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쿨렐레연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6620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2014. 8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 of Ukulele Based Music Therapy on the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Mechanism for the Social Workers

      • 형태사항

        vii, 124 p.: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주풍
        참고문헌 : p.82-87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E시 J 장애인 거주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 중 연구목적에...

      본 연구는 음악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E시 J 장애인 거주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 중 연구목적에 동의하고 참여하기를 원하는 9명의 사회복지사들이며 단일 실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는 2013년 7월부터 6주간에 걸쳐 주 2회로 1회 60분씩 총 12회기로 시행하였고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우쿨렐레 연주를 중심으로 노래 부르기, 음악과 미술, 음악과 동작, 토의 등의 활동이 포함되었다. 우쿨렐레는 기타와 같은 발현악기로 기타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서 기타보다 배우기 쉬운 실용적인 악기이다.
      음악치료 결과 분석을 위한 평가 도구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척도(KOSS)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 척도(K-CSI)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에 실시한 후 t검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의 전체스트레스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p=0.008). 특히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환경(p=0.016), 직무요구(p=0.02), 직무자율성결여(p=0.366), 관계갈등(p=0.01
      9), 직무불안정(p=0.155), 조직체계(p=0.013)의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고,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서는 하위요인으로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p=0.045), 문제해결중심 대처(p=0.005)의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고, 회피 중심 대처는 근소하게 높았으나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본 연구 결과로 음악치료가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음악치료가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에 효과적인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ukulele-based music therapy on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mechanism for the social workers. Within a single experimental study design, nine social workers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and were assigned to a music therapy treatment group. The social workers were working at the J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people located in E city. The music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two days per week for six weeks starting from July of 2013, consisting of 12 sessions in total.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ukulele playing, including various activities, such as song singing, music and art, music and movements, and discussion. Ukulele is a string instrument and has every merit like guitar. It is easy to learn and a practical instrum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music therapy, this study utilized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 and Korean Coping Strategy Indicator (K-CSI). The outcome measurements were undertaken before and after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otal job stress fig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8). Especially, the figures of the job stress sub-factors: 1) job stress of physical environment(p=0.016), 2) job demand(p=0.020), 3) insufficient job control(p=0.366), 4) interpersonal conflict(p=0.019), 5) job insecurity(p=0.155), and 6) organizational system (p=0.366)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ddition, the figures of lack of reward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decreased but i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tress coping mechan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total figures of pursuit of social support seeking(p=0.045), and problem solving (p=0.005). Although the degree of figure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also some increase in the figure of avoidance based mechanism.
      This study shows that music therapy program reduces job stress and gives positive influences on coping mechanism against stress and it also indicates that music therapy could be a viable intervention in job stress reduction and stress coping mechan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문제 4
      • 제 3 절 용어정의 4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문제 4
      • 제 3 절 용어정의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 제 1 절 직무스트레스 6
      • 1. 직무스트레스 개념 및 특성 6
      • 2. 직무스트레스 요인 7
      • 3. 직무스트레스 반응 11
      • 4.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13
      • 제 2 절 스트레스 대처 17
      • 1. 스트레스 대처의 개념 17
      • 2. 직무스트레스 대처 20
      • 제 3 절 음악치료와 직무스트레스 22
      • 1. 음악치료 22
      • 2. 음악치료와 직무스트레스 33
      • 제 4 절 악기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34
      • 1. 악기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34
      • 2. 악기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선행연구 35
      • 제 5 절 우쿨렐레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39
      • 1. 우쿨렐레 39
      • 2. 우쿨렐레연주 중심의 음악치료 43
      • 제 3 장 연구방법 48
      • 제 1 절 연구대상 48
      • 제 2 절 연구도구 50
      • 1. 측정도구 50
      • 2.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56
      • 제 3 절 연구절차 62
      • 1. 사전검사 62
      • 2. 실험처치 63
      • 3. 사후검사 63
      • 제 4 절 자료분석 63
      • 제 4 장 연구결과 64
      • 제 1 절 우쿨렐레연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64
      • 제 2 절 우쿨렐레연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70
      • 제 5 장 논의 73
      • 제 1 절 우쿨렐레연주 중심의 음악치료를 통한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 73
      • 제 2 절 우쿨렐레연주 중심의 음악치료를 통한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향상 75
      • 제 6 장 결론 및 제언 79
      • 제 1 절 결론 79
      • 제 2 절 제언 80
      • 참고문헌 82
      • 부 록 88
      • Abstract 1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