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On Prosocial Behavior and Self-Expression of Low-Income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1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시 소재 D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시 소재 D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중 저소득층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동 12명을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으로 무선배치 하였다. 프로그램은 2014년 3 월 말부터 2014년 6월 초까지 주 1회, 회기 당 60분, 총 12회기 동안 해당 학교 미술실에서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고,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표현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기표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친사회적 행동척도와 자기표현 평정 척도를 측정하고 비모수적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양적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전회기 축어록 내용과 작품변화에 대해 질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결론을 얻었다.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향상과 자기표현 향상에 효과가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한국화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가활발히 이루어져 저소득층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전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on prosocial behavior and self-expression in the low-income children. The subjects were 12 students who were from the fourth grade to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on prosocial behavior and self-expression in the low-income children. The subjects were 12 students who were from the fourth grade to the sixth grade of D Elementary School in S City. Six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six became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2 weekly 60-minutes sessions from the late March to the early June in 2014.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program in the art room of D Elementary School, which was designed in order to improve prosocial behavior and self-expression. Changes in statistical data on prosocial behavior and self-expression were track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nd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prosocial behavior. Second, self-expression was improved in term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s well as the content analysis. The control group did not improved. As a resul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korean painting mater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self-expression of the low-income family in the experimental grou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진, "협동작업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3 (13): 1-1, 2006

      2 정완규, "한국화재료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9 (9): 265-286, 2009

      3 이근매, "한국화를 통한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토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2011): 1-2, 2011

      4 김유경, "한국화 재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술치료학회 15 (15): 129-148, 2008

      5 김유경, "한국화 재료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3 (13): 73-93, 2006

      6 한지혜,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359-378, 2013

      7 김우식, "한국화 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8 보건복지가족부,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2009

      9 김정효, "초등학교 집단상담의 실제" 교육과학사 2005

      10 장영애, "초등학교 아동의 다중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5 (25): 75-87, 2014

      1 이현진, "협동작업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3 (13): 1-1, 2006

      2 정완규, "한국화재료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9 (9): 265-286, 2009

      3 이근매, "한국화를 통한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토론"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1 (2011): 1-2, 2011

      4 김유경, "한국화 재료를 활용한 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술치료학회 15 (15): 129-148, 2008

      5 김유경, "한국화 재료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3 (13): 73-93, 2006

      6 한지혜,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359-378, 2013

      7 김우식, "한국화 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8 보건복지가족부,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2009

      9 김정효, "초등학교 집단상담의 실제" 교육과학사 2005

      10 장영애, "초등학교 아동의 다중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5 (25): 75-87, 2014

      11 조용진, "채색과 기법" 미진사 1994

      12 박지선,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자기표현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효과" 10 (10): 127-147, 2010

      13 정여주,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8 (28): 97-111, 2007

      14 정재원,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1125-1142, 2010

      15 오가영,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성 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국하와이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267-289, 2012

      16 장은희,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63-87, 2010

      17 정여주, "집단미술치료가 복지시설아동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6 (6): 29-42, 2006

      18 하승민,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기표현과 미술표상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한아동복지학회 9 (9): 21-39, 2011

      19 조규영, "중년여성의 한국화 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205-234, 2013

      20 변창진, "주장훈련 프로그램" 13 (13): 51-85, 1980

      21 김동연, "저소득 및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집단미술치료를 통한자기노출 사례" 8 (8): 37-72, 2001

      22 정희원,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척도개발 및 타당화 예비 연구-11, 12세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6 (26): 15-27, 2005

      23 박서정,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부모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6 : 151-172, 2003

      24 김효진, "빈곤이 아동에게 주는 영향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9 : 33-42, 2008

      25 강신덕,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효과 연구" 5 (5): 81-143, 1997

      26 한국미술치료학회,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한국미술치료학회 1994

      27 손혜주, "미술치료와 미술교육이 아동의 미술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7 (17): 549-569, 2010

      28 이채영, "만다라 기법에서의 매체가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의 이완 및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15 (15): 77-102, 2007

      29 김동연, "가족기능이 초등학생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30 Gouldner, A. W., "The norm of reciprocity : A preliminary statement" 25 (25): 161-178, 1960

      31 McLoyd, V. C.,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61 : 311-346, 1993

      32 Rakos, R. F.,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Bio Monitoring Applications 1980

      33 Rarney, C. T., "Intensive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children of poverty" 14 (14): 1-9, 1990

      34 Honing, A. S., "Helping children become more prosocial : Ideas for classrooms,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7 : 62-70, 1996

      35 Melinda, J. G., "Evaluating behavioral change in a school-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African-American urban youth" 2002

      36 Vandell, D. L., "Children of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 Choices in after-school care and child development" 27 (27): 637-643, 1991

      37 Wolpe, J., "Behavior therapy techniques" Pergamon Press 1966

      38 Grusec, J. E., "Attribution, reinforcement, and altruism : A developmental analysis" 16 : 525-534, 1980

      39 Patterson, G. R.,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antisocial behavior" 44 (44): 329-335, 1989

      40 5여성가족부, "2013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 0.92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