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증거”사용에 따른 “과학적 정당화”활동의 분석 =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Justification Activities based on Evid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9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is study, inquiry-base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promoting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justifi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ir uses of scientific evidences.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5th grade science class to examine the type...

      For this study, inquiry-base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promoting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justifi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ir uses of scientific evidences.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5th grade science class to examine the types of evidences and major features of scientific justification activities.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evidences used b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knowledge-based evidence, experience-based evidence and authority-based evidence. As for students` justification features, this study reports three major cases: a case evolving evidence and justification to become more valid and logical, as inquiry activities progressed, other case maintaining less valid and illogical evidence and justification, and final case revealing passive and reluctant participation in the inquiry activities. Overall, students` participation in scientific justification process became more valid and relevant, while there were some students who were unable to make the relevant relations between evidences and claims they mad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consider more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scientific classroom environment through social knowledge constru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문,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의 언어적 행동" 20 (20): 624-633, 2000

      2 김희경,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216-1234, 2004

      3 조경희, "학생들의 수학적 정당화 유형과 논쟁 구조의 관계: 선형 연립 미분방정식의 탐구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수미, "탐구토론과정에서 초등과학영재아 의사소통의 특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심규철,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24-31, 2007

      6 김희경, "중학생의 동료간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물리 탐구: 조건, 특징, 역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7 김조연,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11 (11): 44-54, 2001

      8 이현영,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660-670, 2002

      9 박영신, "교실에서의 실질적 과학 탐구를 위한 과학적 논증 기회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 27 (27): 401-415, 2006

      10 정수진, "과학적 증거의 사용을 촉진하는 초등 과학 탐구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1 전경문,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의 언어적 행동" 20 (20): 624-633, 2000

      2 김희경,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216-1234, 2004

      3 조경희, "학생들의 수학적 정당화 유형과 논쟁 구조의 관계: 선형 연립 미분방정식의 탐구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수미, "탐구토론과정에서 초등과학영재아 의사소통의 특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심규철,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24-31, 2007

      6 김희경, "중학생의 동료간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물리 탐구: 조건, 특징, 역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7 김조연,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11 (11): 44-54, 2001

      8 이현영,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660-670, 2002

      9 박영신, "교실에서의 실질적 과학 탐구를 위한 과학적 논증 기회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 27 (27): 401-415, 2006

      10 정수진, "과학적 증거의 사용을 촉진하는 초등 과학 탐구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11 장혜선, "과학적 증거와 설명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634-649, 2003

      12 장신호, "과학적 증거 근거의 제시를 강조하는 과학 대화를 사용한 수업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96-108, 2006

      13 진순희,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지도 경험"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181-191, 2007

      14 Newton, P.,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21 (21): 553-576, 1999

      15 Watson, J. R., "Students’ discussions in practical scientific inquiries" 26 (26): 25-45, 2004

      16 Kelly, G. J., "Students' reasoning about electricity; Combining performance assessments with argumentation analysis" 20 (20): 849-871, 1998

      17 Bell, P., "Scientific arguments as learning artifacts: designing for learning from the web with KIE" 22 (22): 797-817, 2000

      18 Zembal-Saul, C., "Scaffold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vidence-based arguments during an investigation of natural selection" 32 (32): 437-463, 2002

      19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2nd ed.)" Sage 1994

      20 Gott, R., "Practical work: its role in the understanding of evidence in science" 18 (18): 791-806, 1996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262-, 1996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23 Driver, R.,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84 (84): 287-312, 2000

      24 Tytler, R., "Dimensions of evidence,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23 (23): 815-832, 2001

      25 Wu, S., "Developing sixth grader's inquiry skills to construct explanation in inquiry-based learning environment" 28 (28): 1289-1313,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28 1.78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