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우식경험 영구치 지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MFT Index between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5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oral health conditions of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South Korea using DMFT(Decay, Missing, Filling Teeth) Index. This study in adul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6th 2013 the first year of the Natio...

      This study examined the oral health conditions of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South Korea using DMFT(Decay, Missing, Filling Teeth) Index. This study in adul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6th 2013 the first year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ased on the oral examination only in Korea more than 19 years of age and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non-disabled, and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arget population is estimated to be nationwide registration handicapped by the Disabilities Act was 2,715,069 persons, national estimates of the number of non-disabled people was 37,363,571 people. The mean values of DMFT Index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8.2, and 6.85 in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p<.001).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t is deemed necessary to exert more social awareness to expand the oral health services targeted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oreover, it is also critical to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for oral health service providers prioritizing disabled pers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우식경험영구치 지수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2013년 제 6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

      본 연구는 한국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우식경험영구치 지수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2013년 제 6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의 만19세 이상으로 구강검진과 건강설문에 참여한 성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목표 모집단은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등록된 장애인으로 전국 추정수는 2,715,069명이었고, 비장애인의 전국 추정수는 37,363,571명이었다. 한국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우식경험영구치 지수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의 우식경험영구치 지수는 8.2개, 비장애인의 우식경험영구치 지수는 6.85개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p<.001). 따라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강보건 향상을 위한 장애인의 사회적 관심과 장애인의 구강보건사업의 보완 및 확대를 비롯한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장애인을 위한 치과진료실과 장애인 구강보건사업을 위해 전문 인력 확보가 적극적으로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화, "한국 성인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의 관련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119-130, 2015

      2 김영남, "포천시 초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및 구강보건행태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1 (11): 111-124, 2011

      3 최충호, "치과의사의 장애인 치과진료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7 (27): 59-74, 2003

      4 김수경, "초등학생의구강건강증진행위와구강건강상태와의관련성" 한국치위생과학회 7 (7): 271-274, 2007

      5 손홍배, "지체장애 아동을 위한 필기보조기구 디자인 연구" 디자인연구소 10 (10): 9-21, 2011

      6 이한나, "장애인의 직업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 WHODAS 2.0 활용-" 한국직업재활학회 24 (24): 5-28, 2014

      7 이종화, "장애인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503-514, 2015

      8 원상화, "자폐성장애의 임상양상에 따른 예술심리치료 적용방안"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5 (5): 61-89, 2009

      9 문희정, "일부 특수학교 장애인의 치아우식증과 식생활실천지침 이행정도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2 (12): 1193-1202, 2012

      10 양동선, "일부 시설에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구강상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6 (26): 313-322, 2002

      1 이종화, "한국 성인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의 관련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5 (5): 119-130, 2015

      2 김영남, "포천시 초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및 구강보건행태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1 (11): 111-124, 2011

      3 최충호, "치과의사의 장애인 치과진료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7 (27): 59-74, 2003

      4 김수경, "초등학생의구강건강증진행위와구강건강상태와의관련성" 한국치위생과학회 7 (7): 271-274, 2007

      5 손홍배, "지체장애 아동을 위한 필기보조기구 디자인 연구" 디자인연구소 10 (10): 9-21, 2011

      6 이한나, "장애인의 직업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 WHODAS 2.0 활용-" 한국직업재활학회 24 (24): 5-28, 2014

      7 이종화, "장애인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503-514, 2015

      8 원상화, "자폐성장애의 임상양상에 따른 예술심리치료 적용방안"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5 (5): 61-89, 2009

      9 문희정, "일부 특수학교 장애인의 치아우식증과 식생활실천지침 이행정도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2 (12): 1193-1202, 2012

      10 양동선, "일부 시설에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구강상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6 (26): 313-322, 2002

      11 서혜연, "일부 만성 정신질환자의 구강건강 상태" 한국치위생과학회 13 (13): 493-500, 2013

      12 정유진, "성인의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 15 (15): 47-54, 2015

      13 김남희, "서울․경기지역 특수학교 아동의 장애등급 및 유형별 구강보건실태조사" 한국치위생학회 7 (7): 61-72, 2007

      14 이종화, "김천지역 노인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간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 15 (15): 417-424, 2015

      15 김시원, "국제기능ㆍ건강ㆍ장애분류(ICF)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2002~2014년)"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149-172, 2015

      16 이미숙,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건강불평등의 구조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25) : 5-33, 2009

      17 "http://www.welfare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4563"

      18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20320001234&md=20120322003129_BL"

      19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48670"

      20 S. Y. Yun, "Welfare Service Us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Current State and Policy Implications" 226 : 50-60, 2015

      21 Y. N. Kim, "The status of dental caries experiences in Korean disabled people" 2 (2): 10-16, 2006

      22 H. S. Lee, "The Mobile Oral Health Survey of the Disabled in Facilities in SEOUL" 14 : 1-9, 2012

      23 E. J. Kim, "The Effects of the physical activities of development impeded children on their social maturity"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2007

      24 Public Dental Health Materials Development Committee, "Public Oral Health" Komoonsa 2013

      25 S. H. Nam, "Oral health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8 (8): 161-165, 2012

      26 H. S. Lee, "Oral health behavior of economically active women in Chollabuck Do Republic of Korea" 21 (21): 701-714, 1997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oral health survey for disabled peopl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4

      28 K. Y. Chu,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among institutionalized residents with schizophrenia in Taiwan: a cross-sectional study" 13 (13): 482-487, 2010

      29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Disabled statistics"

      30 I. Morisaki, "Disabled dental guidebook" Jee Sung 2001

      31 H. S. Na, "Disabled Welfare" Chung Ang Economic 2010

      32 G. Krahn, "Changing concepts in health, wellness, and disability" Oregan Health & Science University 6-19, 2003

      33 T. Fujiwara, "Caries prevalence and salivary mutans streptococci in 02-year-old children of Japan" 19 (19): 151-154, 1991

      34 Y. H. Hwang, "Basic information, career counseling project report"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1-238, 2003

      35 W. Loesche,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disease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elderly US veterans" 129 : 301-311, 1998

      36 B. C Park, "Alcohol and Liver disease" 16 : 145-150, 1995

      37 Y. S.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1 (1): 19-37, 2001

      38 Y. H. Lee, "A study on pattern of between-meal intake in elementary schoolchildren of Kwachon-city" 23 (23): 113-125, 1999

      39 B. H. Lee,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mergence Timing and emergence Sequence of Permanent Teeth in Korean Children for the Preventive Care" 18 (18): 458-485, 1994

      40 H. J. Kim, "A Study on oral health status and factors related with oral health among industrial workers" 28 (28): 158-167, 2002

      41 I. A. Ji, "A Study of Oral Status of Mental Retarded Children" 8 (8): 77-88, 1981

      4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Survey of Disabled" 2015

      43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2014 Disabled Statistics"

      4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Use Guidelines"

      4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13

      4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