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CT 영상을 이용한 대퇴체부 휨의 3차원적 곡률 분석 = Three Dimensional Curvature Analysis of Femoral Shaft Bowing based on CT Im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664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관절 질환이나 내반 변형 등을 동반한 환자에게 정형외과적으로 인공슬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데 수술용 금속정을 삽입할 때 대퇴체부의 휨 정도로 인해 대퇴피질...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의 관절 질환이나 내반 변형 등을 동반한 환자에게 정형외과적으로 인공슬관절 치환술을 시행하는데 수술용 금속정을 삽입할 때 대퇴체부의 휨 정도로 인해 대퇴피질부에 손상을 주거나 2차 골절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때 대퇴체부의 중심 좌표값을 알면 금속정이 해부학적 모양의 중심으로 삽입될 수 있어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슬관절 치환술이 필요한 10명의 환자와 대퇴골 질환이 없는 정상군 10명의 대퇴부 단층촬영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좌표값을 찾은 후 Matlab을 이용하여 중심좌표값을 찾아 해부학적 모양을 반영한 그래프를 얻었고, 구간별 3차원 곡률반경 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의 대퇴골 평균 곡률반경과 표준 편차는 758.15±206.3 mm로 측정되었고, 정상군은 1672.97±395.6 mm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해 f-검정을 실행하여 두 집단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 실험군의 대퇴체부 휨 정도가 더 심함을 확일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영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중심점을 찾는다면 인공슬관절 치환술 같은 정형외과적 수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some patients with joint illnesses such as rheumarthritis or varus deformity, the total knee arthroplasty (TKA) procedures are performed. However, when inserting metal cutting guide for the procedures, due to the femoral shaft bowing, complication...

      For some patients with joint illnesses such as rheumarthritis or varus deformity, the total knee arthroplasty (TKA) procedures are performed. However, when inserting metal cutting guide for the procedures, due to the femoral shaft bowing, complications such as the cortex of the femoral shaft damages or secondary fractures can be caused. If the central coordinate value of the femoral shaft is known, the metal cutting guide could be inserted into the anatomical center, so such complications can be prevented. In this study, CT images of femoral shafts of 10 individuals in the experiment group who are in need of receiving the total knee arthroplasty procedures and those of 10 individuals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illness in the femoral shaft have been utilized to locate the 3-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Then, Matlab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central coordinate value in order to obtain a graph reflecting the anatomical shapes as well as to acquire the 3-dimensional radial curvature values by section. As a result, the average curvature range and standard deviation of femoral shafts of the experiment group was determined to be 758.15±206.3 mm whereas the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determined to be 1672.97±395.6 m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asured results was verified through f-distribution analysi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 level of curvature of the femoral shaft of the experiment group was higher. If the anatomical central points are located and analyzed using this methodology, it would be helpful in performing orthopedic operations such as the total knee arthropl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약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 Abstract
      • 요약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 Ⅳ. 고찰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관, "고관절 전치환술을 위한 수술 전 측정의 정확도: 고식적 가늠술(Acetate Templating)과 디지털 가늠술(Digital Templating)의 비교" 대한고관절학회 22 (22): 73-78, 2010

      2 Rui Niimi, "Unilateral stress fracture of the femoral shaft combined with contralateral insufficiency fracture of the femoral shaft after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13 : 572-575, 2008

      3 J. Kordelle, "Three-dimentional analysis of the proximal femur in patients with slipped capital femoral epiphysis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Study conducted at the Brigham & Women’s Hospital, Surgical Planning Laboratory, Harvard Medical School

      4 K. S. Lim, "Three Dimentional Analysis Algorithm of Femoral Shaft Bowing" 39 : 854-857, 2012

      5 Songkiat Panyachare, "The Coronal Angulation of the Femur in Thai Osteoarthritic Knee Patient with Varus Deformity" 63 (63): 147-150, 2011

      6 Hakki Muammer Karakas, "Femoral shaft bowing with age : a digital radiological study of Anatolian Caucasian adults" 14 : 29-32, 2008

      7 Ryuji Nagamine, "Femoral shaft bowing influences the correction angle for high tibial osteotomy" 12 : 214-218, 2007

      8 Larry W. Ehmke, "Femoral Nailing Through the Trochanter The Reamer Pathway Indicates a Helical Nail Shape" 20 (20): 668-674, 2006

      9 Evan Leibowitz, "Femoral Anterior Bow and Its Influence on TKA Femoral Placement and Size" 94 (94): 102-, 2012

      10 Aasis Unnanuntana, "Evaluation of Proximal Femoral Geometry Using Digital Photographs" 28 : 1399-1404, 2010

      1 황성관, "고관절 전치환술을 위한 수술 전 측정의 정확도: 고식적 가늠술(Acetate Templating)과 디지털 가늠술(Digital Templating)의 비교" 대한고관절학회 22 (22): 73-78, 2010

      2 Rui Niimi, "Unilateral stress fracture of the femoral shaft combined with contralateral insufficiency fracture of the femoral shaft after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13 : 572-575, 2008

      3 J. Kordelle, "Three-dimentional analysis of the proximal femur in patients with slipped capital femoral epiphysis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Study conducted at the Brigham & Women’s Hospital, Surgical Planning Laboratory, Harvard Medical School

      4 K. S. Lim, "Three Dimentional Analysis Algorithm of Femoral Shaft Bowing" 39 : 854-857, 2012

      5 Songkiat Panyachare, "The Coronal Angulation of the Femur in Thai Osteoarthritic Knee Patient with Varus Deformity" 63 (63): 147-150, 2011

      6 Hakki Muammer Karakas, "Femoral shaft bowing with age : a digital radiological study of Anatolian Caucasian adults" 14 : 29-32, 2008

      7 Ryuji Nagamine, "Femoral shaft bowing influences the correction angle for high tibial osteotomy" 12 : 214-218, 2007

      8 Larry W. Ehmke, "Femoral Nailing Through the Trochanter The Reamer Pathway Indicates a Helical Nail Shape" 20 (20): 668-674, 2006

      9 Evan Leibowitz, "Femoral Anterior Bow and Its Influence on TKA Femoral Placement and Size" 94 (94): 102-, 2012

      10 Aasis Unnanuntana, "Evaluation of Proximal Femoral Geometry Using Digital Photographs" 28 : 1399-1404, 2010

      11 B. J. Chung, "Differences between Sagittal Femoral Mechanical and Distal Reference Axes Should Be Considerd in Navigated TKA" 467 (467): 2403-2413, 2009

      12 Z. H. Lu, "Computed Tomographic Measurement of Gender Differences in Bowing of the Sagittal Femoral Shaft in Persons Older Than 50 Years" 27 (27): 1216-1220, 2012

      13 J. H. Jun, "A study of lateral curve angle estimation for femoral IM nail design" 326-328 : 807-81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Radiology ->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45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