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치료환경에 따른 만성정신질환자의 삶의 질 = The Quality of Life of Chronic Mental Patients according to Therapeutic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7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일 지역사회(나주시) 만성정신질환자 대상의 치료환경을 그 환경적 특성에 따라 전통적인 외래치료환경, 개방적인 입원치료환경, 폐쇄적인 입원치료환경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

      연구목적:
      일 지역사회(나주시) 만성정신질환자 대상의 치료환경을 그 환경적 특성에 따라 전통적인 외래치료환경, 개방적인 입원치료환경, 폐쇄적인 입원치료환경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치료환경에 거주하는 만성정신질환자의 주관적 및 객관적 삶의 질을 평가 비교함으로서 치료환경의 특성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전통적인 외래치료환경 환자 85명, 개방병동 입원환자 67명, 폐쇄병동 입원환자 58명이었다. 이들에게 Lehman quality of life scale을 사용하여 반구조적 면담을 시행하여 삶의 질의 객관적 및 주관적 지표들의 지수를 측정하고 세 환경간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세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ANOVA Test와 χ²검증을 사용하였다.
      결 과:
      환자들의 자율성과 다양한 정신사회재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개방병동 환자들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지역사회 및 폐쇄병동의 환자들에 비해 더 높았다.
      지역사회에서 외래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한달 쓰는 용돈이 많고 피해를 본 경험이 적었지만, 여가활동 및 사회적 접촉빈도가 입원환자에 비해 더 낮았고, 건강과 재정, 여가활동의 주관적 만족도도 더 낮았다.
      입원치료중인 만성질환자들은 지역사회 환자들에 비해 여가활동 및 사회적 접촉빈도가 더 많았고, 월 평균 쓰는 비용이 더 적었지만 주관적 만족도는 오히려 더 높았다. 또한 이들은 최근 1년간 폭력 및 비폭력에 피해를 당한 경험이 더 많았으며, 건강에 관한 만족도는 더 높았다.
      결 론:
      치료환경의 특성에 따라 만성정신질환자가 보고하는 삶의 질에 차이를 보였으며, 개방병동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성정신질환자들의 삶의 질이 가장 높았다. 향후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신사회재활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rapeutic environment by classifying into closed-ward inpatient, open-ward inpatient and community residence out-patient environment and comparing objective and subjec...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rapeutic environment by classifying into closed-ward inpatient, open-ward inpatient and community residence out-patient environment and comparing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each group.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67 open-ward chronic inpatients, 58 closed -ward inpatients in the National Naju Mental Hospital and 85 outpatients living in Naju. We measured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using semi-structural interview by Leman`s quality of life scale and compared the 3 groups. We used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3 groups.
      Results: Open-ward inpatients who have autonomy and various community service program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general life than the others.
      Community residence outpatients spent more money and less assaults experience but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contact frequencies were lower than in the inpatients. Outpatient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health, finances and leasure activities. Inpatients had made leisure activities and higher social contact frequency than outpatients.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finances despite of the spending less the money monthly than the outpatients. They experienced violence and damage more often for the past one year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health.
      Conclusions: The quality of life reported by chronic mental patients diffe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environment. The life-quality of open-ward inpatients were the highest among the 3 groups. It is necessary to serve various community service program so that we can improve the life-quality of community residence outpati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