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방문화행정에서 지역문화재단의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1410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00.68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87 L. : 챠트 ;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수록
        참고문헌: 80-84장

      • 소장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와 문화산업을 통한 지역발전은 지역개발에서 상당히 오래된 주체로 문화는 새로운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기금 출연에 의해 설립되는 지역문...

      문화와 문화산업을 통한 지역발전은 지역개발에서 상당히 오래된 주체로 문화는 새로운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의 기금 출연에 의해 설립되는 지역문화재단은 지역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국가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사회문화적 차이점이 더 이상 세계화의 장애요인으로 간주되지 않고 지역적 특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문화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문화는 지역이 주체로써 지역주민의 지역적 삶과 유기적으로 연관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의 문화정체성이 형성되고 지역문화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지역에 기반하고 지역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문화재단의 설립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지방문화행정에서 지역문화재단의 체계적인 역할정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현재 지역문화행정의 주체인 지역문화재단의 현황 및 역할을 고찰하고 지역문화재단의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문화재단을 선정하여 지역문화재단의 사업활동 현황,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던 사업들의 이관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 지방자치단체와 지역문화재단의 관계설정에서의 문제, 지방자치단체 인력의 전문성에 따른 재단과의 협력관계 형성에 있어서의 문제, 지역문화예술위원회가 지역문화재단과의 기능 중복과 관련된 문제에 관하여 현장의 의견을 채집‧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지역문화재단의 역할 정립을 위한 고려 상항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culture and cultural industry as a very long main body in the regional development, the culture is drawing interest as a driving force of a new social development and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establi...

      A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culture and cultural industry as a very long main body in the regional development, the culture is drawing interest as a driving force of a new social development and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established by fund contribu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In addition, as the exchanges between nations become active, the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not considered to be a barrier reason of globalization anymore and are utilized as cultural resources to emphasize regional characteristics so that the regional culture in which a region is a main body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the local life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is, the cultural identity of a region is formed and the importance of a regional culture is emphasized so that it tends to increase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based on a region with regional characters. Accordingly, in the regional cultural administration, systematic rol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is required.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real state and role of a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as a main body of the current provincial Cultural Administration and analyze the role and function of its operation. For this, two cultural foundations were selected to carry out case analysis of the business activity state of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transfer of businesses performed by a self-governing body, the present state and barrier factors of relation establishment of the self-governing body and a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problems about formation of cooperative relations with a foundation followed by the expertise of manpower of a self-governing body and compromises on function duplication of the regional cultural art committee with a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Based on this analysis, it tried to suggest a direction of considerations for rol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of our coun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3
      • 제2장 지방문화행정의 체계 및 현황 5
      • 제1절 지역문화와 지방문화행정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방법 3
      • 제2장 지방문화행정의 체계 및 현황 5
      • 제1절 지역문화와 지방문화행정 5
      • 1. 지역문화의 개념 5
      • 2. 지방문화행정의 변천과 정책중점의 변화 7
      • 제2절 지방문화행정의 현황 15
      • 1. 지방문화행정의 주체 15
      • 1) 지방정부 15
      • 2) 지역문화예술위원회 19
      • 3) 지역문화재단 21
      • 2. 지방문화행정의 현황 23
      • 1) 지방정부의 문화관련 재정 현황 23
      • 2) 지역의 문화시설 분포 현황 25
      • 제3장 지역문화재단 활동에 대한 역할 기대 29
      • 제1절 지역문화재단 역할과 기능 29
      • 1. 지역문화재단 설립 운영의 제도적 지원체계 29
      • 2. 지역문화재단의 역할과 기능 31
      • 제2절 지역문화재단 현황 34
      • 1. 광역자치단체 지역문화재단 현황 34
      • 2. 기초자치단체 지역문화재단 현황 43
      • 제3절 지역문화재단 운영 환경의 사례분석 49
      • 1. 사례연구의 목적 및 기준 49
      • 1) 사례연구의 목적 49
      • 2) 사례선정의 기준 49
      • 2. A 문화재단 50
      • 1) 도시현황 50
      • 2) 재단의 운영현황 51
      • 3) 조사결과 요약 53
      • 3. B 문화재단 57
      • 1) 도시현황 57
      • 2) 재단의 운영현황 58
      • 3) 조사결과 요약 59
      • 4. 소결 및 정책적 함의 61
      • 제4장 지역문화재단 역할 정립을 위한 고려사항 63
      • 제1절 지역문화재단 운영 환경 관련 63
      • 1. 중앙정부 63
      • 2. 지방정부 66
      • 제2절 지역문화재단의 조직과 사업 관련 69
      • 1. 조직, 인력, 예산 69
      • 2. 사업 방향과 전략 72
      • 1) 정부 공공기관과의 협력 73
      • 2) 기업과의 협력 75
      • 제3절 지역주민 관련 76
      • 제5장 결론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