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연합 특허시스템의 대대적 변혁과 그 교훈 = Recast of the EU patent law system and its Lesso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3 a new era for EU patent law system was launched. The creation of the EU patent with unitary effe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nified Patent Court established a new legal framework on substantive patent protection and patent litigation in Eu...

      In 2013 a new era for EU patent law system was launched. The creation of the EU patent with unitary effe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nified Patent Court established a new legal framework on substantive patent protection and patent litigation in Europe. This year the EU Patent Package would become a reality. It includes a regulation on a unitary patent, a regulation on the translation regime and an international Agreement on the Unitary Patent Court. In contrast to the classical European patent, the post-grant life of unitary patent will be governed by the newly created unified patent court and it will have unitary effect. In this article, I highlight the effect of the unitary patent and the jurisdiction of the unified patent court over unitary patents (and ‘traditional’ patents granted under the EPC that are not opted-out) for actions in relation to patent infringement or to revocation of a European patent and to licences of right. This article explores on the one hand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patent, the classical European patent and EU patent with unitary effect and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 of unified patent court to the Brussels Ibis Regulation.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institutional changes created by the unitary patent package abd the new supplementary forum that enables the UPC to hear disputes involving defendants from third States that relate to an infringement of a European patent and give rise to damage inside as well as outside the Union. Furthermore on the perspective North-east Asia this essay examines the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EU patent pack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유럽특허제도가 대대적으로 개편됨으로써, 이제 유럽연합은 하나의 특허와 하나의 통합특허법원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2013년 유럽 특허법은 새 시대를 열었다. 유럽연합 차원에서 단...

      최근 유럽특허제도가 대대적으로 개편됨으로써, 이제 유럽연합은 하나의 특허와 하나의 통합특허법원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2013년 유럽 특허법은 새 시대를 열었다. 유럽연합 차원에서 단일한 효력을 갖는 특허를만들고 단일특허는 물론 종래의 특허도 보호하는 통합특허법원을 설립함으로써 유럽에서 특허의 실체적 보호와 특허소송에 관한 새로운 법적 체제가 갖추어졌다. 단일특허(unitary patent)는 유럽연합법에 기초하여 만들어졌으며, 통합특허법원(unified patent court)은 유럽연합 차원의 협정에 의하여 탄생된다. 통합특허법원에 관한 협정이 올해 안에 발효되어 통합특허법원이 작동하면 새로운 유럽 특허법 체제가 마무리된다. 이에 따라2018년은 유럽 차원의 단일특허와 통합특허법원 시대를 개막하는 첫 해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논문은 단일특허의 효력 범위와 단일특허 및 전통적 의미의 유럽특허와 관련한 침해소송, 유무효확인소송, 권리의 라이선스 등에 관한 통합특허법원의 관할 범위를 조망한다. 종래의 유럽특허와는 달리 일단 단일특허로 취득된 경우에는 통합특허법원에 의하여 규율되고 유럽연합 전역에서 동일한 효력이 주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한편으로는, 국내특허, 전통적 의미의 유럽특허, 그리고 단일효력이 주어지는 유럽연합 특허의 상호간 효력 범위를 검토하고, 통합특허법원과 개정 브뤼셀규정과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특히 유럽연합 내외에서 손해를 발생시킨 유럽특허 침해 사건에 제3국인이 피고로 등장하는 경우에도 통합특허법원의 관할을 발생시키는 보충적 재판적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발명을 적극 보호하여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재산제도를 벤치마킹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고 시급하다. 이 논문은 최근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유럽특허법 체제를 분석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과 교훈을 도출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특허법 체제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위한 법리의 개발과 실무의 운영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2018년 시행이 전망되는 유럽 차원의 단일특허와 통합특허법원을 집중분석하여, 2017년 초부터 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관할집중 제도에서 수용가능한 부분과 개선해 나가야 할 방향을 탐구하였다. 무엇보다 우리 나라 개정법(민사소송법)이 추구한 관할집중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할 집중에서 빠뜨린 가처분제도로 인하여 서울중앙지방법원과 서울고등법원으로 본안인 침해사건이 범람하는 현상을 타개 내지는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중앙지방법원의 중복관할을 당사자가 합의한 경우로 제한하고, 가처분항고 관할을 특허법원으로 이관시키는 내용의 법개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유럽연합 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을 포함한 3국간 지식재산제도의 협력적 제도 방안으로 절차법적 통일을 넘어 실체법적 통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진, "제3국의 관점에서 본 차세대 유럽민사소송법" 대한변호사협회 (469) : 42-66, 2017

      2 강준모, "유럽의 지식재산권 집행제도에 관한 연구 - 유럽연합의 사법기구와 국경조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6 (16): 153-198, 2013

      3 김형건, "유럽연합(EU)단일특허제도 도입에 따른 과제와 전망" 한국법제연구원 2013

      4 김용진, "유럽연합 민사집행법의 발전 현황과 시사점" 법조협회 67 (67): 326-365, 2018

      5 김성기, "유럽 통합 특허법원의 설립과 발족" 한국지식재산학회 (52) : 253-297, 2017

      6 양대승, "브렉시트 이후 유럽특허제도의 변화와 전망" 과학기술법연구원 23 (23): 48-73, 2017

      7 김용진, "범유럽 특허집행 제도의 탄생과 전망" 법조협회 67 (67): 7-50, 2018

      8 Mathias Bornhäuser, "Zur einstweiligen Einstellung der Zwangsvollstreckung im Patentverletzungsverfahren nach erstinstanzlicher Vernichtung des Klagepatents" 2015

      9 Peukert, Alexander, "Vereinheitlichung des Immaterialgüterrechts: Strukturen, Akteure, Zwecke" 81 : 2017

      10 Joshi, "Unitary Patent Protection, Unified Patent Court, Supplementary Protection Certificate and Brexit" 22 : 2017

      1 김용진, "제3국의 관점에서 본 차세대 유럽민사소송법" 대한변호사협회 (469) : 42-66, 2017

      2 강준모, "유럽의 지식재산권 집행제도에 관한 연구 - 유럽연합의 사법기구와 국경조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6 (16): 153-198, 2013

      3 김형건, "유럽연합(EU)단일특허제도 도입에 따른 과제와 전망" 한국법제연구원 2013

      4 김용진, "유럽연합 민사집행법의 발전 현황과 시사점" 법조협회 67 (67): 326-365, 2018

      5 김성기, "유럽 통합 특허법원의 설립과 발족" 한국지식재산학회 (52) : 253-297, 2017

      6 양대승, "브렉시트 이후 유럽특허제도의 변화와 전망" 과학기술법연구원 23 (23): 48-73, 2017

      7 김용진, "범유럽 특허집행 제도의 탄생과 전망" 법조협회 67 (67): 7-50, 2018

      8 Mathias Bornhäuser, "Zur einstweiligen Einstellung der Zwangsvollstreckung im Patentverletzungsverfahren nach erstinstanzlicher Vernichtung des Klagepatents" 2015

      9 Peukert, Alexander, "Vereinheitlichung des Immaterialgüterrechts: Strukturen, Akteure, Zwecke" 81 : 2017

      10 Joshi, "Unitary Patent Protection, Unified Patent Court, Supplementary Protection Certificate and Brexit" 22 : 2017

      11 Tilman Müller, "UNITARY PATENT AND NATIONAL LAW" 50 : 57-, 2015

      12 Pila, "The Unitary (EU) Patent System"

      13 Bonadio, "The EU Embraces Enhanced Cooperation in Patent Matters: Towards a Unitary Patent Protection System" 2011

      14 Pehlivan, "The Creation of a Single European Patent System: from Dream to (almost) Reality" 453 : 2012

      15 Asensio, Miguel, "Regulation (EU) No. 542/2014 and the International Jurisdiction of the Unified Patent Court"

      16 John Gladstone Mills III, "Patent Law Fundamentals" 7 : 2016

      17 Schack, "Internationales Zivilverfahrensrecht" 2017

      18 Heinze, "Internationale Zuständigkeit für Entscheidungen über die Gültigkeit ausländischer Immaterialgüterrechte" 2006

      19 Swansona, Robert, "IMPLEMENTING THE E.U. UNIFIED PATENT COURT: LESSONS FROM THE FEDERAL CIRCUIT" 9 : 169-, 2013

      20 Tilmann, Winfried, "Glücklich im Hafen: das Einheitspatent" 2015

      21 Schack, "Festschrift für Dieter Leipold" 2009

      22 Raimund Lutz, "Festschrift für Athanassios" 2012

      23 Janal, Rurth, "Europäisches Zivilverfahrensrecht und Gewerblicher Rechtsschutz" Mohr Siebeck 2015

      24 Reichhardt, "Die Auswirkung des Nichtigkeitseinwands auf die internationale Zuständigkeit in Patentstreitigkeiten" 2008

      25 Tilmann, "Das Europäische Patentsystem – Stopp vor dem Ziel?"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법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3 0.69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