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내부자적 시각으로 본 한국사회의 계급갈등 = Class Conflict in Korea: An Insider`s 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148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접근을 통해 오늘날 한국 계급갈등의 내면을 파악해보려는 것이다. 즉, 내부자적 시각(insider`s view)에 의거해 현존 계급갈등의 내재적 특성과 함의를 도출해보고자 한...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접근을 통해 오늘날 한국 계급갈등의 내면을 파악해보려는 것이다. 즉, 내부자적 시각(insider`s view)에 의거해 현존 계급갈등의 내재적 특성과 함의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자료는 국민대통합위원회가 <한국형 사회갈등 실태진단 2차 연구>를 위해 2015도에 전국 성인 남녀 1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IDI/FGI 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내부자적 시각에서 본 한국사회의 계급 상황은 격차, 경쟁, 불신, 불만, 불안, 좌절, 갈등과 같은 어휘들로 진술되어 온 외부자적 관점에 의한 진단보다 훨씬 우려스러운 상태임이 드러났다. 단절, 사투, 적의, 원한, 강박, 포기 및 정죄와 같은 감지적 개념(sensitizing concepts)들로 묘사할 수 있는 주관적 계급 상황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계급적 삶이 극한적 생존투쟁의 장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부정적 감정이 격화되고 있고, 갈등의 표적도 날로 구체화되어가는 경향도 포착되었다. 질적 분석을 통해 추출한 일련의 개념에 준거해 오늘날 한국사회의 계급현실을 한마디로 응축한다면, 불공정한 경쟁으로 인한 열패감으로 대중적 울분이 팽배해가는 고위험 상황으로 규정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jective aspect of class conflict of Korean society from an insider`s view depending on FGI and IDI. It is based on the data from 「Report of the Second Study of Social Conflict in Korea」 conducted by 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jective aspect of class conflict of Korean society from an insider`s view depending on FGI and IDI. It is based on the data from 「Report of the Second Study of Social Conflict in Korea」 conducted by Presidential Committee for National Cohesion in 2015. According to the past research, class relationship between upper and lower echelons in Korea has been represented by such terminologies as gap, competition, distrust, discontent, anxiety, frustration that lead to social conflict. However, seen from the insider`s perspective, the situation turns out to be much worse than it appears to be. The subjective or intersubjective inner world of class conflict, characterized by a those sensitizing concepts including disconnection, battle, hostility, resentment, obsession, give-up and condemnation, implies that whole society is a grand contested terrain of extreme struggle for existence. In addition, due to high social injustice and social distrust, class antipathy tends to be growing to the point that inter-class communications or collaborations are hardly feasible. To sum up the current class-landscape in light of the findings of this qualitative approach, Korean society is shifting toward the state of high risk being saturated with massive social inferiority coupled with a mixed feeling of anger and despai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에런라이크, 바버라, "희망의 배신" 부키 2016

      2 김애령,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적용의 문제: 체험연구의 현상학적 토대와 해석학적 확장" 2 (2): 231-258, 2007

      3 강원택, "한국형 사회 갈등 실태진단 연구" 대통령소속 국민대통합위원회 2014

      4 최우영, "한국사회의 잠재된 종교갈등" 73-83, 2007

      5 김문조, "한국사회의 양극화: ‘97년 외환위기와 사회불평등" 집문당 2008

      6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7 이왕원, "한국사회의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 변화: 연령, 기간 및 코호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247-284, 2016

      8 김문조, "한국사회의 계급갈등과 통합 - 분배와 인정을 넘어서" 한국사회역사학회 18 (18): 5-34, 2015

      9 서문기,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와 계층갈등" 국제학연구소 23 (23): 27-52, 2014

      10 이재경, "한국사회 젠더 갈등과 ‘사회 통합’" 한국법학원 134 (134): 94-109, 2013

      1 에런라이크, 바버라, "희망의 배신" 부키 2016

      2 김애령,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적용의 문제: 체험연구의 현상학적 토대와 해석학적 확장" 2 (2): 231-258, 2007

      3 강원택, "한국형 사회 갈등 실태진단 연구" 대통령소속 국민대통합위원회 2014

      4 최우영, "한국사회의 잠재된 종교갈등" 73-83, 2007

      5 김문조, "한국사회의 양극화: ‘97년 외환위기와 사회불평등" 집문당 2008

      6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7 이왕원, "한국사회의 계층귀속감과 상향이동의식 변화: 연령, 기간 및 코호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0 (50): 247-284, 2016

      8 김문조, "한국사회의 계급갈등과 통합 - 분배와 인정을 넘어서" 한국사회역사학회 18 (18): 5-34, 2015

      9 서문기, "한국사회의 갈등구조와 계층갈등" 국제학연구소 23 (23): 27-52, 2014

      10 이재경, "한국사회 젠더 갈등과 ‘사회 통합’" 한국법학원 134 (134): 94-109, 2013

      11 김원식, "한국사회 갈등구조와 민주적 연대"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9) : 129-154, 2010

      12 세넷, 리처드, "투게더" 현암사 2013

      13 사센, 사스키아, "축출 자본주의" 글항아리 2016

      14 김문조, "정보혁명의 사회제도적 파장: 유연화 논제를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7) : 347-381, 2010

      15 에런라이크, 바버라, "워킹 푸어 생존기" 부키 2012

      16 한병철, "심리정치: 신자유주의의 통치술" 문학과지성사 2015

      17 세넷, 리처드, "신자유주의와 인간성 파괴" 문예출판사 2002

      18 존스, 앤드루, "세계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동녘 2012

      19 유승호, "서열중독" 가쎄 2015

      20 김홍중,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 세대:마음의 사회학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회 49 (49): 179-212, 2015

      21 이재열, "사회의 질과 갈등관리" 1031-1058, 2010

      22 우명숙, "사회갈등과 사회갈등해소역량" 69-86, 2013

      23 김문조, "불확실성의 시대, 불안한 한국인" 한국이론사회학회 (21) : 611-643, 2012

      24 세넷, 리처드, "불평등 사회의 인간존중" 문예출판사 2008

      25 테일러, 찰스, "불안한 현대사회" 이학사 2003

      26 부데, 하인츠, "불안의 사회학" 동녘 2015

      27 에셀, 스테판, "분노하라" 돌베개 2011

      28 조희연, "복합적 갈등 속의 한국 민주주의" 한울 2008

      29 김원식, "배제, 물화 그리고 무시: 한국사회 갈등구조에 대한 비판이론적 분석" 중앙철학연구소 33 : 113-140, 2013

      30 카스텔, 마누엘, "밀레니엄의 종언" 한울 2003

      31 신진욱, "민주화 이후의 공론장과 사회갈등:1993년~2006년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헤드라인 뉴스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사회학회 41 (41): 57-93, 2007

      32 바우만, 지그문트, "모두스 비벤디" 후마니타스 2010

      33 뉴욕타임스, "당신의 계급사다리는 안전합니까" 사계절 2012

      34 그로스, 피터, "당신은 어떤 세계에 살고 있는가?(1)" 한울 2003

      35 바바랫, 잭, "감정의 거시사회학" 일신사 2007

      36 박길성, "갈등은 사회를 만들고, 사회는 갈등을 만든다" 고려대학교출 판부 2013

      37 조대엽, "갈등사회의 도전과 미시민주주의의 시대 : 새로운 사회갈등과 공공성 재구성에 관한 사회학적 성찰" 나남 2014

      38 구도 게이, "無業社會: 일할 수 없는 청년들의 미래" 펜타그램 2015

      39 Morris, "Views from Inside and Outside: Integrating Emic and Etic Insights about Culture and Justice Judgement" 24 (24): 781-796, 1999

      40 Wilson, C., "The Outsider" Houghton Mifflin 1956

      41 Coser, L., "The Functions of Social Conflict" The Free Press 1956

      42 Giddens, A.,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43 Powell, J. L., "Revisiting Appadurai: Globalizing Scapes in a Global World: The Pervasiveness of Economic and Cultural Power" 1 : 74-80, 2011

      44 Van Manen, M.,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Althouse 1990

      45 Williams, R., "Marxism and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46 Merton, R, "Insiders and Outsiders: A Chapter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78 (78): 9-47, 1972

      47 Michelet, J.,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7

      48 Harris, M, "History and Significance of the Emic/Etic Distinction" 5 : 329-350, 1976

      49 Van Kaam, A., "Existential Foundations of Psychology" Doubleday 1969

      50 Goodenough, W., "Description and Comparison in Cultural Anthropology" Aldine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76 1.2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