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의 함의와 한계 =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rdoliberal Econom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8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dentity and application of orderliberal economics. Ordoliberalism is an economic idea led by scholars influenced by german economist Walter Eucken. He suggests that the market order should be based on a price mechanism u...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dentity and application of orderliberal economics. Ordoliberalism is an economic idea led by scholars influenced by german economist Walter Eucken. He suggests that the market order should be based on a price mechanism under perfect competition. The proper role of state is to guarantee it.
      Ordoliberal economic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creation of the post-World War II German social market economy and its attendant ‘economic miracle.’ They were especially influential on forming a firm competition law in Germany. And the ordoliberal economics was developed by Müller-Armack into the German social market economy. This model is a fusion of order liberal economics, welfare system, and economic democracy. As this model, which sought a third way between growth and distribution, was successful, many countries tried to imitate it.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roduce the ordroliberal economics and confirm whether there is possibility of this economics as alternative economics, especially as an economic idea which is more in line with reality after 2008 global economic crisis.
      The order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examine the development of ordo liberalism. Based on this, we diagnose the implications of ordoliberalism in the real economy. Finally, we review the possibility and the limitations of ordoliberal economics to become alternative economics.
      Research has found that orderly liberal economics fundamentally links traditions of conservative economics and conservative economic policy. And the actual policy content is not much different from neoliberalism or classical liberalism. The success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in Germany is due not only to the ordoliberalism but also to the german social democratic tradition, strong labor unions and high economic productivity.
      So this study points out that order liberal economics is used as a popular policy different from its nature.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social market economy is difficult to realize in a place where there is no balance between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forces and where there is no high economic productiv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마련되지 못한 국내 경제학계의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시행되었다.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은 독일어권 지역에서 발터 오이켄의 질서...

      본 연구는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마련되지 못한 국내 경제학계의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시행되었다.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은 독일어권 지역에서 발터 오이켄의 질서자유주의 경제사상에 영향을 받은 학자들이 주도되어 만든 경제학의 전통이다. 본 연구에서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을 주목하는 이유는 2008년 세계 경제위기 이후 주류경제학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현실에 조금 더 부합하고, 현실 경제 문제에 대안이 될 경제이론의 가능성을 찾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에 대한 연구축적의 부족이 가져오는 몰이해와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의 과제는 질서자유주의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의 현실적 함의와 한계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질서 자유주의 경제사상의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질서자유주의가 현실 경제에서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를 질서자유주의 사상이 실현된 사회적 시장경제의 논의 속에서 진단한다. 마지막으로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이 대안경제학이 되기 위한 가능성과 문제점 및 그에 따른 한계를 통해 질서자유주의 경제학의 정체성을 검토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강식, "후설의 선험적 현상학은 오이켄의 질서자유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한독경상학회 34 (34): 43-70, 2016

      2 황준성, "한국 시장경제에서 하이에키안 자유주의와 오이케니안 자유주의의 비교" 한국질서경제학회 9 (9): 23-45, 2006

      3 김강식, "질서자유주의의 규범성 및 경제윤리에 대한 함의" 한국질서경제학회 19 (19): 1-17, 2016

      4 오동윤, "질서자유주의와 한국의 경제 질서" 한국질서경제학회 19 (19): 1-16, 2016

      5 심지홍, "사회적 시장경제: 사회정책으로서의 경제정책" 한독경상학회 34 (34): 141-164, 2016

      6 홍태희, "독일 빈곤의 현황과 배경" 한독경상학회 34 (34): 69-90, 2016

      7 Bontrup, H.J, "Wettbewerb und markt sind zu wenig" 13 : 25-31, 2007

      8 Van Suntum, U, "Walter Eucken’s Principles of Economic Policy Today" CAWM 2011

      9 Eucken, W, "This Unsuccessful Age or The Pains of Economic Progress"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10 Feld, L, "The German Anti-Keynes? On Walter Eucken’s Macroeconomics" 2018

      1 김강식, "후설의 선험적 현상학은 오이켄의 질서자유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한독경상학회 34 (34): 43-70, 2016

      2 황준성, "한국 시장경제에서 하이에키안 자유주의와 오이케니안 자유주의의 비교" 한국질서경제학회 9 (9): 23-45, 2006

      3 김강식, "질서자유주의의 규범성 및 경제윤리에 대한 함의" 한국질서경제학회 19 (19): 1-17, 2016

      4 오동윤, "질서자유주의와 한국의 경제 질서" 한국질서경제학회 19 (19): 1-16, 2016

      5 심지홍, "사회적 시장경제: 사회정책으로서의 경제정책" 한독경상학회 34 (34): 141-164, 2016

      6 홍태희, "독일 빈곤의 현황과 배경" 한독경상학회 34 (34): 69-90, 2016

      7 Bontrup, H.J, "Wettbewerb und markt sind zu wenig" 13 : 25-31, 2007

      8 Van Suntum, U, "Walter Eucken’s Principles of Economic Policy Today" CAWM 2011

      9 Eucken, W, "This Unsuccessful Age or The Pains of Economic Progress"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10 Feld, L, "The German Anti-Keynes? On Walter Eucken’s Macroeconomics" 2018

      11 Wohlgemuth, M, "Soziale Marktwirtschaft-damals und heute" WEI 2008

      12 Eucken, W, "Grundsätze der Wirtschaftspolitik" 1952

      13 Bofinger, P, "German macroeconomics: The long shadow of Walter Eucken" VOX CEPR 2016

      14 Hwang, J, "German Social Market Economy" Soong-Sil University Press 2011

      15 김종헌, "German Ordoliberalism as Rule Setter for the Euro Crisis" 한국질서경제학회 20 (20): 1-37, 2017

      16 Ulrich, P, "Eine wirtschaftsethische Perspektive" 1995

      17 Baethege, H, "Eine Nation im Zwiespalt" 19 : 18-2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 0.6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