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해수침투 저감을 위한 균열암반 대수층 내 담수주입시험 = Fresh Water Injection Test in a Fractured Bedrock Aquifer for the Mitigation of Seawater Intru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695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안지역 염수와 담수가 혼재하는 전이대에서 해수침투 피해개선을 목적으로 균열암반을 통한 담수주입시험을 수행하고 그 효과를 모니터링하였다. 담수주입은 절대적으로 그 지역의 지질...

      연안지역 염수와 담수가 혼재하는 전이대에서 해수침투 피해개선을 목적으로 균열암반을 통한 담수주입시험을 수행하고 그 효과를 모니터링하였다. 담수주입은 절대적으로 그 지역의 지질학적, 수리학적 특성에 따라 좌우되며, 특히 파쇄대나 투수성 미고결 지층 등의 특성 파악이 중요하다. 연구 지역의 염담수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두 개의 주요 연안 대수층인 충적층과 균열암반 구간을 통한 담수주입이 가능하도록 시추공을 설계 및 굴착하였으며, 균열암반 대수층 내 담수주입을 위하여 현장에서의 시험 준비, 이동, 조립 및 장비의 유지보수가 간단하도록 착탈식인 모듈화되어 있는 주입시스템을 제작하여 적용하였다. 시추공영상화검층을 통해 전체적인 균열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주입공 및 관측공 간 투수성 파쇄대의 확인을 위한 구간별 담수주입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담수주입 구간을 선정하였다. 담수주입시험 결과, 관측공의 일정 심도에서 담수가 유입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부 구간의 전기전도도도 점진적으로 감소함을 보였으며, 담수주입 중단 및 패커를 해지한 후에도 유입된 심도에서 점진적으로 전기전도도값이 증가하기는 하지만 그 증가폭이 전체적으로 낮아 담수주입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기적으로 전기전도도값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담수주입의 효과가 수개월 후에도 지속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담수주입에 의해 일정 정도의 해수침투 피해에 대한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esh water injection test in a fractured bedrock aquifer was applied as an efficient approach to lower saline concentrations in the saltwater-freshwater transition zone formed by seawater intrusion in a coastal area. The methodology and effectiveness...

      Fresh water injection test in a fractured bedrock aquifer was applied as an efficient approach to lower saline concentrations in the saltwater-freshwater transition zone formed by seawater intrusion in a coastal area. The methodology and effectiveness of fresh water injection for hydraulically controlling seawater intrusion is overwhelmingly site dependent,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characterize the permeable fractures or unconsolidated porous formations which can allow for seawater flow and transport. Considering aquifer characteristics, injection and monitoring boreholes were optimally designed and completed to inject fresh water through sand layer and fractured bedrock, respectively. We devised and used the injection system using double packer for easy field operation and maintenance. Overall fracture distribution was systematically identified from borehole image logs, and the section of fresh water injection was decided from injection test and monitoring. With fresh water injection, the flui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onitoring well started to be lowered by the inflow of fresh water at the specific depth. And this inflow leaded to the replacement of the fluid in the upper parts of the borehole with fresh water. Furthermore, the injection effect lasted more than several months, which means that fresh water injection may contribute to the mitigation of seawater intrusion in a coastal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제, "파쇄대 응회암 대수층의 지하수 유동 특성화 기법"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0 (10): 33-44, 2005

      2 황세호, "유향·유속검층을 이용한 영광지역 해수침투대 균열암반의 지하수 유동 특성화"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5 (45): 174-187, 2008

      3 Shin, J., "The development of multi-channel electrical conductivity monitor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in the coastal aquifer" 8 : 156-162, 2005

      4 USEPA, "Salt water intrusion barrier well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2-27, 1999

      5 Hwang, S., "Investigation for regional saltwater intrusion of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 in South Korea (Abstract)" 413-, 2003

      6 Cohen, A.J.B., "Hydrogeologic characterization of fractured rock formations: A guide for groundwater remediator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4-5, 1996

      7 Paillet, F.L., "Hydraulic head applications of flow logs in the study of heterogeneous aquifers" 39 : 667-675, 2001

      8 Pyne, R.D.G., "Groundwater recharge and wells: a guide to aquifer storage recovery" Lewis Publishers 376-, 1995

      9 Park, K.G., "Fresh water injection test to mitigate seawater intrusion and geophysical monitoring in coastal area" 10 : 353-360, 2007

      10 Hwang, S., "Detection of inflow permeable zones using fluid replacement conductivity logging in coastal aquifer" 9 : 225-230, 2006

      1 김용제, "파쇄대 응회암 대수층의 지하수 유동 특성화 기법"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0 (10): 33-44, 2005

      2 황세호, "유향·유속검층을 이용한 영광지역 해수침투대 균열암반의 지하수 유동 특성화"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45 (45): 174-187, 2008

      3 Shin, J., "The development of multi-channel electrical conductivity monitor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in the coastal aquifer" 8 : 156-162, 2005

      4 USEPA, "Salt water intrusion barrier well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2-27, 1999

      5 Hwang, S., "Investigation for regional saltwater intrusion of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 in South Korea (Abstract)" 413-, 2003

      6 Cohen, A.J.B., "Hydrogeologic characterization of fractured rock formations: A guide for groundwater remediators"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4-5, 1996

      7 Paillet, F.L., "Hydraulic head applications of flow logs in the study of heterogeneous aquifers" 39 : 667-675, 2001

      8 Pyne, R.D.G., "Groundwater recharge and wells: a guide to aquifer storage recovery" Lewis Publishers 376-, 1995

      9 Park, K.G., "Fresh water injection test to mitigate seawater intrusion and geophysical monitoring in coastal area" 10 : 353-360, 2007

      10 Hwang, S., "Detection of inflow permeable zones using fluid replacement conductivity logging in coastal aquifer" 9 : 225-230, 2006

      11 Hwang, S., "Assessment of seawater intrusion using geophysical well logging and electrical soundings in a coastal aquifer, Youngkwang-gun, Korea" 35 : 99-104, 2004

      12 Williams, J.H., "Acoustic and optical borehole-wall imaging for fractured-rock aquifer studies" 55 : 151-159,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62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