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격유형 집단에 따른 인지갈등 정도와 개념변화 =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contents through characteristic-group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93618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2006. 2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530.07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광주

      • 기타서명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contents through characteristic-group strategy

      • 형태사항

        vi, 7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오희균
        참고문헌: p.64-69

      • 소장기관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정확한 과학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와 상대적인 개념변화 형태에 관한 조사이다. 위 연구 목적을 위해 110명 학생들의 성격을 미리 조사하였고, 이 학생들을 그들의 ...

      본 논문은 정확한 과학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와 상대적인 개념변화 형태에 관한 조사이다.
      위 연구 목적을 위해 110명 학생들의 성격을 미리 조사하였고, 이 학생들을 그들의 성격유형에 따라 세 모둠(내향성 집단, 혼합형 집단, 외향성 집단)으로 집단을 구성하였다.
      학생들은 한 주제에 관한 개념과 원리에 관해 다른 학생들과 토론하는 동안 인지갈등을 경험하고 그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그러나 인지갈등은 항상 올바르며 과학적인 방향으로 개념변화가 일어나지는 않는다. 더욱이 인지갈등 정도와 개념변화 형태는 성격유형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서로 다른 성격유형집단(혼합형 집단)에서 잘 조직된 창의적인 토론학습은 그들의 가지고 있던 오개념을 수정하고 갈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밝혀졌다.
      따라서 과학교사들은 학급 내 학습 모둠의 성격을 고려하여 가르칠 개념을 잘 정리하고 학생들의 인지 갈등을 해소하고 오개념을 수정하기위한 효과적인 방법의 기술을 익히는 것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levels of students' cognitive conflicts about the specific scientific concepts and the related conceptual change patterns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characteristics of 110 students were pre-examined and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the levels of students' cognitive conflicts about the specific scientific concepts and the related conceptual change patterns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characteristics of 110 students were pre-examined and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three study group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tudents experience cognitive conflicts while they are discussing with other students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n subjects and they try to overcome their conflicts. However, cognitive conflict do not always accompany with conceptual change in correct and scientific direction. Furthermore, the levels of cognitive conflicts and conceptual-change patterns are different in the characteristic-groups.
      It has been found that the well-organized and oriented learning through discussions between the students in different characteristic-group is very effective in removing the conflicts correcting the misconceptions they had. Therefore, science teachers are required to organize the teaching contents and establish in learning strategies in an elaborate way for solving the cognitive conflicts and correcting misconceptions, chan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group in cla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3
      • 1.3 용어의 정의 5
      • 1.4 연구의 제한점 7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3
      • 1.3 용어의 정의 5
      • 1.4 연구의 제한점 7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8
      • 2.1 인지갈등 8
      • 2.2 토론학습 14
      • 2.3 성격유형 18
      • 2.4 개념변화 25
      • 2.5 선행연구 30
      •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32
      • 3.1 연구 절차 32
      • 3.2 연구 방법 35
      • 3.3 연구대상 37
      • 3.4 검사 문항 및 검사 도구 37
      • Ⅳ. 연구의 결과 및 논의 41
      • 4.1 선 개념의 응답 유형 41
      • 4.2 성격유형 집단에 따른 토론단계별 인지갈등 정도 44
      • 4.3 성격유형 집단에 따른 토론단계별 개념 변화 50
      • 4.4 성격유형 집단에 따른 단계별 개념변화 형태 53
      • 4.5 단계별 토론수업 과정에서 느낀 학생들의 소감 58
      • Ⅴ. 결론 및 제언 61
      • 5.1 결론 61
      • 5.2 제언 62
      • 참고문헌 64
      • ABSTRACT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