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茶山과 天主敎 관련 人物들과의 관계 고찰 =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Dasan and Catholic Church~Related Fig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3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정약용과 천주교 관련 인물들과의 관계를 고찰한 논문이다. 2장에 등장하는 이벽ㆍ이승훈ㆍ권일신ㆍ정약종은 조선에 천주교를 창설하고 이끌었던 인물이다. 정약용은 이벽ㆍ이승훈...

      본고는 정약용과 천주교 관련 인물들과의 관계를 고찰한 논문이다. 2장에 등장하는 이벽ㆍ이승훈ㆍ권일신ㆍ정약종은 조선에 천주교를 창설하고 이끌었던 인물이다. 정약용은 이벽ㆍ이승훈을 존모하였고 각별하였으나, 권일신과는 친밀하지 않았던 것 같고, 정약종과는 뜻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형제간의 의리를 지켰고 서로 존중하였다. 3장에서 살펴본 이가환ㆍ이기양ㆍ권철신ㆍ오석충ㆍ정약전은 처음에 천주교에 가담하였다가 이내 끊었거나 아예 무관하였지만, 반대파의 모함과 조작에 의해 천주교에 연루되어 화를 당한 인물이다. 정약용은 이들을 음해한 공서파의 악행을 낱낱이 기술하여, 그들의 억울한 죽음을 위로하였다. 4장의 목만중ㆍ이기경ㆍ홍인호ㆍ홍의호는 이른 바 남인 공서파에 속한 인물이다. 본래 정약용과 가까운 사이였던 이들은 채제공이 재야로 물러났을 때 蔡黨과 결별하거나, 다산과 오해가 있었거나, 천주교 처단을 빌미로 서로 뜻을 모아 집권세력에 붙어 권세를 누리며 다산 일파를 공격하였다.
      5장에서는 다산과 천주교와의 관계를 조명하기 위해 '텍스트에 관한 문제', '천진암ㆍ주어사강학회의 성격과 다산의 참석 여부', '다산의 사상과 천
      주교와의 관계'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한때 천주교 서적을 열독하고 신자가 되었지만, 진산사건 이후 천주교를 끊었다고 한 정약용의 고백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며, 外背內信한 천주교 신자가 아님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Jeong Yak-yong and Catholic Church-related figures. Lee Byeok, Lee Seung-hun, Gwon Il-shin, and Jeong Yak-jong in Chapter 2 built and led Catholic Church in Joseon. Jeong Yak-yong res...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Jeong Yak-yong and Catholic Church-related figures. Lee Byeok, Lee Seung-hun, Gwon Il-shin, and Jeong Yak-jong in Chapter 2 built and led Catholic Church in Joseon. Jeong Yak-yong respected, missed, and had particular affection toward Lee Byeok and Lee Seung-hun but had no close relationships with Gwon Il-shin. He cherished brotherly loyalty and respect even though he had different intentions from Jeong Yak-jong. In Chapter 3, Lee Ga-hwan, Lee Gi-yang, Gwon Cheol-shin, Oh Seok-chung, and Jeong Yak-jeon quit Catholicism early or had nothing to do with it, but they got involved in Catholicism by the slander and manipulation of the opposition and suffered damage. Jeong Yak-yong recorded the evil deeds of those who maligned them in details and consoled their wrongful death. In Chapter 4, Mok Man-jung, Lee Gi-gyeong, Hong In-ho, and Hong Ui-ho belonged to the so-called Gongseopa of Namin. Originally having close relationships with Jeong Yak-yong, they parted with Chaedang when Chaejegong was out of power, had misunderstandings with Dasan, or attacked the Dasan party, gathering together under the pretext of persecuting Catholicism and enjoying power on the side of the ruling power.
      Chapter 5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asan and Catholicism by discussing "the issues with the texts," "the nature of Cheonjinam and Jueosaganghakhoi and Dasan's participation in them," and "Dasan's ideology and Catholicism."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is no doubting his confession that he passionately read Catholic books and became a Catholic at one time but quit the religion after the Jinsan Event, indicating that he was no Cathol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序言
      • 2. 天主敎를 이끌었던 인물
      • 3. 天主敎에 連累되어 禍를 당한 인물
      • 4. 攻西派에 속한 인물
      • 국문초록
      • 1. 序言
      • 2. 天主敎를 이끌었던 인물
      • 3. 天主敎에 連累되어 禍를 당한 인물
      • 4. 攻西派에 속한 인물
      • 5. 茶山과 天主敎의 관계
      • 6.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린, "황사영백서연구" 일조각 1999

      2 김철범, "해배 후 다산의 교류관계-노・소론계 학자와의 학술교류를 중심으로" 14 : 1991

      3 금장태, "한국전통문화와 천주교 사상" 1 : 1983

      4 조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8

      5 손흥철,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의 학술사적 의미 고찰 - 다산 정약용과 신서파·공서파를 중심으로 ―"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9) : 41-79, 2006

      6 송석준, "정약종과 유학사상" 한국사상사학회 18 : 2002

      7 최석우, "정약용과 천주교의 관계 -Daveluy의 備忘記를 중심으로" 다산학연구소 5 : 1983

      8 금장태, "안정복의 사학비판론" 19 : 1978

      9 이원순, "성호 이익의 서학세계" 1 : 1977

      10 최동희, "서학에 대한 한국 실학의 반응"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8

      1 이정린, "황사영백서연구" 일조각 1999

      2 김철범, "해배 후 다산의 교류관계-노・소론계 학자와의 학술교류를 중심으로" 14 : 1991

      3 금장태, "한국전통문화와 천주교 사상" 1 : 1983

      4 조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8

      5 손흥철,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의 학술사적 의미 고찰 - 다산 정약용과 신서파·공서파를 중심으로 ―"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9) : 41-79, 2006

      6 송석준, "정약종과 유학사상" 한국사상사학회 18 : 2002

      7 최석우, "정약용과 천주교의 관계 -Daveluy의 備忘記를 중심으로" 다산학연구소 5 : 1983

      8 금장태, "안정복의 사학비판론" 19 : 1978

      9 이원순, "성호 이익의 서학세계" 1 : 1977

      10 최동희, "서학에 대한 한국 실학의 반응"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8

      11 강재언, "다산학의 탐구" 민음사 1990

      12 김상홍, "다산의 천주교 신봉론에 대한 반론"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 : 1990

      13 김상홍, "다산과 천진암 관계의 진실" 단국대출판부 2010

      14 심경호, "다산 정약용과 석천 신작의 교유에 대하여" (1) : 1993

      15 이동환, "다산 사상에서 ‘상제’의 도입 경로와 성격" 민족문화추진회 19 : 1996

      16 "黃嗣永帛書" 한국교회사연구소 1966

      17 박희인, "餘窩 睦萬中의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 한국한시학회 (19) : 255-293, 2011

      18 샤를르 달레, "韓國天主敎會史 上・中・下" 한국교회사연구소 1979

      19 李基慶, "闢衛篇" 明文堂 1987

      20 김상홍, "茶山學의 新照明" 단국대출판부 2009

      21 丁若鏞, "與猶堂全書" 民族文化推進會 2002

      22 홍승면, "神이냐 王이냐" 新太陽 1963

      23 이동환, "民族史의 展開와 그 文化 下" 창작과비평사 1990

      24 이원순, "朝鮮西學史硏究" 일지사 1986

      25 丁奎英, "俟菴先生年譜" 文獻編纂委員會 1961

      26 한건, "丁若鍾의 神學思想" 한국사상사학회 18 : 2002

      27 서종태, "丁若鍾의 『쥬교요지』에 대한 문헌학적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18 : 2002

      28 조광, "丁若鍾과 初期 天主敎會" 한국사상사학회 18 : 2002

      29 주명준, "丁若鍾家門의 天主敎信仰實踐" 한국사상사학회 18 : 2002

      30 원재연, "丁若鍾『쥬교요지』와 漢文西學書의 비교연구" 한국사상사학회 18 : 2002

      31 김상홍, "‘다산은 천주교인이다’에 대한 반론" 한국한문학회 13 :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