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2337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04 p ; 26cm

      • 일반주기명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남숙
        참고문헌

      • UCI식별코드

        I804:11044-200000592055

      • 소장기관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평생교육·HRD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

      국문초록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평생교육·HRD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를 연구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원 학습경험 과정이 경력전환에 미치는 의미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기술하고 분석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의도적 표집 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8명을 선정하였으며, 대면·비대면 인터뷰를 2회 실시하였다. 인터뷰 전에 연구목적, 연구주제를 참여자들에게 설명하였으며 참여와 인터뷰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고 녹음을 진행하였다. 녹취록 작성 후 개방 코딩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코딩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첫째, 업무와 자신의 변화 필요성을 느낌, 둘째, 새로운 커리어를 추구함, 셋째, 현재 업무의 전문성을 키우기 바람, 넷째, 현재 업무에 도움을 얻고싶음 이렇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중년여성들은 엄마이자 아내이고 딸이며 며느리 역할을 하는 가정과 현재의 업무와 관련된 사회적 위치에서의 역할, 그리고 학업의 병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신체적 노화에 따른 체력의 한계와 시간의 제약도 힘든 점이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수업 등으로 참여자들은 대학원 적응이 힘들었지만 동기들, 교수와의 새로운 관계 맺음 속에서 학습 외적으로도 도움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는 자신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가족과 지인들의 지지 속에서 학업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중년여성들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가족의 지지와 학교의 교수자, 동기들과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중년여성들에게 대학원 과제와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었고 업무와 실생활에 적용하면서 그 힘듦이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졸업 후 석사학위라는 타이틀과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외부로부터의 인정, 본인의 높은 자신감 등을 기대한다. 강의 속 이론적으로 깊이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준비과정에서의 역량 강화는 현실 지향적인 중년여성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졸업 후 경력전환을 고려하거나 현 업무를 유지함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서 초기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가 바뀌어지기도 했다. 참여자들은 전문성을 더 키우고 깊이 있는 배움을 위해 박사과정 진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현재 업무를 유지하면서 분야와 대상의 확장을 계획하기도 하며, 취득한 자격증으로 새로운 곳으로 취업도 준비중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Graduate school Learning Experience on Career Transition Process Kim, Na Ri Major of Lifelong Education & H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

      ABSTRACT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Graduate school
      Learning Experience on Career Transition Process

      Kim, Na Ri
      Major of Lifelong Education & H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the career transformation proc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graduate courses? Second, how is the learning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process on career transforma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and the 8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contact & non-contact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wice.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and subjects of the study to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 and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y and record of the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fter the recorded tape is made,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 coding.
      First of all, the motives of middle-aged women were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related to the current career, necessity of current work's expansion, and seeking for a stable career.
      Middle-age women have been struggling with the gap between the family role as a mother, wife, daughter, and daughter-in-law and their role in the social position related to their current careers. They have had to take these roles while pursuing their studies. physical limits and restricted time became another difficulty.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y felt difficulty to adapting to the non-contact lectures in the exceptional situation called 'pandemic'. However, they answered that they felt a change from the new relationship with the class of the same semester and professors as well as their help. The support from family also helped them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answer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support from family and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professors help middle-aged women to carry on the course. For them, the preparation for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is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their abilities and they applied the results of the preparation to their work and real life. The difficulties they felt made a positive change i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expect high self-esteem and acknowledgment from outside with their master's degree and licenses related to their majors. Not only the thoughtful theoretical contents of the lectures but also the ability improvement from the prepar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ality-oriented middle-aged female learners.
      The participants have considered both career transformation and retainment of their careers from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Sometimes their early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graduate course have been changed. The participants showed themselves preparing to enter a doctoral progra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and learn more thoughtful content. Moreover, they planned the expansion of the area and target of their current work or prepared for the new employment with the licenses they ac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ⅴ
      • 영문초록 ⅶ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목 차
      • 국문초록 ⅴ
      • 영문초록 ⅶ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1.2 연구문제 6
      • 1.3 용어 정리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 2.1 중년여성의 경력전환 7
      • 2.1.1 중년여성 7
      • 2.1.2 경력전환 11
      • 2.1.3 경력전환 관련 선행연구 19
      • 2.2 중년여성의 학습경험 22
      • 2.2.1 학습경험 22
      • 2.2.2 학습경험 관련 선행연구 24
      • 제 3 장 연구방법 28
      • 3.1 질적 연구 28
      • 3.2 자료수집 30
      • 3.2.1 참여자 선정 및 섭외 30
      • 3.2.2 연구참여자 31
      • - ⅰ-
      • 3.2.3 인터뷰 34
      • 3.2.4 연구의 엄격성과 윤리적 고려 35
      • 3.3 자료분석 36
      • 제 4 장 연구결과 38
      • 4.1 개방 코딩의 결과 38
      • 4.2 현재의 경력 경험 41
      • 4.2.1 커리어의 가치 42
      • 4.2.2 프리랜서의 힘듦 44
      • 4.2.3 업무에 지침 45
      • 4.3 새로운 시작과 도전 45
      • 4.3.1 자신의 변화 필요성 46
      • 4.3.2 새로운 커리어 추구 47
      • 4.3.3 업무의 전문성을 키우기 바람 48
      • 4.3.4 현재 업무에 도움을 얻고 싶음 49
      • 4.4 주변의 반응 50
      • 4.4.1 가족의 든든함 50
      • 4.4.2 지인에게 동기부여 51
      • 4.5 전문가로서의 발판 마련 52
      • 4.5.1 새로운 관계 52
      • 4.5.2 다시 찾은 자신감 55
      • 4.5.3 전문성 추구하는 과정 57
      • 4.5.4 업무에의 적용 58
      • 4.5.5 코로나팬데믹 61
      • 4.5.6 1인 다역의 어려움 63
      • 4.5.7 체력의 한계 64
      • 4.6 인생의 터닝포인트 65
      • 4.6.1 계속교육 희망 65
      • 4.6.2 전문가로 일하기 67
      • 4.6.3 업무 분야의 확장 68
      • 제 5 장 결론 70
      • 5.1 요약 70
      • 5.2 결론 및 제언 72
      • 참고문헌 76
      • 부 록 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