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키워드를 활용한 경제 교과서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87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문제는『경제』이며, 우리 주위에서 발생하는 모든 일들은『경제』라는 단어를 빼놓고는 이야기 할 수 없다. 그만큼 경제는 우리의 현실 생활과 가...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문제는『경제』이며, 우리 주위에서 발생하는 모든 일들은『경제』라는 단어를 빼놓고는 이야기 할 수 없다. 그만큼 경제는 우리의 현실 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분야로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현행 경제 교육은 중등학교 수업 현장 속에서 교과서를 매개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서는 교수자로 하여금 교수내용을 인지하게 하고 그것을 학생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한편, 학습자에게는 교사의 설명과 더불어 중요한 학습창구로 기능한다. 이렇듯 경제 교육에서 교과서와 교과서 집필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을 떼어 놓고 설명 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통해 경제 교육에 대해 재조명 할 것이며, 현재 검·인정제도로 편찬되고 있는 중학교『사회1』,『사회2』, 고1『사회』교과서 6종과 2009개정 교육과정시기『경제』교과서 2종, 7차 교육과정시기『경제』교과서 2종: 총 12종을 대상으로 한 키워드 분석을 하고자 한다. 교과서 키워드와 사회과 교육과정을 통한 분석의 결과물을 토대로 경제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로,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안에서 경제교육은 점차 축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로, 각 출판사 별 고1『사회』교과서 내에서 경제용어 분량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교과서는 중요한 경제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서술되어 있지 않고 있다. 셋째로, 수많은 검·인정 교과서 중 어떤 교과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경제 교육의 빈부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넷째로, 경제용어가 어렵고, 실생활과 괴리된 교수자의 수업방식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제교육 문제점을 개선의 방안으로서 학생들 사이에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온라인 게임을 활용한 수업 방법을 통해 경제 교육의 대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Economy is the issued problem around the world. The term ‘Economy’ is so closely related to all of the things that occur around us. The economic education is carried by textbook in the secondary school. The textbooks allow teacher to b...

      Recently, Economy is the issued problem around the world. The term ‘Economy’ is so closely related to all of the things that occur around us.
      The economic education is carried by textbook in the secondary school. The textbooks allow teacher to be aware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and it will be passed on to students in any way to provide idea. It can also provide study guide to students with the teacher’s description. Also, the economic education is so closely related to curriculum as the writing standard of textbooks.
      In this study, I analyzed keyword using the twelve kinds of textbooks published by official approval – the social study textbook One and Two for middle school student, six kinds of social study textbooks for high school junior students, two kinds of economic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wo kinds of economic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nth period.
      As I analyzed the textbooks keyword and the social study curriculum, I deduce a four problem. First, it is reduced the size of economic education in the social study curriculum. Second, the economic word frequency of social study textbooks in the each publisher is big difference. And some important economic terms don’t describe in the textbooks. Third, economic understanding is different from selecting some textbooks published by official approval. Finally, economic term is difficult, and the school education is a gap with the reality.
      In the improvement of economic educational issues, I suggest alternative economic education utilizing online game which is highly popular among th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ⅲ
      • 국문초록 ⅴ
      • Ⅰ. 서 론
      • 표 목차 ⅲ
      • 국문초록 ⅴ
      • Ⅰ. 서 론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 2. 연구의 방법과 범주 3
      • Ⅱ. 사회과 교육의 변천과정과 경제 과목의 현재 위치
      • 1. 사회과 교육의 변천과정 5
      • 2. 경제 과목의 현재 위치 19
      • 3. 2009개정교육과정의 경제 영역
      • 1) 중학교 『사회』에서의 경제영역 21
      • 2) 고등학교 『사회』에서의 경제영역 24
      • 3) 고등학교 『경제』에서의 경제영역 26
      • Ⅲ. 키워드를 활용한 교과서 비교 분석
      • 1. 『사회』교과서 간 비교 분석 28
      • 2. 『경제』교과서 간 비교 분석 32
      • 3. 시장경제 부문의 키워드 분석 34
      • Ⅳ. 온라인 게임을 활용한 경제교육 방안
      • 1. 학습 선정에 대한 동기 36
      • 2. 온라인 게임을 통한 학습
      • 1) 수업 진행 과정 37
      • 2) 온라인 게임을 활용한 경제 수업 학습 지도안 39
      • Ⅴ. 결론 46
      • 참고문헌 49
      • Abstract 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