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바 클래스 파일에 대한 시각화 실행 분석기 = Visualized Execution Analyzer for the Java Class Fi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2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ava language is rapidly being adopted in the Internet. The distributed applications and their application range are being expanded beyond just a programing language and developed into software applications. A variety of researches are going on wi...

      The Java language is rapidly being adopted in the Internet. The distributed applications and their application range are being expanded beyond just a programing language and developed into software applications. A variety of researches are going on with regard to the Java Virtual Machine runtime environment and methods of analyzing the Java class files and utilizing the information for applications. A class file is a converted file that is executable by the Java virtual machine. Analysis on the class file structure and the runtime processes will be convenient in arranging the decompilers and debugging the source programs. This paper is about the runtime process analyzer that presents the runtime processes, including class files, more visually. The content of a class file will be easily accessed and expressed as in a graphic user interface. The information in the class file displayed is divided into Constant_Pool, Class_file, Interface, Field, Method and Attribute with information on method area, operand stack and local variables expressed visu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바 언어는 빠른 속도로 인터넷 및 분산 응용 분야 등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단순히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이상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실행 환...

      자바 언어는 빠른 속도로 인터넷 및 분산 응용 분야 등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단순히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 이상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실행 환경인 자바 가상 기계에 연관되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자바 클래스 파일에 대한 분석 및 응용 분야에 적합한 형태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자바 언어에 대한 클래스 파일은 소스 프로그램의 의미를 자바 가상 기계에서 실행가능한 형식으로 변환된 형태이다. 이러한 클래스 파일의 구조 및 실질적인 실행 과정에 대한 분석은 디컴파일러 구성, 소스 프로그램의 디버깅 등에 편리성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클래스 파일에 대한 분석을 비롯하여 실제로 실행되는 과정을 보다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실행 분석기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클래스 파일의 내용을 GUI 환경에서와 같이 접근 및 표현이 용이하도록 구현하였다. 클래스 파일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들을 Constant_Pool 부분, Class_file 부분, Interface 부분, Field 부분, Method 부분, Attribute 부분으로 나뉘어서 나타내도록 해주었다. 또한 클래스 파일의 실행 과정에서 핵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소드 영역 정보, 오퍼란드 스택 정보, 지역 변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자바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바이트 코드 시뮬레이터" 7 (7): 2000

      2 "Virtual Machine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C C++" Wordware Publishing Inc 2002.

      3 "The K Virtual Machine KVM White Paper" Sun Microsystems 1999

      4 "The Java Virtual Machine Specification 2nd edition" Addision-Wesley 1999

      5 "Retargetable Compiler Technology for Embedded System:Tools and Applicatio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1

      6 "Linkers and Loaders" Morgan Kaufmann Publishers 2000

      7 "Joeq:A Virtual Machine and Compiler Infrastructure" ACM Press 58-66, 2003

      8 "Java Virtual Machine Programming" Info- book 2000

      9 "Java Virtual Machine" March,1997

      10 "Java Bytecode Compression for Low-End Embedded Systems" 22 (22): 471-489, May2000

      1 "자바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바이트 코드 시뮬레이터" 7 (7): 2000

      2 "Virtual Machine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C C++" Wordware Publishing Inc 2002.

      3 "The K Virtual Machine KVM White Paper" Sun Microsystems 1999

      4 "The Java Virtual Machine Specification 2nd edition" Addision-Wesley 1999

      5 "Retargetable Compiler Technology for Embedded System:Tools and Applicatio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1

      6 "Linkers and Loaders" Morgan Kaufmann Publishers 2000

      7 "Joeq:A Virtual Machine and Compiler Infrastructure" ACM Press 58-66, 2003

      8 "Java Virtual Machine Programming" Info- book 2000

      9 "Java Virtual Machine" March,1997

      10 "Java Bytecode Compression for Low-End Embedded Systems" 22 (22): 471-489, May2000

      11 "Compressing Java class files" 247-258, May,1999

      12 "Compact Java Binaries for Embedded System" IBM centre for Advanced Studies Confercence 1-14, 1999

      13 "A Java Virtual Machine Architecture for Very Small Devices" Compilers, and Tools Embedded Systems 2003, ACM Press 34-4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KCI등재
      2012-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외국어명 : The KIPS Transactions Part : A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B, C, D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외국어명 : The KIPS Transactions Part : A, B, C, D -> The KIPS Transactions Part : A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1 0.315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