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 교육교양의 원형에 대한 연구 : 천리마시대(1956-1972)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to-type of education edification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era of Chollima (1956-197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329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의 천리마시대(1956-1972)에 김일성은 사회주의농업국가를 사회주의산업국가로 만들기 위한 생산력발전은 ‘공산주의적 새인간’으로 개조되고 양성된 북한주민들이 지도자인 자신을 중...

      북한의 천리마시대(1956-1972)에 김일성은 사회주의농업국가를 사회주의산업국가로 만들기 위한 생산력발전은 ‘공산주의적 새인간’으로 개조되고 양성된 북한주민들이 지도자인 자신을 중심으로 단결하는 데 있다고 생각하였다. 김일성이 이와 같은 자신의 생각을 구현하기 위해 주체확립과 혁명적 군중노선에 입각한 천리마작업반운동을 일으켰다. 천리마작업반운동은 공업, 농업, 교육 등 모든 사회분야에서 사상혁명, 문화혁명, 기술혁명을 일으켜 북한의 모든 주민들을 ‘공산주의적 새인간’으로 개조하면서 생산력도 발전시키기 위한 군중운동이었다. 천리마작업반장들은 김일성이 만들어냈다는 청산리방법과 공산주의적 사업작풍을 리더십으로 갖춘 천리마기수가 되어야 했다. 천리마작업반은 김일성이 지도했다는 항일빨찌산을 재현한 것이며, 천리마기수들은 사회주의건설에 맞춰 재현된 항일빨찌산 대원들이었다. 항일빨찌산의 이야기는 혁명전통교양이라는 이름으로 북한주민들에게 주입되었다. 김일성에 대한 충실성교양은 북한교육의 핵심적 요소가 되었다. 천리마작업반운동이 확대되고 심화됨에 따라 김일성은 수령의 지위를 확고히 다지게 되었고, 1972년에는 북한의 주석이 되어 북한사회를 전반적으로 영도하는 유일영도자가 되었다. 천리마시대의 교육교양은 북한 교육학의 토대가 되었으며, 천리마시대에 형성된 ‘북조선인’의 사상과 인간성은 그 이후 세대의 사상과 인간성의 토대를 이루게 되었다. 주체확립과 혁명적 군중노선은 지금까지도 북한의 이데올로기의 핵심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ra of Chollima (1956-1972), the development of productive power was to transform the agricultural country into a socialist industrial country and to reform North Koreans to be 'communist new people' who would be unified and centered around the...

      In the era of Chollima (1956-1972), the development of productive power was to transform the agricultural country into a socialist industrial country and to reform North Koreans to be 'communist new people' who would be unified and centered around the leader himself, Kim Il-sung thought. To embody these thoughts, he promoted the Chollima Work Team Movement, which stressed establishing Juche and the revolutionary mass line. The Chollima Work Team Movement was a mass movement which sought to increase the productive power and to reform all of North Koreans to becoming ‘communist new people’ through thought, cultural and technological revolutions in all sectors of society, including engineering, agriculture, and education. The Chollima Work Team leaders had to become Chollima riders who acquired the Chongsan-ri Method and communist business style which is known to be made by Kim Il-sung. The Chollima work teams were reproductions of anti-Japanese guerrilla activities, which Kim Il-sung allegedly led. Also, the Chollima riders were no more than anti-Japanese guerilla fighters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North Korea. Stories of anti-Japanese guerrilla fighters were infused into North Koreans in the name of revolutionary traditional education. Cultivating loyalty to Kim Il-sung also became the key factor of North Korean school education. As the Chollima Work Team Movement was expanded and deepened, Kim Il-sung consolidated his position as the political leader. and became the unitary, supreme leader of North Korea in 1972. The educational discipline in the era of Chollima served as the foundation of North Korea's pedagogy. Likewise, ideology and human nature about 'North Koreans' formed in this period became the basis of those of later generations in North Korea. Finally, establishing Juche and the revolutionary mass line are still part of core ideology in North Korea to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검토 = 5
      •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4
      • 국문요약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목적 = 1
      • 제2절 선행연구검토 = 5
      •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4
      • 제2장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원형 형성 = 25
      • 제1절 주체확립과 혁명적 군중노선 = 26
      • 제2절 천리마작업반운동 = 37
      • 제3절 청산리방법과 대안의 사업체계 = 58
      • 제4절 공산주의적 사업작풍 = 69
      • 제5절 수령제: 공산주의와 지도자숭배 = 82
      • 제3장 북한 사회주의교육교양의 원형 형성과 변용 = 94
      • 제1절 교육적 인간상과 천리마기수 = 95
      • 제2절 교육교양방법과 청산리방법 = 105
      • 제3절 북한 사회주의교육교양의 변용 = 127
      • 제4장 교육교양내용 = 147
      • 제1절 혁명가가 되어야 한다: 혁명화 = 149
      • 제2절 계급으로서의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 노동계급화 = 166
      • 제3절 산지식인이 되어야 한다 = 182
      • 제4절 집단주의자가 되어야 한다: 집단주의교양 = 196
      • 제5절 애국자가 되어야 한다: 사회주의애국주의교양 = 229
      • 제6절 도덕적 인간이 되어야 한다: 사회주의적 생활양식교양 = 232
      • 제5장 교육교양방법 = 247
      • 제1절 서사교육 = 249
      • 제2절 설복과 교양 = 264
      • 제3절 거점, 순례, 행사, 의례를 통한 교양 = 279
      • 제4절 노동을 통한 교양 = 283
      • 제5절 실습, 실험, 연습 = 293
      • 제6절 천리마학급, 천리마학교, 모범학급, 모범학교 = 298
      • 제7절 교과수업외 활동과 자체학습 = 308
      • 제8절 자체수양 = 320
      • 제6장 ‘북조선인’의 탄생과 관점전환 = 333
      • 제1절 정체성과 관점전환 = 334
      • 제2절 북한 사회주의교육교양의 한계와 모순 = 340
      • 제3절 ‘북조선인’의 탄생과 변용 = 381
      • 제7장 결론 = 402
      • 참고문헌 = 409
      • ABSTRACT = 4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