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악 장단 기보법의 현황 연구 :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교사대상 연수교육에 사용된 장구 장단 기보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Janggu Jangdan Notation ; Focused on elementary music textbooks and teacher training co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46887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악교육전공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75 p. ; 26cm

      • 소장기관
        • 추계예술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6차 교육과정부터 초등학교 음악교육과정에 도입된 전통음악 부분은 서양음악에 익숙한 교사나 학생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었다. 그 중에서도 장구 연주 부문은 전통음악 지도에 많은 비...

      6차 교육과정부터 초등학교 음악교육과정에 도입된 전통음악 부분은 서양음악에 익숙한 교사나 학생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주었다. 그 중에서도 장구 연주 부문은 전통음악 지도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전통음악을 담당하는 교사들을 위한 장구 연주에 관련된 연수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연수교육현장에서 교사에게 제공되는 장구 가락보는 똑같은 장구 장단을 채보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제각기 다른 기보방법을 보여주고 있어서 처음 장구를 접하는 교사들에게는 적지 않은 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사용된 중중모리, 굿거리, 자진모리, 휘모리 장구장단 기보 자료를 분석하여 그 기보 자료를 이용한 지도 방법을 연구하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 교육 현장에서 제공된 장구 장단 기보 자료의 용례를 수집하여 각각의 장구 장단 기보법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2009학년도에 발행된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장구 연주 관련 교사대상 연수에 사용된 장구 장단 기보 자료는 대부분 가로 정간보의 형태를 취하여 그 안에 부호를 넣고 밑에 구음을 다는 방법을 쓰고 있었고 간혹 서양식 리듬표기가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가락보에 따라서는 호흡을 강조하거나 타법의 강약을 표현하려는 노력이 보이기도 하였다. 정간보의 한 정간을 한 박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간혹 장단의 호흡에 따라 세 박이나 두 박을 한 정간으로 쓰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고, 구음과 부호에도 조금씩 차이를 보였으며 각 장단의 빠르기에 대해서는 보다 정확한 기준이 주어져 있지 않아 장구 연주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혼란을 줄 수 있는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음악 교과서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창작국악동요와 몇몇 가창학습에 무게를 둔 민요 단원에서 장구장단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어 추후 개정 교육과정에 수정해야할 부분으로 판단되었다.

      점점 전통음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누구나 쉽게 전통음악을 접하고 익힐 수 있게 하려면 누가 보아도 이해하기 쉬운 교육용 자료가 있어야 함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처럼 이렇게 다양한 교육용 기보자료를 정리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기보방법의 차이는 더욱더 심해질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교사를 위한 교육용 자료의 단일화내지는 일원화를 위한 작업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닐 것이나 적어도 교육을 해야 하는 교사들이 접하는 교육용 자료에 있어서는 통일된 원칙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이며 통일된 장단 기보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r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rom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has given a lot of difficulties to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western music. The section of Janggu performance especially tak...

      The par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rom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has given a lot of difficulties to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western music. The section of Janggu performance especially takes up lots of proportion in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o Janggu performance courses for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actively getting under way.

      However, textbooks or materials provided for teachers in training courses show different way of notation for the same jangdan (similar to the concept of rhythm), so they cause confusion to the teachers who are novices in playing the Janggu. Therefore, in this research, basic jangdan for 'joongjoongmori', 'Gootgeri', 'Jajinmori', 'Hwimori' list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rom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re analyzed to develop a teaching method, and from the basic materials for Janggu jangdan provided in teacher training courses are collected and merits and demerits of each notation are examined.

      Most of notation for Janggu jangdan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published in 2009 and in the materials for teacher training courses use horizontal jeongganbo (the traditional notation score in the pattern of a set of squares originally used vertically) with signs for the beating sound in it and with orals sound for the beating under it. Some notation is in the western style used by keynotes, and some has marks for breathing or dynamics for beating. In most cases, a square of jeonganbo is used for a beat of a time; however, a few cases have been identified that a square is used for two or three beats of a time based on breathing for jangdan.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marks and oral sounds for the same beating, and no accurate standard for tempo is presented. These are regarded as factors that bring about confusion to those who are not accustomed to playing the Janggu. In school music textbooks, Janggu notation is absent in the part of new children's songs composed in traditional styles and in the part of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which puts an emphasis on singing. This problem also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natural that having educational resources and materials that are easy to everybody for making them learn in an easy way as the interest in traditional music is increasing. Leaving as they are without being re-organized leads to more and more differences in notation. Although it is not such an easy way to develop unified teaching materials, it surely is necessary for teaching materials to have unified principles.

      I hope many more research will be done by many other researchers for more effective, reasonable, and unified notation of traditional rhyth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내용 및 방법 2
      • 3. 연구의 제한점 3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내용 및 방법 2
      • 3. 연구의 제한점 3
      • Ⅱ. 본론 4
      • 1.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사용된 장구 장단 기보법 4
      • 가. 3학년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장단 기보법 5
      • 나. 4학년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장단 기보법 8
      • 다. 5학년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장단 기보법 12
      • 라. 6학년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장단 기보법 15
      • 2. 초등교사 대상의 연수교육에 사용된 장구 장단 기보법 17
      • 가. 국립국악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구 장단 기보법 17
      • 나. 민족예술인총연합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구 장단 기보법 31
      • 다. 한국전통예술연구보존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구 장단 기보법
      • 36
      • 라. 전통음악교육연구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구 장단 기보법 43
      • 마. 서울초중등사물놀이교과교육연구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구 장단 기보법 46
      • 바. 남부풍물교과연구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구 장단 기보법 49
      • 사. 우리가락교사연구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장구 장단 기보법 53
      • 아. 기타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장구 장단 기보법 55
      • 3. 각 연수기관에서 사용된 장구 장단 기보법의 분석결과 57
      • 가. 장단 표기의 틀 57
      • 나. 부호와 구음 61
      • 다. 장단의 빠르기 62
      • Ⅲ. 결론 및 제언 64
      • 1. 결론 64
      • 2. 제언 66
      • < 참고문헌 > 69
      • < 표 목 차 > 70
      • < 그림목차 > 71
      •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