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산화그래핀 층수에 따른 폴리스타이렌 표면 코팅 특성 = Coating Properties of Single and Multi-Layer Graphene Oxide on a Polystyrene Surf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12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aphene, a new material with various advantageous properties, has been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in recent years. Applications of graphene oxide are increas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s due to the different properties of graphene oxid...

      Graphene, a new material with various advantageous properties, has been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in recent years. Applications of graphene oxide are increas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s due to the different properties of graphene oxide, depending on the number of single and multiple layers of graphene. In this study, single-layer graphene oxide and multi-layer graphene oxide are spray coated on polystyrene,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coated surfaces are characterized using SEM, Raman spectroscopy, AFM, UV-Vis spectrophotometry, and contact angle measurements. In single-layer graphene oxide, particles of 20 ㎛ are observed, whereas a 2D peak is less often observed, and the difference in surface height increas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graphene oxide. Adhesion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graphene oxide up to 0.375 mg, but decreases at 0.75 mg. In multi-layer graphene oxide, particles of 5 ㎛ are observed, as well as a 2D peak. According to the amount of graphene oxide,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surface increases and the adhesive strength decreases. Both materials are hydrophilic, but single-layer graphene oxide has a hydrophilicity higher than that of multi-layer graphene oxide. We believe that multi-layer graphene oxide and single-layer graphene oxide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m suitable for appl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 S. Novoselov, 490 : 192-, 2012

      2 C. G. Lee, 53 : 31-, 2013

      3 L. M. Malard, 473 : 51-, 2009

      4 A. Reina, 9 : 30-, 2009

      5 A. Ambrosi, 114 : 7150-, 2014

      6 양희연, "환원 그래핀 산화물을 코팅한 유리 섬유의 제조 및 특성 평가" 한국고분자학회 43 (43): 952-957, 2019

      7 오필록, "폴리염화비닐/산화 그래핀 나노복합체 필름의 제조 및 특성 분석" 한국고분자학회 43 (43): 575-583, 2019

      8 김현준, "트라이볼로지 관점에서의 그래핀 분자시뮬레이션 연구동향"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36 (36): 55-63, 2020

      9 천영아, "산화그래핀 박막 코팅기술 개발 및 특성평가" 대한기계학회 39 (39): 463-469, 2015

      10 염효열, "산화 그래핀과 나노 흑연이 폴리스티렌 나노복합재료의 유변물성 및 전기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분자학회 38 (38): 502-509, 2014

      1 K. S. Novoselov, 490 : 192-, 2012

      2 C. G. Lee, 53 : 31-, 2013

      3 L. M. Malard, 473 : 51-, 2009

      4 A. Reina, 9 : 30-, 2009

      5 A. Ambrosi, 114 : 7150-, 2014

      6 양희연, "환원 그래핀 산화물을 코팅한 유리 섬유의 제조 및 특성 평가" 한국고분자학회 43 (43): 952-957, 2019

      7 오필록, "폴리염화비닐/산화 그래핀 나노복합체 필름의 제조 및 특성 분석" 한국고분자학회 43 (43): 575-583, 2019

      8 김현준, "트라이볼로지 관점에서의 그래핀 분자시뮬레이션 연구동향"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36 (36): 55-63, 2020

      9 천영아, "산화그래핀 박막 코팅기술 개발 및 특성평가" 대한기계학회 39 (39): 463-469, 2015

      10 염효열, "산화 그래핀과 나노 흑연이 폴리스티렌 나노복합재료의 유변물성 및 전기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분자학회 38 (38): 502-509, 2014

      11 김인수, "다층박막적층법을 이용한 담수화용 그래핀 나노복합체 분리막 개발" 한국막학회 28 (28): 75-82, 2018

      12 손장엽, "그래핀의 습윤성 및 제어기술" 한국세라믹학회 23 (23): 166-177, 2020

      13 한이레, "Ti (10 nm)-buffered 기판들 위에 저온에서 직접 성장된 무 전사, 대 면적, 고 품질 단층 그래핀 특성" 한국재료학회 30 (30): 142-148, 2020

      14 A.N. Kapitonov, "Characterization of Graphene Oxide Suspension for Fluorescence Quenching in DNA-Diagnostics" 한국재료학회 26 (26): 1-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3-01 평가 SCOPUS 등재 (기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5 0.15 0.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3 0.255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