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야담집에서의 이경류 이야기의 전개와 그 의미 = The Unfolding and its Meaning of Lee Kyungryu Stories in Yadam Antholog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야담과 야담집의 전개라는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야담과 야담집이 이경류 이야기들을 선별하고 조합하는 양상을 정리한 뒤 그런 양상이 어떤 야담사적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

      본고는 야담과 야담집의 전개라는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야담과 야담집이 이경류 이야기들을 선별하고 조합하는 양상을 정리한 뒤 그런 양상이 어떤 야담사적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유몽인의 『어우야담』은 우애와 효가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이재의 〈종사이공묘갈〉은 이경류의 행적을 ‘충효’로 갈무리하고 표창하였다. 노명흠의 『동패락송』은 이경류의 혼과 부인과의 사랑 관계를 집중적으로 보여주었다. 부부애가 중심에 있고 자애와 효도가 그를 따라가는 형국이다. 이규상의 『병세재 언록』은 환생을 보여주었으며 그런 점에서 서사적 호기심을 극대화하면서 이념적 검열을 최소화시켰다. 이희평의 『계서잡록』은 이희평이 생존하던 시기까지 한산이씨 가문 이야기판에서 전승된 이경류 관련 이야기들을 선택적으로 집대성한 것으로서 가족질서와 신분질서를 재구성하고 효행을 부각시켰다.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19세기 야담집에서 이경류 이야기가 어떻게 나타나며 그런 특징이 어떤 의미를 지향하는지를 살폈다. 먼저 19세기 야사집의 선택에 대해 살폈다. 이들은 1784년 경 편찬된 『조야집요』 소재 이경류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였는데, 문헌들에서 산견되는 것들을 모으고 뒷부분은 『어우야담』의 것을 옮겼다. 환생을 간략히 언급한 것은 그것이 중국 사신과 관련되었기 때문이었고 부부애를 무시한 것 역시 야담 편찬자들이 가진 역사서술자로서의 자의식이 작동했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19세기 야담집은 19세기 야사집의 선택과 뚜렷하게 변별된다. 19세기 주요 야담집들은 모두 『계서잡록』 이경류 이야기를 전재하고 있다. 여기에는 새로운 모티프의 추가나 창조적 변개는 없다. 19세기 이후의 주류 야담집들이 『계서잡록』 계통의 이경류 이야기를 주로 수용했다는 점은 조선후기 야담집의 귀추와 관련하여 의미심장한 암시를 준다. 그것은 부부간 사랑을 중시한 『동패락송』이나 이념적 검열을 거부하고 호기심어린 환생을 보여준 『병세재언록』 등의 지호노을 19세기 야담집이 수용하지 않았음을 뜻한다. 나아가 〈이생규장전〉에서 비롯한 전기(傳奇)소설의 지향으로부터 19세기 야담집이 더 분명한 선을 그은 것을 의미한다.
      조선 후기 정신사의 굵은 흐름은 ‘이념의 구현’과는 반대쪽으로 나아갔다. 그런데 야담의 경우, 야담집 편찬자 개인의 성향에 따라 이념의 구현이 극단적으로 강조되기도 하였다. 나아가 야담은 달라진 현실에 대한 일종의 대안으로서 이념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더 이상 이념이 관철되지 않는 현실을 목도하던 야담 수용자들이 이념이 더욱 강조되는 야담을 선택하여 읽기를 원했을 수도 있다. 『계서잡록』 소재 이경류 이야기는 후자의 관점에서 19세기 야담집으로 들어와서 굳어졌다. 이는 19세기 후반 야담집이 창조력을 잃고 다만 서로를 모방하거나 전재하는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뜻하면서 다른 한편, 야담집들이 전기소설이나 야사집 등 다른 성격의 장르 및 책들을 타자화하면서 야담집 자체의 고유한 속성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더 단단하게 서로 결속되었음을 의미한다. 19세기 이전까지의 야담은 집안일에 대한 미련과 부인과 아들에 대한 애착 때문에 죽어서도 혼이 되어 되돌아온 이경류를 형상화하였다면, 19세기 야담은 그런 이경류 형상을 바탕으로 하면서 국가와 가문의 질서를 재구축하는 열사로, 효행 실천의 화신으로 이경류를 재형상화하였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various approaches to stories about Lee Kyoogryu in each historical reincarnation and their meanings in the history of Yadam. Yoo Mongin’s Uhwooyadam depicts Lee’s story as a harmonious reunion of friendship and filial piety. L...

      This paper examines various approaches to stories about Lee Kyoogryu in each historical reincarnation and their meanings in the history of Yadam. Yoo Mongin’s Uhwooyadam depicts Lee’s story as a harmonious reunion of friendship and filial piety. Lee Jae’s Jongsayigongmyogal describes and commends stories related to Lee
      Kyungryu as fidelity and filial piety. Noh Myunghum’s Dongpaeraksong foregrounds the love story between the ghost of Lee Kyungryu and his wife, marginalizing the story of grace and filial piety. Lee Kyusang’s Byeongsaejaeuonrok illustrates Lee Kyungryu’s reincarnation, which both intensifies narrative curiosity and minimizes ideological censorship. Lee Huipyung’s Gyeseojaprok stresses familial and hierarchical order, and filial piety, for it was a selective anthology of anecdotes that had been transmitted from the storytelling space of the Hansan Lee family.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stories of Lee Kyungryu found in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and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Lee’s stories included in the anthologies of informal history were based on those of Joyajipyo published in 1784 and selected a few stories from several other anthologies including Uhwooyadam. A brief description of Lee’s reincarnation is included due to its relationship to the envoys from China, while conjugal affection is ignored due to the editors’ self-consciousness as narrators of history.
      There exists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and the 19th century Informal History anthologies in dealing with the stories of Lee Kyungryu. The major Yadam anthologies of the l9th century directly quoted the stories from Gyeseojaprok. No other creative transformation and additional motifs are found. The fact that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adopted Lee Kyungry anecdotes mostly from Gyeseojaprok suggests a significant implication regarding the eventual development of the late Yi Dynasty Yadam. The 19th century Yadam anthologies did not inherit the values of earlier Yadam anthologies that stressed conjugal affection as in Dongpaeraksong, and resisted ideological censorship and embrassed the curious reincarnation as in Byeongsaejaeuonrok. It also clearly demarcated itself from the Eccentric Novel, such as Yisaengkujangjeon.
      The zeitgeist of the late Yi Dynasty was the opposite of “implementation of ideology”. However, implementation of ideology was stressed in extremity in the Yadam anthologies of this period, depending on the editors’ personalities. Furthermore ideology was strongly emphasized and idealized, for Yadam was deemed as an alternative to the real world where implementing ideology was no longer possible. Lee Kyungryu stories in Gyeseojaprok represents such a view. This might suggest that the late 19th century Yadam went into a stage of creative stasis by merely imitating and adopting the pre-existing stories. On the other hand it suggest that Yadam recognized and established its own unique generic styles and characterizations as an opposite of Eccentric Novel and Informal History. Prior to the 19th century, Yadam focused on familial side of Lee’s story, portraying Lee’s eventual reincarnation as a direct result of Lee’s affection for his son and wife. Based on the earlier anthologies of Yadam, the 19th century Yadam recreated Lee Kyungryu as a paragon of filial piety, and a patriotic and familial martyr who successfully reconstructed the order of the state and fami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이경류 이야기의 전개 양상
      • 3. 19세기 야담집들의 이경류 이야기 선택과 의미 지향
      • 4. 결론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이경류 이야기의 전개 양상
      • 3. 19세기 야담집들의 이경류 이야기 선택과 의미 지향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명기, "한국야담자료집성 7" 계명문화사 1987

      2 이강옥, "한국야담연구" 돌베개 1-635, 2006

      3 "한국문헌설화전집 5" 태학사 1981

      4 신돈복, "학산한언, In 한국문헌설화전집 8"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81

      5 "청구야담" 아세아문화사 1985

      6 이강옥, "일상의 경험을 통한 일화의 형성과 그 활용 : 정재륜(鄭載崙)의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15 (15): 3-49, 2007

      7 이강옥, "이중 언어 현상으로 본 18·19세기 야담의 구연·기록·번역" 한국고전문학회 (32) : 333-372, 2007

      8 이병직, "이동윤의 사상과 『박소촌화』의 저작 동인" 문창어문학회 39 : 2002

      9 임형택, "이규상과 『병세재언록』, In 18세기 조선인물지 병세재언록" 창작과 비평사 11-30, 1997

      10 이원명, "원본 동야휘집" 보고사 1992

      1 정명기, "한국야담자료집성 7" 계명문화사 1987

      2 이강옥, "한국야담연구" 돌베개 1-635, 2006

      3 "한국문헌설화전집 5" 태학사 1981

      4 신돈복, "학산한언, In 한국문헌설화전집 8"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81

      5 "청구야담" 아세아문화사 1985

      6 이강옥, "일상의 경험을 통한 일화의 형성과 그 활용 : 정재륜(鄭載崙)의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을 중심으로" 국문학회 15 (15): 3-49, 2007

      7 이강옥, "이중 언어 현상으로 본 18·19세기 야담의 구연·기록·번역" 한국고전문학회 (32) : 333-372, 2007

      8 이병직, "이동윤의 사상과 『박소촌화』의 저작 동인" 문창어문학회 39 : 2002

      9 임형택, "이규상과 『병세재언록』, In 18세기 조선인물지 병세재언록" 창작과 비평사 11-30, 1997

      10 이원명, "원본 동야휘집" 보고사 1992

      11 유몽인, "어우야담 원문" 돌베개 1-450, 2006

      12 노명흠, "동패락송" 아세아문화사 1990

      13 이재, "도암집(陶菴集)" 민족문화추진회 1997

      14 하은하, "귀신 이야기의 형성 과정과 문학치료적 의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5 임완혁, "구연전통과 서사" 태학사 1-447, 2008

      16 金埈亨, "紀聞叢話系 野譚集의 文獻學的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17 任完爀, "文獻傳承에 의한 野譚의 變貌 樣相 : 『東稗洛誦』 과 『溪西野譚』·『靑邱野譚』·『東野彙輯』의 관계를 中心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8

      18 "CD-ROM 국역 조선왕조실록"

      19 이규상, "18세기 조선인물지 병세재언록" 창작과 비평사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0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
      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73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