어와의 관계로 대입하여 인지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시각에서 미디어의 변화된 구조를 이해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디자인 영역의 변화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구조는 시각디자인 영역에서 확장되어 디자인과 지식의 관계를 통해 확장된 디자인의 매개과정에서 기본적 아이디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가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과 디자인의 영역 확장의 관계에 대하여 진행되었다. 정보디자인의 영역 확장에서 출발한 지식디자인 영역은, 사회구조의 변화가 미디어의 확장과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결국 디자인의 영역 확장 또한 미디어의 패러다임 변화에 의해 반영되는 메타담론(meta discourse)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지식디자인은 광의의 범위에서 흩어진 자료와 정보의 가공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정보를 디자인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의 관점과 미디어의 진화심리학적 맥락에 의해 조망하게 되고 있으며, 미디어 패러다임의 영향에 의해 디자인의 영역과 수행방법론이 변화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dia is a tool that enables intellectual pursuit and information learning and therefore has created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changing role of collection and distribution, publication of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and in the course of...

      Media is a tool that enables intellectual pursuit and information learning and therefore has created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changing role of collection and distribution, publication of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and in the course of satisfying intellectual desire instigated changes in media paradigm. Information and knowledge have been used by the humankind as a basic tool to make them a true huma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methodology to respond to new environment and challenges. Extension in information design can be likened to media ecology in change in media paradigm where media evolves from static to dynamic medium activities.
      When looking into the changes in media, various technical medium including personal media, UCC, RSS, blog, widget and other types of Web 2.0 have surfaced as reasons that cause changes in socio-cultural media paradigm. As an axis of cognitive structure, changes in media paradigm are discovered in new value framework from time and space trajectory and its technological methodological development leads to changes in media. Such changes are not necessarily recognized as their relation with existing media; but from a completely fresh perspective changed structure of media can be understood based on which change in information design realm can be interpre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要約
      • Abstract
      • 1. 서론
      • 2.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
      • 3. 디자인의 확장과 경험과 지식
      • 要約
      • Abstract
      • 1. 서론
      • 2.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
      • 3. 디자인의 확장과 경험과 지식
      • 4. 지식디자인과미디어패러다임의변화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