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행 일원화 자치경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unified municipal police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0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ee legislative methods can be considered to introduce the municipal police system: amending the Police Act, amending the municipal police Act, and enacting a single law called the municipal Police Act. However, the municipal police system introduc...

      Three legislative methods can be considered to introduce the municipal police system: amending the Police Act, amending the municipal police Act, and enacting a single law called the municipal Police Act. However, the municipal police system introduced this time was discussed by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in conjunction with the adjustment of the police and police investigation authority. After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ual model implemented by the Jeju municipal Police, I would like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after deriving the operational status and problems of the unification model implemented in other reg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논의는 수차례 있었으나 그 결실을 보지 못하였다. 이번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논의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우려와 반대론이 제기된 바도 있다. 첫째, 자치...

      우리나라는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논의는 수차례 있었으나 그 결실을 보지 못하였다. 이번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논의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우려와 반대론이 제기된 바도 있다. 첫째, 자치경찰제가 현행 국가경찰제도하의 양호한 치안역량을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는 점, 둘째, 소방공무원의 국가직화가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치경찰공무원의 처우가 열악해질 수 있다는 점, 셋째, 정당에 소속된 시·도지사의 영향으로 치안행정이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는 점, 넷째, 자치경찰과 토호세력간 비리·유착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자치경찰제를 도입하는데 경찰법을 개정하는 방안, 지방자치법을 개정하는 방안, 자치경찰법이라는 단일법을 제정하는 방안 세가지 입법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 도입된 자치경찰제도는 정부와 여당은 검경수사권조정과 맞물려서 논의한 것으로 기존의 경찰법을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로 전면 개정하여 입법화하였다.
      제주자치경찰에서 시행하는 이원화모델의 전개과정과 특성을 살펴본 후 기타지역에서 시행하는 일원화모델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도출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승, "자치경찰제도 도입을 고려한 경찰인력의 합리적 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23 (23): 135-164, 2021

      2 민형동, "자치경찰제 정책변동 사례연구*–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학회 23 (23): 203-222, 2021

      3 이상훈,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쟁점과 과제" 71-96, 2019

      4 최종술, "자치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방안" 11-25, 2019

      5 한성관, "자치경찰위원회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 및 민주적 통제 방안 - 개정 경찰법을 중심으로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4 (4): 195-216, 2021

      6 황문규, "자치경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 방안" 한국경찰학회 22 (22): 261-296, 2020

      7 양영철, "자치경찰론" 대영문화사 2008

      8 신원부, "자치경찰 일원화모델 사전 진단과 평가 : 3대 방향 10대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22 (22): 121-150, 2020

      9 성수영, "우리나라 자치경찰제의 올바른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889-904, 2021

      10 남재성, "바람직한 자치경찰제 시행을 위한「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의 입법적 보완 방향" 한국경찰연구학회 20 (20): 69-100, 2021

      1 박종승, "자치경찰제도 도입을 고려한 경찰인력의 합리적 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 23 (23): 135-164, 2021

      2 민형동, "자치경찰제 정책변동 사례연구*–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학회 23 (23): 203-222, 2021

      3 이상훈,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쟁점과 과제" 71-96, 2019

      4 최종술, "자치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방안" 11-25, 2019

      5 한성관, "자치경찰위원회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 및 민주적 통제 방안 - 개정 경찰법을 중심으로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4 (4): 195-216, 2021

      6 황문규, "자치경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 방안" 한국경찰학회 22 (22): 261-296, 2020

      7 양영철, "자치경찰론" 대영문화사 2008

      8 신원부, "자치경찰 일원화모델 사전 진단과 평가 : 3대 방향 10대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22 (22): 121-150, 2020

      9 성수영, "우리나라 자치경찰제의 올바른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889-904, 2021

      10 남재성, "바람직한 자치경찰제 시행을 위한「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의 입법적 보완 방향" 한국경찰연구학회 20 (20): 69-100, 2021

      11 장일식, "광역단위 자치경찰 도입에 따른 경찰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연구" 치안정책연구소 18-19, 2020

      12 이황우, "경찰행정학" 법문사 2005

      13 김창윤, "경찰학" 박영사 2014

      14 라광현, "경찰의 자치경찰제도 도입 과정에 대한 소고 - 비판이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32 (32): 95-115, 2021

      15 경찰청, "경찰백서"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3-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Review -> korean Journal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2 1.08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