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업생태계 순환구조가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매개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rporate-ecosystem circulation structure on corporate performance via entrepreneurship and social net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40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동연구원에서 매년 발간하는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보고서에 의하면 사회적기업의 지난 3개년 경영성과를 분석해 본 결과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증가 추세이나, 영업이익은 3개년 연속 적...

      노동연구원에서 매년 발간하는 사회적기업 성과분석 보고서에 의하면 사회적기업의 지난 3개년 경영성과를 분석해 본 결과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증가 추세이나, 영업이익은 3개년 연속 적자를 나타내고 있으며 고용창출은 약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매출액의 경우 정부에서 공공매출 비중이 증가함에 따른 결과로 보이며 영업활동에 다른 수익성은 여전히 적자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고용창출 분야는 약보합세이나 일반인 유급근로자 수는 낮은 수익성에 따라 3개년 연속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한국사회의 사회적기업은 정부가 조성한 우호적인 정책환경 하에서 생성되어 타성의 정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지속가능성 또는 자생력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김을식 외, 2011). 고용노동부(2013)의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선진국의 정책 실태 조사에 따르면 앞으로 사회적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부의 지원정책은 선진국처럼 사회적 기업이 시장에서 스스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그 생태계를 조성해주기 위한 지원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하였다(고용노동부,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으로 사회적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사회적기업 제도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자발적 생성 및 성장여부를 확인을 통한 사회적기업 생태계의 실태 조사와 사회적기업을 설립한 기업대표들의 기업가정신 그리고 그것이 기업성과에 인과관계가 있는 지에 관한 연구를 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기존 선행연구 관련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수행에 토대가 되는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렇게 선행 연구된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통계분석을 통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해석하였다. 연구모형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2017년 3월 24일부터 6월 15일까지 전국에 산재해 있는 사회적기업의 대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회수된 설문지는 125부였으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 11부를 제외하고 남은 114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문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고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기 위해 SPSS23.0 통계패키지와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통계기법은 설문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고 신뢰도의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의 크론바흐 알파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적합성 확인을 통하여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으며, 그로부터 유의수준 5%로 변수들의 유의성을 검토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기업생태계의 순환구조 중 마케팅과 기업환경은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사회적기업들의 창업 혹은 스케일 업 할 수 있는 기업환경이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활동이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기업생태계의 순환구조 중 마케팅, 인적자본, 사회기반시설과 기업환경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기업생태계의 순환구조 중 자금조달, 마케팅, 인적자본과 기업환경은 기업가정신에 부(-)의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넷째, 기업가정신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섯째, 사회적 네트워크는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째, 기업생태계의 순환구조 중 자금조달이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네트워크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기업환경이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네트워크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여덟째, 자금조달, 마케팅, 인적자본, 사회기반시설, 기업환경 모두 변수들이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네트워크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아홉 번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컨설팅 만족도가 조절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으로 사회적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에서 지원해 주고 있는 컨설팅 만족도가 성과로 연계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인 사회적기업 생태계의 실태 조사와 사회적기업을 설립한 기업대표들의 기업가정신 그리고 그것이 기업성과에 인과관계가 있는 지에 관한 연구에 대하여 결론적으로 사회적기업 설립 10년이 지난 이 시점까지 사회적기업들이 자발적인 생성과 성장을 위한 생태계 구축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1 연구의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II. 이론적 배경 6
      • I. 서 론 1
      • 1.1 연구의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II. 이론적 배경 6
      • 2.1 사회적기업에 관한 이론적 고찰 6
      • 2.1.1 사회적기업의 정의 6
      • 2.1.2 사회적기업의 개념 7
      • 2.1.3 사회적기업의 역할 9
      • 2.2 기업생태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11
      • 2.2.1 기업생태계의 정의 11
      • 2.2.2 기업생태계의 개념 12
      • 2.3 기업가정신에 관한 이론적 고찰 18
      • 2.4 컨설팅 만족도에 관한 이론적 21
      • 2.5 기업 성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23
      • III. 연구의 설계 27
      • 3.1 연구 모형 27
      • 3.2 연구 가설 31
      • 3.2.1 기업 생태계 순환구조와 사회적기업 성과 31
      • 3.2.2 기업 생태계 순환구조와 기업가정신 36
      • 3.2.3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네트워크 40
      • 3.2.4 사회적 네트워크와 기업 성과 40
      • 3.2.5 컨설팅 만족도의 조절효과 42
      • 3.2.6 연구가설 요약 43
      •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47
      • 3.3.1 변수의 조작적 정의 47
      • 3.3.2 설문지 구성 49
      • 3.4 자료 수집 및 분석 50
      • 3.4.1 자료 수집 50
      • 3.4.2 자료 분석 50
      • IV. 연구 결과 51
      • 4.1 기초통계분석 51
      • 4.1.1 표본 특성 51
      • 4.1.2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54
      • 4.2 측정모형 분석 60
      • 4.3 가설검정 74
      • 4.3.1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정 74
      • 4.3.2 기본가설 검정 76
      • 4.4 매개효과 검정 81
      • 4.5 조절효과 검정 94
      • 4.6 가설검정 결과 요약 97
      • V. 결 론 100
      • 5.1 연구결과 및 시사점 100
      • 5.2 연구의 한계 104
      • 참 고 문 헌 105
      • 부 록 114
      • ABSTRACT 12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선희, "사회적 기업", 서울: 다우출판사, 2004

      2 임승빈, "「정부와 NGO」",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09

      3 고재경, 이정훈, 김을식, "사회적기업과 정부의 역할", 경기연구원, 이슈 &진단(16), 1-25, 2011

      4 양준환, 정대용, "중소기업의 핵심역량 및 네트워킹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가와 중국기업가의 네트워킹 특성을 중심으로 한 비교연구 = The effects of core competence and networking on firm performance -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a SMEs", 한국창업학회지, 3(2), 43-69, 2008

      5 신용석, "관광분야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한국관광연구원, 한국관광정책, -(38), 69-74, 2009

      6 허원무,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한국비즈니스리뷰, 6(3), 43-59, 2013

      7 김용성, 이승희, 도재홍, 노규성, "쿠폰제 컨설팅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7(5), 25-32, 2009

      8 이종승, "교원양성과정에 있어서 교육학의 위상", 한국교육학회, 2011

      9 김재홍, 이재기,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성과분석", 한국정부학회, 한국행정논집, 24(4), 1037-1063, 2012

      10 김생수, 유효선,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고찰", 강원행정학회,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10(1), 23-45, 2012

      1 정선희, "사회적 기업", 서울: 다우출판사, 2004

      2 임승빈, "「정부와 NGO」",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09

      3 고재경, 이정훈, 김을식, "사회적기업과 정부의 역할", 경기연구원, 이슈 &진단(16), 1-25, 2011

      4 양준환, 정대용, "중소기업의 핵심역량 및 네트워킹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가와 중국기업가의 네트워킹 특성을 중심으로 한 비교연구 = The effects of core competence and networking on firm performance -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china SMEs", 한국창업학회지, 3(2), 43-69, 2008

      5 신용석, "관광분야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한국관광연구원, 한국관광정책, -(38), 69-74, 2009

      6 허원무,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한국비즈니스리뷰, 6(3), 43-59, 2013

      7 김용성, 이승희, 도재홍, 노규성, "쿠폰제 컨설팅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7(5), 25-32, 2009

      8 이종승, "교원양성과정에 있어서 교육학의 위상", 한국교육학회, 2011

      9 김재홍, 이재기,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성과분석", 한국정부학회, 한국행정논집, 24(4), 1037-1063, 2012

      10 김생수, 유효선,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고찰", 강원행정학회,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10(1), 23-45, 2012

      11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 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1세기사, 2008

      12 이재희, "사회적기업간 네트워크 특성과 조직성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13 최종영, "쿠폰제컨설팅 지원사업 성과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14 엄형식, "유럽적 의미의 사회적 기업 개념과 시사점",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와 빈곤, 76, 78-117, 2005

      15 박동수, "창업 소상공인 개인특성과 사업성과의 관련성", 한국산업경영학회,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 37-54, 2000

      16 노대영, "스페셜 이슈 : 사회적 기업 육성체계와 개선방안", 대한지방행정공제회, 地方行政, 61(708), 18-21, 2012

      17 최미금,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18 오정근, "건강하고 혁신적인 기업생태계 구축의 필요성과 방향", 바른사회 세미나 주제, 2012

      19 박능후, 厚)(Park, Neung-Hoo), 선남이, "사회적기업의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5(2), 141-164, 2011

      20 홍성우,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인증제도 및 인증현황의 비교분석", 경인행정학회, 한국정책연구, 11(1), 257-279, 2011

      21 심종섭, "중소기업 컨설팅이 기업에 미치는 만족도와 성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22 이충섭, 박춘래, 황서진, "“경영컨설팅과 기업성과의 관계 및 컨설팅활용도의 매개효과,”",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24(6), 3371-3388, 2011

      23 채준원, "컨설팅 유형에 따른 중소기업의 컨설팅 서비스 결정요인에 관한 연 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24 고형면, 임혁백, 박찬웅, 김철주, 김윤태,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한국형 사회적 일자리와 사회 서비스 모색", 송정문화사, 서울: 송정, 2007

      25 김춘광, "기업가의 정치적 기술, 사회적 자본, 그리고 기업가적 성과 간의 관계 모형",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26 변은지, 최종태, 장흥근, 이철영, 이원재, 이광택, "실업국복국민재단 함께 일하 는 사회 정책연구원. 사회적기업,새로운 세계", 서울: 실업극복국민재단 함께 일하는 사회 정책연구원, 2008

      27 최조순,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사회적기업 지속가능성의 관계에 관 한 탐색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8 정무권, 최석현, 조창현,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사회자본 형성전략 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9(1), 125-151, 2012

      29 양현주, "국제기업가정신, 핵심역량, 네트워크 활동 그리고 국제화 및 기업상과 간의 관계",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30 최명규, "중소기업 경영컨설팅의 서비스품질이 인지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31 양준환, "“한 중 중소기업의 핵심역량 및 기업가적 네트워킹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32 김정일, "중소기업 컨설팅 수진기업의 사후관리를 통한 경영성과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성대학교, 2016

      33 남승연, 이영범,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유형화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일자리 제공형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34(3), 29-60, 2008

      34 전대봉, "사회적 기업의 창업동기요인이 사회적기업의 영리적 성과와 공익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35 김용태, "사회적 기업의 창업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부지원정책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36 김익성, "중소기업 컨설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effects of consulting in domesticSMEs", 한독사회과학논총, 18(1), 159-186, 2008

      37 권소일, 조상미, 김수정, "조직요인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 Do organizational factors influence the outcome of social enterprise?", 한국사회복지학, 64(3), 29-50,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