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 후기 '中庶' 용어와 中人의 庶孼 인식 = A term of 'Chung-seo(中庶)' and the Chungin(中人)’s awareness of Seoeol(庶孼)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3653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국사학과 , 2016. 8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911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64p. : 도표 ; 26cm.

      • 일반주기명

        A term of 'Chung-seo(中庶)' and the Chungin(中人)’s awareness of Seoeol(庶孼) in the late Joseon Dynasty
        지도교수:배우성
        참고문헌 : 58-61p.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시대 신분 구조 속에서 ‘中庶’라고 불리었던 中人과 庶孼에 대해 주목하였다. 4신분제 안에서 中人層에 속해 있던 중인과 서얼은 각자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

      이 논문은 조선시대 신분 구조 속에서 ‘中庶’라고 불리었던 中人과 庶孼에 대해 주목하였다. 4신분제 안에서 中人層에 속해 있던 중인과 서얼은 각자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중서’라는 이름으로 동일시되어 불려왔다. 이 때문에 기존 연구에서는 중인과 서얼이 서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둘 사이의 내적인 균열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중서 용어의 등장과 변화에 대해 용례를 분석하고, 19세기 중인통청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중인의 서얼 인식을 살펴보았다.
      중인과 서얼을 합칭한 ‘중서’는 조선시대 官·私撰 자료에 등장한다. 중서라는 개념이 처음 등장한 17세기에는 戰亂으로 군사력 강화와 군역제 정비가 시급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良役變通이 논의되어 정책상 중인과 서얼을 동일한 범주에 포함시키면서 중서 용어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즉, 중서는 사회적 신분개념으로서 등장한 것이 아니라 국가 통치의 일환으로 등장한 용어였다.
      그러나 18세기 말 무렵 기록에는 중서에서 중인과 서얼의 의미가 분리되는 양상이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갑자기 나타난 것이라기보다 이전부터 서서히 이루어진 결과였다. 중서는 양역 대상으로 많이 언급되어 왔는데, 이 문제는 영조 26년(1750)에 均役法이 제정·시행되면서 일단락되었다. 관직의 경우는 서얼이 순차적으로 許通하게 되면서 중인과 서얼이 진출할 수 있는 관직의 범위가 달라지고 있었다. 이렇게 18세기 중반부터 서서히 중서의 의미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고, 결국 19세기 이후 중서 용어가 기록상에서 사라져갔다.
      19세기에는 중서 내부에서의 균열이 표면적으로 드러나는데, 중인의 입장에서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1851년의 중인통청운동이다. 『象院科榜』은 중인통청운동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며, 중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상원과방』을 면밀히 분석해보면, 통청운동 과정에서 중인들은 서얼을 자신들과는 다른 부류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중인의 서얼 인식은 세 가지 측면에서 드러난다. 첫 번째는 통청 요구의 비교 대상으로서의 서얼이다. 중인들이 비교 대상으로 삼은 것은 양반이 아니라 서얼이었고, 이들이 반드시 양반이 되고자 한 것은 아니었다. 두 번째는 사회적 위상의 비교 대상으로서의 서얼이다. 중인은 최소한 서얼이 허락된 관직에 자신들도 허통되려면 서얼과 동등하거나 더 나은 위상을 갖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가 있었다. 마지막은 모방의 대상으로서의 서얼이다. 중인들은 서얼의 독특한 上疏 전달 사례와 매우 비슷한 방식으로 자신들의 상소를 전달하려 하는 등 서얼을 모방하였다. 이는 현실에서의 위상이 서얼보다 아래에 있었던 중인들의 열등감이 표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Chungin and Seoeol, who were called 'Chung-seo‘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Chungin and Seoeol, who belonged to the Middle class(中人層) in the four-hierarchy system, were called by the same name 'Ch...

      This study focuses on Chungin and Seoeol, who were called 'Chung-seo‘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Joseon Dynasty. Chungin and Seoeol, who belonged to the Middle class(中人層) in the four-hierarchy system, were called by the same name 'Chung-seo,’ even if they had separate identities. Consequently, previous studies failed to properly investigate the way Chungin and Seoeol recognized one another and the internal tension between the two groups. With such conside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n the appearance and changes of the term 'Chung-seo' and the recognition on Seoeol by Chungin that was found in the process of Chungin Tongchung Movement(中人通淸運動) in the 19th century.
      'Chung-seo', a term collectively referring to Chungin and Seoeol, appears in governmental and private compilation materials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where the concept of Chung-seo first appeared, reinforcement of military force and maintenance of military service system was in urgent need due to war. In such situation, 'Yangyeok byeontong(良役變通)' was under discussion, creating the term 'Chung-seo' by including Chungin and Seoeol in the same category in terms of policy. Viz, Chung-seo was a term that appeared as a part of national governance, not as a concept of social status.
      However, in records by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 meaning of Chungin and Seoeol seems to separate in discussion of Chung-seo. Such phenomena was not sudden, but was a result that apperared gradually from the past. Chung-seo had often been discussed as the subject of 'Yangyeok(良役),' and this matter was concluded by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Gyunyeokbeop(均役法)' in the 26th year of King Yeongjo(1750). In terms of government post, Seoeol began to succeed, changing the range of government posts that Chungin and Seoeol could take. As such, the meaning of the term Chung-seo began to change gradually from the mid-18th century. Ultimately, the term Chung-seo disappeared from record after the 19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the tension within Chung-seo appears on the surface. Chungin Tongchung Movement in 1851 shows this tension well from the side of Chungin. 『Sangwon-kwabang(象院科榜)』 is the only data which explains the process of Chungin Tongchung Movement and directly presents the voice of Chungin. The analysis of 『Sangwon-kwabang』 confirms that, in the process of the Tongchung Movement, Chungin have been recognizing Seoeol as different groups from themselves.
      The recognition of Chungin on Seoeol is threefold. First is Seoeol as a subject of comparison in terms of goal of the Tongchung. The subject of comparison by Chungin were Seoeol, not Yangban, and they did not necessarily seek to become Yangban. Next is Seoeol as a subject of comparison in terms of social status. Chungin had a need to prove that they have equivalent or better status than Seo-ol if they wanted to succeed in the public offices where Seoeol were allowed to hold. Last is Seoeol as a subject of imitation. Chungin imitated Seoeol, as can be seen in their attempts to deliver their appeals in the very similar method of the unique appealing method of Seoeol. This demonstrates the inferiority of Chungin, whose status were below that of Seoeol in re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머리말 1
      • 제2장 ‘中庶’의 용례와 의미 7
      • 제1절 官·私撰 자료에 보이는 ‘中庶’ 7
      • 제2절 ‘中庶’의 분리 26
      • 제3장 중인통청운동과 中人의 庶孼 인식 34
      • 제1장 머리말 1
      • 제2장 ‘中庶’의 용례와 의미 7
      • 제1절 官·私撰 자료에 보이는 ‘中庶’ 7
      • 제2절 ‘中庶’의 분리 26
      • 제3장 중인통청운동과 中人의 庶孼 인식 34
      • 제1절 중인통청운동의 양상 34
      • 제2절 중인의 서얼 인식 38
      • 제4장 맺음말 50
      • 부록 54
      • 참고문헌 58
      • Abstract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