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호화과정이 백미, 현미, 발아현미의 항산화 및 항유전 독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77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쌀은 우리의 중요한 주식으로 대부분 취반과정을 통하여 호화시킨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미, 현미, 발아현미 세 종류 쌀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T...

      쌀은 우리의 중요한 주식으로 대부분 취반과정을 통하여 호화시킨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미, 현미, 발아현미 세 종류 쌀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TPC)과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TRAP, ORAC assay) 및 항유전 독성을 분석하고 호화과정에 따른 생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페놀함량에서 현미와 발아현미는 호화 후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백미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50값을 비교한 결과, 백미는 호화과정을 거친 후에는 최고 농도를 제외한 농도에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아 IC50값을 산출할 수 없었으며 발아현미의 경우 호화전 3.3 mg/mL에서 호화 후 4.2 mg/mL로 증가한 반면, 현미는 호화 전 3.5 mg/mL에서 호화 후 3.1 mg/mL로 증가하였다. 총 항산화능을 측정한 TRAP 분석에서는 호화 전 백미와 발아현미의 경우 16.7 μg/mL에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수치가 증가하였으나, 현미의 경우 백미와 발아현미에 비해 낮은 TRAP 수치를 나타내었다. 호화 후 백미는 TRAP 수준이 낮아진 반면 현미와 발아현미의 TRAP 수준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RAC assay 결과 또한 세 가지 종류의 쌀을 비교하였을 때, 호화 전의 경우 백미가 5.1±0.2 μM TE로 가장 높았으나 호화 후 백미의 활성은 감소한 반면 현미와 발아현미는 증가하여 TRAP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억제 효과는 백미의 경우 호화 전과 후 모두 양성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현미와 발아현미의 경우 호화 전후에 상관없이 양성대조군에 비해 DNA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각 시료의 농도 간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호화과정을 거친 후 쌀을 섭취 시 백미보다 현미 또는 발아현미를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더 유익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ice is widely grown in Asia and is one of the major dietary staples in the world. Also, rice contains antioxidants which can prevent from oxidative stress related diseases, including cancer, atherosclerosis, and diabetes. Because the rice is consumed...

      Rice is widely grown in Asia and is one of the major dietary staples in the world. Also, rice contains antioxidants which can prevent from oxidative stress related diseases, including cancer, atherosclerosis, and diabetes. Because the rice is consumed cooked, the effect of the cooking process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properties of rice is lack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oking on the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white rice (WR), brown rice (BR), and germinated brown rice (GBR).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for total phenolic content (TP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RSA), total antioxidant capacity (TRAP),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The highest TPC was found in uncooked BR (18.4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After cooking, the TPC of WR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the TPC of BR and GBR were reduced by 47.7% and 36.7%, respectively. The IC50 for DPPH RS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uncooked rice, while the DPPH RSA of WR and GBR decreased after cooking and the DPPH RSA of BR significantly increased. TRAP values in BR and GBR increased after cooking, while the value of WR decreased. The ORAC values of uncooked WR, BR, and GBR were 5.3, 4.3, and 3.9 μM trolox equivalent at the concentration of 50 μg/mL. After cooking, the ORAC value of BR remained unchanged, while the value of GBR increased and the value of WR decreased. The antigenotoxic activities of WR, BR, and GBR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inhibitory effects of H₂O₂-induced DNA damage on human leukocytes using the comet assay. The results showed that all rice tested showed a significant antigenotoxic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except for the cooked white rice. Overall, our results indicate the addition of brown rice and/or germinated brown rice to cooked white rice is a good option for improving the benefits of r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흠숙,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389-394, 2006

      2 최윤희, "현미 저온저장이 쌀과 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3 (53): 179-186, 2008

      3 김대중, "품종별 현미 발아 전후의 생리활성물질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81-789, 2011

      4 이연리, "열처리 방법에 따른 마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278-282, 2012

      5 손호용, "시판 쌀 메탄올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593-598, 2005

      6 우관식, "수원 511호와 일품쌀의 항산화성분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23-1230, 2008

      7 김훈, "수삼추출물 첨가 배지에서 배양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심부발효물 조다당획분의 면역 및 암전이 억제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35-1542, 2009

      8 김대중, "벼 품종별 현미와 백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467-473, 2010

      9 이지연, "발아현미분을 첨가한 국수의 제조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981-985, 2011

      10 류기형, "발아시간과 압출성형온도가 발아현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636-642, 2007

      1 이흠숙,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389-394, 2006

      2 최윤희, "현미 저온저장이 쌀과 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3 (53): 179-186, 2008

      3 김대중, "품종별 현미 발아 전후의 생리활성물질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81-789, 2011

      4 이연리, "열처리 방법에 따른 마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278-282, 2012

      5 손호용, "시판 쌀 메탄올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593-598, 2005

      6 우관식, "수원 511호와 일품쌀의 항산화성분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1223-1230, 2008

      7 김훈, "수삼추출물 첨가 배지에서 배양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심부발효물 조다당획분의 면역 및 암전이 억제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35-1542, 2009

      8 김대중, "벼 품종별 현미와 백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467-473, 2010

      9 이지연, "발아현미분을 첨가한 국수의 제조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981-985, 2011

      10 류기형, "발아시간과 압출성형온도가 발아현미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636-642, 2007

      11 공수현, "금종쌀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807-811, 2009

      12 김경범, "국내 유통 중인 식용식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328-333, 2006

      13 Chun HS., "inhibitory effect of rice extract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esis" 26 : 188-194, 1994

      14 Rice-Evans C., "Total antioxidant status in plasma and body fluids" 234 : 279-293, 1994

      15 Oh SS., "Study on nutritional properties of sprouting brown ri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2

      16 Ronald LP., "Standardiz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53 : 4290-4302, 2005

      17 Mensor LL., "Screening of Brazilian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by the use of DPPH free radical method" 15 : 127-130, 2001

      18 Kim SK., "Radial distribution of calcium, phosphorus, iron, thiamine, and riboflavin 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11 : 122-125, 1979

      19 Yuji Y., "Preparation of co-extruded flours using germinated brown rice and barley and its antihypertensive effect" 51 : 592-603, 2004

      20 Scalbert A., "Polyphenols: antioxidants and beyond" 81 : 215S-217S, 2005

      21 Folin O.,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12 : 239-249, 1912

      22 Surh Y., "Molecular mechanisms of chemopreventive effects of selected dietary and medicinal phenolic substances" 428 : 305-327, 1999

      23 Jang SS., "Method of germinating with brown rice"

      24 Tian 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rice" 1063 : 121-128, 2005

      25 Cho D., "Health functions and utilization products of germinated brown rice" 44 (44): 76-86, 2011

      26 Kim NH., "Elimination of phenthoate residues in the washing and cooking of polished rice" 28 : 490-496, 1996

      27 Kurihara H., "Effects of oolong tea on plasma antioxidative capacity in mice loaded with restraint stress assessed using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ORAC)assay" 27 : 1093-1098, 2004

      28 Oh SH., "Effects and applications of germinated brown rice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40 (40): 41-46, 2007

      29 Ou 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49 : 4619-4626, 2001

      30 Chun HS., "Comparative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ice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31 : 1371-1377, 1999

      31 Butsat S., "Antioxidant capacities and phenolic compounds of the husk, bran, and endosperm of Thai rice" 119 : 606-613, 2010

      32 Seung-Cheol Lee, "Antioxidant Activity of Far-Infrared Radiated Rice Hull Extracts on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nd Oxidative DNA Damage in Human Lymphocyte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9 (9): 42-48, 2006

      33 Johnson IT., "Anticarcinogenic factors in plant foods: a new class of nutrients?" 7 : 175-204, 1994

      34 Singh PN., "A simple technique for quantitation of low levels of DNA damage in individual cells" 175 : 184-191,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