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동물 분류에서 오류 원인이 되는 사고 내용 분석 = Analy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oughts Causing Common Mistakes on Animal Class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29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N=300)을 대상으로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주요 동물의 분류에 관한 오류와 그 이유가 되는 사고 내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로 분류하는데 있...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N=300)을 대상으로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주요 동물의 분류에 관한 오류와 그 이유가 되는 사고 내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로 분류하는데 있어서 뱀(31.7%),새우(28.3%), 거북이(25.6%), 개구리(24.7%), 불가사리(10.7%) 등의 순서로 오류의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오류의 이유는 각 동물의 운동 특성과 외형적 특성에 따른 직관적 사고, 다른 동물의 특성에 비유하여 잘못된 유추를 하는 것, 각 동물의 척추 관찰 부족 때문인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추동물의 하위분류군을 구분함에 있어서``도롱뇽은 파충류(45.3%), 거북이는 양서류(40.3%)``로 대안개념을 갖는 오류가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분류 용어의 모호함으로 인한 혼동과각 동물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분류 기준의 특성에 연계시키지 못하는 것에 있었다. 박쥐, 고래, 펭귄의 분류에서는 사회·문화적 요인이 오류의 빈도에 영향을 주었다. 동물 분류의 교수·학습이 암기 위주의 주입식보다는 관찰을 통한 분류 기준의 특성을 탐색하는 활동의 지도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t mistakes and the causes of the alternative conceptions in the animal classification b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N=300). As results, some students have difficulties cla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t mistakes and the causes of the alternative conceptions in the animal classification b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N=300). As results, some students have difficulties classifying suggested animals into vertebrates or invertebrates : snakes (31.7%), shrimps (28.3%), turtles (25.6%), frogs (24.7%), and starfish (10.7%) in order of precedence. These errors seemed to be caused by intuitive thinking over characteristics of physical motions and appearance of suggested animals, wrong inference from comparing to features of familiar animals and the lack of observation experience of the vertebrate backbone.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relatively many students made a mistake classifying subgroup members of vertebrates such as classifying salamanders into the class Reptilia (45.3%) and turtles into Amphibia (40.3%). It is likely that those errors are affected by ambiguousness of classification terminology (e.g. the term of Amphibia) and weak ability in relating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feature to standard of classification feature. In addition, sociocultural factors could influence animal classification as ``bat in birds``, ``whale in fish, and ``penguin in mammals``. The present study impli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animal classification may require an appropriate guide focused on activities to explore major characteristics used for the animal classification standard through providing more chances of animal observation rather than the cramming method of learning induced by technical memoriz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완호, "한국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동물분류 개념에 관한 연구" 19 (19): 95-114, 1991

      2 이소영,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16-26, 2004

      3 배진호, "초등학생의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31 : 93-103, 2006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과학 6-1" (주)금성출판사 2009

      5 허명,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식물 분류에 관한 오개념 빈도와 흥미도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8 (38): 1-14, 2010

      6 박기석, "천리포 해안가 동물을 이용한 야외 학습 프로그램 개발- 해양 동물 분류를 중심으로 -"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452-463, 2007

      7 이경현, "중학생들의 생물분류에 대한 소집단 논변활동의 이해 -리더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40 (40): 71-86, 2012

      8 여성희, "중학교 교과서와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의 교과내용 분석 : ‘주변의 생물’과‘생물의 다양성’에 관하여" 20 (20): 19-29, 1992

      9 조희형, "중등 과학 대체개념의 실태와 교수-학습의 문제" 교육과학사 2011

      10 이수영,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탐구 학습 중심의 생물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생물 종 다양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33 (33): 55-69, 2005

      1 정완호, "한국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동물분류 개념에 관한 연구" 19 (19): 95-114, 1991

      2 이소영,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16-26, 2004

      3 배진호, "초등학생의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31 : 93-103, 2006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과학 6-1" (주)금성출판사 2009

      5 허명,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식물 분류에 관한 오개념 빈도와 흥미도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8 (38): 1-14, 2010

      6 박기석, "천리포 해안가 동물을 이용한 야외 학습 프로그램 개발- 해양 동물 분류를 중심으로 -"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452-463, 2007

      7 이경현, "중학생들의 생물분류에 대한 소집단 논변활동의 이해 -리더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40 (40): 71-86, 2012

      8 여성희, "중학교 교과서와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의 교과내용 분석 : ‘주변의 생물’과‘생물의 다양성’에 관하여" 20 (20): 19-29, 1992

      9 조희형, "중등 과학 대체개념의 실태와 교수-학습의 문제" 교육과학사 2011

      10 이수영,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탐구 학습 중심의 생물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생물 종 다양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33 (33): 55-69, 2005

      11 윤혜경,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 과학교육 이야기" 도서출판 북스힐 21-, 2011

      12 김운화, "식물 분류 대안개념의 원인에 대한 연구 : 중학생의 사고, 과학 교과서, 과학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485-499, 2011

      13 김진태, "생물학습에 필요한 야외학습 모델 개발 연구" 28 (28): 129-135, 2000

      14 박진선, "생물분류탐구과정에서 호르몬 변화를 이용한 부정감성예측모델 개발" 과학교육연구소 34 (34): 185-192, 2010

      15 조은미, "생물 계통수 생성의 사고 과정 모형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33 (33): 13-22, 2005

      16 최지아,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준별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1학년 '생물의 구성' 단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7 유미현,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35 (35): 1-12, 2011

      18 권용주, "꽃가루 분류에서 과학교사들이 생성한 분류지식의 분석을 통한 분류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55 (55): 21-43, 2007

      19 최재완, "교육방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효과" 31 : 51-60, 2007

      20 박창선, "관찰 자료의 종류와 제시 방법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생물 관찰 유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566-576, 2008

      21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9]"

      22 이재봉,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4 (34): 140-154, 2010

      23 윤현진,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4 진현정, "고등학생의 현미경 관찰 활동에 대한 결과 보고 오류 유형 분석틀의 고안 및 오류 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5 (35): 127-137, 2011

      25 이현주, "고등학교 생물 분류 학습에 효과적인 웹 기반 학습 자료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0 (30): 147-157, 2002

      26 교육인적자원부, "개정 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

      27 Bell, B. F., "When is an Animal, not an Animal?" 15 (15): 213-218, 1981

      28 Trowbridge, J. E., "Students’alternative conceptions of animals and animal classification" 85 (85): 304-316, 1985

      29 Wandersee, J. H., "Plants or animals-Which do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refer to study?" 23 (23): 415-426, 1986

      30 Trowbridge, J. E., "Alternative conceptions in animal classification : a cross-age study" 25 (25): 547-571, 1988

      31 동효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생물Ⅱ 교과서의 생물의 다양성 영역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1 (31): 147-156, 2003

      32 김주훈,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개발 연구. 3학년~10학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33 김선미,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1 교과서의 비교 분석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 39 (39): 135-15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4-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3-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과학교육연구소
      영문명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범대학부속과학교육연구소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영문명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N.U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2 1.66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