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임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한 진로·직업교육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 Challenges and Support Plan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Perceived by Beginni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648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임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진로·직업교육의 어려움을 밝히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로·직업교육 업무를 담당하�...

      본 연구는 초임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진로·직업교육의 어려움을 밝히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로·직업교육 업무를 담당하거나 관련 교과수업 경험이 있는 초임 중등특수교사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면담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중등특수교사들은 진로·직업교육의 어려움으로 진로·직업교육 관련 전문성 부족, 다양한 학교 환경과 학생 수준, 충분하지 않은 인적·물적 지원을 들었다. 둘째, 초임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한 진로·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으로는 초임 중등특수교사 대상 진로·직업교육 전문성 증진, 폭넓고 다양한 교육과정과 교재교구 마련, 관계기관 간 연계․협력 강화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초임 중등특수교사가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전문성을 쌓을 수 있도록 직전교육을 강화하고 연수와 멘토링 및 장학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둘째, 표준화된 진로·직업교육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학습자료 및 교재교구를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진로·직업교육 운영을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을 풍부하게 제공하고 관련된 관계기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llenge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perceived by beginni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propose support plans to resolve them. Eight beginni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llenge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perceived by beginni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propose support plans to resolve them. Eight beginni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r had experience in related subject class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irst, beginni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ressed challenge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iting a lack of expertise, diverse school environments and student levels, and insufficient human and material support. Second, proposed support plans for enhanc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s perceived by beginni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ed enhancing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tise for beginni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viding a wide range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and strengthening interagency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suggested. First, pre-service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training, mentoring, and supervising should be promoted so that beginning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build expertise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econd, a standardize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must be organized and operated,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as well as teaching resources usable in the field, must be provided. Third, abunda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interagency collabora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적응 특성 5
      • 2.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 7
      • 3. 선행연구 고찰 16
      • Ⅲ. 연구 방법 20
      • 1. 연구참여자 20
      • 2. 자료 수집 21
      • 3. 자료 분석 22
      • 4. 연구 윤리 준수 및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노력 23
      • Ⅳ. 연구 결과 24
      • 1. 초임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한 진로·직업교육의 어려움 25
      • 2. 초임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한 진로·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37
      • Ⅴ. 논의 및 제언 44
      • 참고문헌 51
      • 영문초록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