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의 사물-다큐멘트 연구 = The Study on the Object-Documents in the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4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큐멘터리 연극이 다루는 내용과 정치적 의제가 변화함에 따라 연극에서 활용되는 다큐멘트의 종류와 성격도 변하게 된다.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이 개인의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사회적...

      다큐멘터리 연극이 다루는 내용과 정치적 의제가 변화함에 따라 연극에서 활용되는 다큐멘트의 종류와 성격도 변하게 된다.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이 개인의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이해하려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개인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사물-다큐멘트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물건, 소지품, 자연물 등의 사물은 그 자체로 다큐멘트라고 할 수 없지만, 그것이 특정한 환경과 맥락 안에 배치될 때 다큐멘트로 인식된다. 즉, 사물은 실재하는 사건이나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그 사건 혹은 사람이 현실에서 실제로 존재했음을 지시하는 증거로 다뤄질 때, 다큐멘트가 된다. 연극의 사물-다큐멘트는 사물인 동시에 다큐멘트라는 점에서 독특한 행위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사물로서 그것은 무대 위에 현존하면서 연행자의 특정한 행위를 유도하거나 촉발시키며, 다큐멘트로서 그것은 현실의 사건과 사람을 직접 지시함으로써 무대 안으로 현실 세계를 지속적으로 소환한다. 사물-다큐멘트는 그 사물을 사용하는 사람의 신체에 습관으로서의 흔적을 남기거나, 사회적 규범으로 작동하면서 사람들의 행위에 제약을 가하기도 하며, 연행자의 행위와 결합하여 새로운 연극적 의미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연행자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사물-다큐멘트의 행위능력을 고려할 때,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 고유의 수행적 성격이 보다 면밀히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contents and political agenda of documentary theatre change, the type and the character of the documents used in the theatre also undergo a change.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s tend to apprehend th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rough an i...

      As the contents and political agenda of documentary theatre change, the type and the character of the documents used in the theatre also undergo a change.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s tend to apprehend th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rough an individual's daily experiences, so the use of object-docume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one's life becomes remarkable. Objects such as stuffs, belongings, and natural objects are hardly considered as documents by themselves, but once they are arranged in a specific environment and context, they are made into documents. An object becomes a document when it conveys information about an actual event or person and is treated as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event or person in theatre actually existed in reality. The object-document of the theatre has a unique agency because it is both an object and a document. As an object, it presents on the stage and induces or provokes a specific action of the performer, and as a document, by indicating the event and person in reality, it continuously calls that reality into the stage. The object-document leaves traces as a habitus on the person's body, functions as a social norm restricting people's acts, and generates theatrical meanings by combining with performer’s acts. Therefore, considering the object-document's agency to affect other actors, the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 can be understood more specifical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퍼스, 찰스 샌더스,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2006

      2 라투르, 브뤼노,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Humanist 2018

      3 버틀러, 주디스,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13

      4 라투르, 브뤼노,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대칭적 인류학을 위하여" 갈무리 2009

      5 오스틴, 존, "말과 행위" 서광사 1992

      6 하먼, 그레이엄, "네트워크의 군주 : 브뤼노 라투르의 객체지향 철학" 갈무리 2019

      7 Buckland, Michael, "What is a “Document”?" 48 (48): 804-809, 1997

      8 Otlet, Paul, "Traité de Documentation" Editiones Mundaneum 1934

      9 Rayner, Alice, "Staging Philosophy :Intersections of Theater, Performance, and Philosoph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80-199, 2006

      10 Briet, Suzanne, "Qu’est-ce que la Documentation?" Éditions Documentaires Industrielles et Techniques 1951

      1 퍼스, 찰스 샌더스,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2006

      2 라투르, 브뤼노,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Humanist 2018

      3 버틀러, 주디스,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13

      4 라투르, 브뤼노,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 대칭적 인류학을 위하여" 갈무리 2009

      5 오스틴, 존, "말과 행위" 서광사 1992

      6 하먼, 그레이엄, "네트워크의 군주 : 브뤼노 라투르의 객체지향 철학" 갈무리 2019

      7 Buckland, Michael, "What is a “Document”?" 48 (48): 804-809, 1997

      8 Otlet, Paul, "Traité de Documentation" Editiones Mundaneum 1934

      9 Rayner, Alice, "Staging Philosophy :Intersections of Theater, Performance, and Philosoph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80-199, 2006

      10 Briet, Suzanne, "Qu’est-ce que la Documentation?" Éditions Documentaires Industrielles et Techniques 1951

      11 Schweitzer, Marlis, "Performing Objects and Theatrical Things" Palgrave Macmillan UK 1-19, 2014

      12 Bruzzi, Stella, "New Documentary" Routledge 2006

      13 Latham, Kiersten F., "Museum Objects as Document: Using Buckland’s Information Concepts to Understand Museum Experiences" 68 (68): 45-71, 2012

      14 Ferraris, Maurizio, "Metaphysics and Ontology Without Myths, Fabio Bacchini"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10-124, 2014

      15 Smith, Barry, "Institutions, Emotions, and Group Agents:Contributions to Social Ontology" Springer Netherlands 19-31, 2014

      16 Day, Ronald E, "Indexing It All : The Subject in the Age of Documentation, Information, and Data" The MIT Press 2014

      17 Youker, Timothy, "Documentary Vanguards in Modern Theatre" Routledge 2018

      18 Buckland, Michael, "Documentality Beyond Documents" 97 (97): 179-186, 2014

      19 Meyriat, Jean, "Document, Documentation, Documentologie" (14) : 51-63, 1981

      20 Buckland, Michael, "Document Theory" 45 (45): 425-436, 2018

      21 Ferraris, Maurizio, "Collective Intentionality or Documentality?" 41 (41): 423-433, 2015

      22 Irmer, Thomas, "A Search for New Realities: Documentary Theatre in Germany" MIT Press 50 (50): 16-28, 2006

      23 "<보더라인>, 네이버TV 서울국제공연예술제_연극, 이경성 연출"

      24 "<모티베이션 대행>, 소극장 판, 네지 피진 연출"

      25 "<몇 가지 방식의 대화들>,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이경성 연출"

      26 "<구일만 햄릿>,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권은영 매운콩 연출"

      27 "<15분>, 연우소극장, 윤혜숙 연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연극학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4 0.82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