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 활성화를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적용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nversion to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Local Economy Reviv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2907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 , 2018. 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25.2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76p. : 26cm

      • 일반주기명

        조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nversion to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Local Economy Revival
        지도교수:윤갑근
        참고문헌 : p.75-76

      • UCI식별코드

        I804:24011-000000037098

      • 소장기관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간에 흐름에 따라 생겨난 유휴산업시설의 배경을 고찰하고 유휴 산업시설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에 대해 분석 하고자 하며, 유휴 산업시설의 새로운 용도 부여를 통한 도시재생 실현가능 ...

      시간에 흐름에 따라 생겨난 유휴산업시설의 배경을 고찰하고 유휴 산업시설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에 대해 분석 하고자 하며, 유휴 산업시설의 새로운 용도 부여를 통한 도시재생 실현가능 방법으로 컨버전 디자인에 대해 알아본 후 키워드를 뽑아내어 문화시설로 변모한 유휴 산업시설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컨버전 디자인 특성 추출을 통해 종합한 자료들이 나아가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연구의 방법은 2차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흐름에 따라 사용되지 않게 된 유휴산업시설을 컨버전 디자인을 통한 사례공간을 대상으로 그 구체적인 특성표현(역사적 시간성, 상징성, 접근성, 장소적 통시성, 지속성) 활용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며 역사적 시간성에서는 시간의 흔적을 보존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였는지를 알아보고 장소적 통시성에서는 다른 일반적 공간과는 다른 차별성을 두고 구성되어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려 하며 접근성에서는 사용자들이 용이하며 해당 공간 주변에서의 문화적 접근이 가능하여 대중적인 인식하에 전환되는가에 대해서도 분석하려 한다. 상징성에서는 새로운 용도와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상징성을 생성하였는가와 기존 구조체의 노출을 통한 기존공간의 상징성을 나타냈는가에 분석하려 하며 지속성에서는 공간의 기존 용도를 사용하던 공간에서 프로그램의 변화를 주어 공간의 사용변화로서 과거·현재에서 미래까지도 지속적인 활용이 가능한가에 맞춰 분석하려 한다. 사례지의 범위로는 문화예술공간으로 변형 된 공간을 지정하여 분석하였고 나아가 지속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종합 분석을 통해 알아본 뒤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며 이에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휴 산업시설의 재생 시 국외의 경우 시간의 흐름을 활용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지역민들에게 역사적 시간성을 보여주었으며 새로운 상징성을 통한 랜드마크로서 자리 잡았으며 국내의 경우는 국외의 사례보다 비교적 외형적 혹은 구조를 보존함에 있어 그로 인한 과거의 간접적 체험 및 회상을 중점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용도의 변화를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음을 통해 컨버전 디자인을 적용했을 때 일반 재생과는 다른 차이점을 지니고 있는 공간들로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간 컨텐츠의 지속적인 변화 및 활용이 되어야 한다. 분석에 따르면 지속성은 건물의 외부와의 활용을 통해서 활성화를 촉진시킨다. 큰 건축물과 부지를 지니고 있는 건물에서는 프로그램의 변화 시 내·외부의 자유로운 활용에 따라 공간에 활성화를 더한다. 비교적 작은 공간으로 컨버전 디자인을 통해 재생된 금천 예술공장과 담빛 예술창고에서도 차이점이 나타나는데 이 또한 외부의 사용이 자유로움에 따라 프로그램의 변화를 다양하게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공간의 활용과 활성화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접근성은 장소적 통시성과의 연계를 가지고 서로 상호작용하는데 지역이 추구하는 정체성을 위해 발전이 될수록 공간 또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접근적으로 편리해지며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공간으로 지역의 문화적 공간 혹은 관광지가 많이 생기게 된다면 그에 따른 새로운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유휴산업시설이 지니고 있는 가치와 가능성을 활용해 재생했을 경우 일시적이고 단순한 물리적인 재생변화가 아닌 미래에도 잠재적 가치와 지속 활용을 통하기 위해 컨버전 디자인이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충분히 활용 가능한 유휴산업시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공간의 발전을 통한 흐름의 변화에 맞는 욕구를 충족시키려 한다.
      본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유휴산업시설이 지닌 가치와 특성을 활용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유휴산업시설이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는 경우 보다 나은 컨버전 디자인 작업이 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하려한다.
      그러나 문화예술공간 안에서도 다양한 목적행위가 분류되어있지 않고 동일한 행위들이 이루어지는 사례를 다수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여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특성의 표현과 차이점을 제안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세부적인 공간 분류를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at have emerged over time, to analyze urban regeneration us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understand conversion design as a method to realize urban regeneration t...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ackground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at have emerged over time, to analyze urban regeneration us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understand conversion design as a method to realize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new applic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make materials by extracting characteristics of conversion design through case studies that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transformed into cultural facilities, and to let them utilized as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which us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industry but it is not used anymore according to the trend. It was tried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history, symbolism, accessibility, locational diachrony and sustainability) through conversion design. In the historical time, it was tried to find out if competitiveness was secured through space utilization by preserving the trace of time.
      In the locational diachrony, it was tried to identify if interactions were promoted with differentiation from general spaces. In accessibility, it was tried to analyze whether users were able to easily access and culturally approach the space, and whether they were converted with public awareness. In symbolism, it was tried to analyze whether a new symbolism was c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new usages, and whether it represented the symbolism of existing space through exposure of exiting structures.
      In the sustainability, it was tried to analyze if the changes in the use of a space by changing programs could make the space used constantly from the past and the present to the future. The scope of the subject spaces were limited to the spaces which were converted to cultural and art spaces. It was tried to induce conclusion after the comprehensive analysis so that it could be reflected as a measure for continuous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generation of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overseas, they showed history of the space using the contents utilizing flow of time to local residents and they became landmarks through new symbolism. In domestic cases, they secured competitiveness focusing on indirect experience and recall of the past by preserving exterior structure more strictly.
      Second, as they have common change of uses, they should be able to have constant changes and utilization of the spatial contents according to time flow as spaces with difference from general regeneration. In a building with a large building area and land, the space cab be activated by the free use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with the program change. In Geumcheon Art Factory and Dambit Art Warehouse regenerated through conversion design as relatively small spaces, differences are shown. Depending on whether to use exterior of the building or not, the program can be varied and they may be difference in space utilization and activation.
      Third, accessibility, the spaces become more convenient and accessible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and if there are many cultural spaces or tourist attractions in the space with diverse identities, the mew area can be activated accordingly. Conversion design is required in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utilize their potential values and sustainability in the future rather than to make simple, temporal and physical regeneration. Although we have many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they are not regenerated well enough to satisfy the change of trends through development into the new space.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tried to present a method to apply conversion design when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were to be converted to cultural space utilizing their values and characteristics. There were limitations in suggesting the expressions and differences of specific and detailed characteristics as this study focused on the cases where the same activities were made without classification of detailed characteristics. Future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detailed spatial classifi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5
      • 제3절 연구의 흐름도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5
      • 제3절 연구의 흐름도 6
      • 제2장 이론적 고찰 7
      • 제1절 유휴 산업시설의 발생 및 현황 8
      • 가. 유휴 산업시설의 이해 8
      • 1) 유휴 산업시설의 개념 8
      • 2) 유휴 산업시설의 발생원인 및 현황 11
      • 3) 유휴 산업시설의 문제점 14
      • 나. 유휴 산업시설의 활용 16
      • 1) 유휴 산업시설의 활용성 16
      • 2) 유휴 산업시설의 재생적 의의 18
      • 3) 유휴 산업시설의 재생 방법 23
      • 제2절 유휴 산업시설에 나타난 컨버전 디자인 28
      • 가. 컨버전 디자인의 이해 28
      • 1) 컨버전 디자인의 개념 28
      • 2) 컨버전 디자인의 목적 30
      • 3) 컨버전 디자인의 표현특성 32
      • 나. 컨버전 디자인이 적용된 유휴 산업시설 36
      • 1)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디자인 정의 36
      • 2) 컨버전 디자인이 적용된 유휴산업시설의 활용 특성 37
      • 제3장 사례분석 42
      • 제1절 사례개요 43
      • 제2절 사례분석 44
      • 1) 발틱 현대미술관 46
      • 2) 홍방 50
      • 3) 인천 아트플랫폼 53
      • 4) 금천 예술공장 58
      • 5) 삼례 문화예술촌 61
      • 6) 담빛 예술창고 65
      • 제3절 종합분석 68
      • 제4장 결론 72
      • 참고문헌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