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 유충의 상륙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the Climbing up of Larvae of Firefly, Luciola lateralis (Coleoptera: Lampyrid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505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애반딧불이 유충의 상륙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실내 외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실내 실험 결과에서 수온이 평균 19.3${\pm}$$0.3^{\circ}C$ 정온조건에서는 상륙 행동을 보이지 않았고, ...

      본 연구는 애반딧불이 유충의 상륙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실내 외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실내 실험 결과에서 수온이 평균 19.3${\pm}$$0.3^{\circ}C$ 정온조건에서는 상륙 행동을 보이지 않았고, 20${\sim}$$22^{\circ}C$ 변온조건(평균 20.9${\pm}$$0.9^{\circ}C$)에서는 상륙을 시도하였지만 실제로 상륙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유충들은 평균 20.8${\pm}$$0.6^{\circ}C$ 정온조건에서는 가장 활발하게 유충의 상륙이 이루어졌다. 관찰 시점에 대한 조사는 실내 실험에서 유충의 상륙 빈도는 수온 20${\sim}$$21^{\circ}C$에서 전체의 63.6%로 높게 나타났다. 자연 서식처 실험에서 수온 19.8${\sim}$$21.7^{\circ}C$ 구간에서 상륙이 이루어졌으며, 상륙빈도수가 20${\sim}$$21^{\circ}C$에서 전체의 80.4%로 높게 나타났다. 서식처 실험에서는 실내 실험에서 유충의 상륙이 관찰되지 않았던 19${\sim}$$20^{\circ}C$구간에서도 유충의 상륙이 약간 관찰되었다. 실내 실험과 자연 서식처 실험의 조사일별에 대해 수온이 20${\sim}$$21^{\circ}C$에서 상륙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실내 실험에서 유충의 상륙에서 성충의 출현까지 기간은 약 18일 소요되었으며 서식지 내에서 유충의 상륙부터 성충의 최초 출현 일과 최대 개체수 출현 일 사이의 기간 동안 기록된 수온의 구간은 19.6${\sim}$$21.8^{\circ}C$이었고 수온은 평균 20.4${\pm}$$2.3^{\circ}C$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보아 상륙에 요구되는 수온의 범위는 $20^{\circ}C$${\sim}$$21^{\circ}C$인 것으로 추정되며 가장 적정한 수온은 약 $21^{\circ}C$로 추정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bing up event of Luciola lateralis larvae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laboratory condition, the larvae did not come out of water at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 of 19.3${\p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bing up event of Luciola lateralis larvae and water temperature. In the laboratory condition, the larvae did not come out of water at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 of 19.3${\pm}$$0.3^{\circ}C$ and tried to climb up at varying temperature condition of 20${\sim}$$22^{\circ}C$ (mean temperature 20.9${\pm}$$0.9^{\circ}C$) without success. However, they climbed up at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 of 20.8${\pm}$$0.6^{\circ}C$. The frequency of the larval climbing up was highest as 63.6% at 20${\sim}$$21^{\circ}C$. The most larvae climbed up at approximately $21^{\circ}C$ of average daily water temperature, In the natural condition, the larvae climbed up at 19.8${\sim}$$21.7^{\circ}C$ and the frequency of the larval climbing up was high as 80.4% at 20${\sim}$$21^{\circ}C$. The larval climbing up was also little observed at 19${\sim}$$20^{\circ}C$ at which no larval climbing up was found in the laboratory experiment. No larvae attempted to climb up when water temperature was below $19^{\circ}C$ and above $22^{\circ}C$. It took 18 days from climbing up of larvae to appearance of adults. In its habitat, the range of water temperature required for larvae to climb up is assumed to be 19.6${\sim}$$21.8^{\circ}C$ and the most suitable water temperature may be 20.4${\pm}$$2.3^{\circ}C$. Therefore, the range of water temperature required for larvae to climb up is assumed to be 19.8${\sim}$$21.7^{\circ}C$, and the suitable water temperature range for larvae may be 20${\sim}$$21^{\circ}C$, and the most suitable temperature is thought to be $21^{\circ}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열, "溫度가 애반딧불이의 生殖과 發育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2 (42): 217-223, 2003

      2 Yuma,M, "The body size variations of the climbing larvae of the firefly, Luciola cruciata (Coleoptera; Lampyridae)" 31 : 57-66, 1981

      3 Nagane,D, "Taxonomy of Firefly"

      4 Hori, M, "Seasonal and Age-related changes in the Behaviour of the Genji Firefly, Luciola cruciata (Coleoptera, Lampyridae)" 58 (58): 863-870, 1990

      5 Noh, Y.T., "Propagation of Keorean Fireflies, Luciola lateralis Motschulsky" 20 : 1-9, 1990

      6 Ohba,N, "Firefly fauna in Kanagawa prefecture" 29 : 17-19, 1983

      7 Yajima,M, "Fireflies return to the Imperial Palace-Efforts for introduction" 34 : 26-32, 1997

      8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9 Abe,N, "Breeding fireflies at the Itabashi Firefly House, Tokyo" 34 : 20-23, 1997

      1 이기열, "溫度가 애반딧불이의 生殖과 發育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2 (42): 217-223, 2003

      2 Yuma,M, "The body size variations of the climbing larvae of the firefly, Luciola cruciata (Coleoptera; Lampyridae)" 31 : 57-66, 1981

      3 Nagane,D, "Taxonomy of Firefly"

      4 Hori, M, "Seasonal and Age-related changes in the Behaviour of the Genji Firefly, Luciola cruciata (Coleoptera, Lampyridae)" 58 (58): 863-870, 1990

      5 Noh, Y.T., "Propagation of Keorean Fireflies, Luciola lateralis Motschulsky" 20 : 1-9, 1990

      6 Ohba,N, "Firefly fauna in Kanagawa prefecture" 29 : 17-19, 1983

      7 Yajima,M, "Fireflies return to the Imperial Palace-Efforts for introduction" 34 : 26-32, 1997

      8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Korea・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Check List of Insects from korea"

      9 Abe,N, "Breeding fireflies at the Itabashi Firefly House, Tokyo" 34 : 20-23,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