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양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초등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in Anyang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88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기도 안양시의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5∼6학년군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도출한 지역사...

      이 연구는 경기도 안양시의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5∼6학년군에 적용할 수 있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도출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환경교육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다양한 지역사회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안양시 지역사회 자원 현황을 추출하여 안양시의 생태계와 도시환경 자원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교육과정 5∼6학년군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실과, 사회과, 과학과, 국어과, 도덕과 교과서에 환경교육 관련 내용이 많이 제시되어 있다. 둘째, 교과서 분석을 토대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교육과정은 2015 개정교육과정(5·6학군)과 환경교육 내용 요소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초등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학습모형을 구안하였다. 셋째, 구안한 프로그램의 목표와 학습모형을 바탕으로 안양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초등환경교육 프로그램(안)을 개발한 다음, 전문가 검토를 받은 후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는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기’라는 오늘날 환경교육의 흐름에 발맞춰 환경문제를 자기화하고 해결방법을 생활화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환경교육 방법적인 접근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환경자원을 활용한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각 지역사회의 자연적, 사회적, 인문학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사회 자원의 발굴을 통한 여러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in Anyang city, Gyeonggi-do.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resear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in Anyang city, Gyeonggi-do.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value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local community resources of Anyang city. In addition,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elem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and content system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covering the ecosystem and urban environment were developed by extracting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resources in Anyang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extbooks of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presented in korea, moral, social, and practical arts subject.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extbooks, the curriculum us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considered the relevance of the 5th and 6th grad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 elements, and then established the program goal and step-by-step learning mode1. Third, based on the goal and learning model of the established programs, the programs were developed us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in Anyang city.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eks an environmental educational approach utilizing community resources by developing programs that can lead to the practice in life and self-improvement of environmental issues in line with today's environmental education trend of 'Think globally, Act locally'.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local environmental resources, follow-up studies in connection with community resources through the discovery of community resources that reflect the natural, social, and human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community will need to be conducted continuous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부, "환경교육진흥법 제2조"

      2 김수연, "환경교육에서 지역사회단체와 학교의 협력 사례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19-32, 2005

      3 환경부, "환경교육 발전계획(2006~2015)" 환경부 2006

      4 최돈형, "환경교육 교수‧학습론" 교육과학사 2007

      5 황철원, "한국과 미국 지역 대학생들의 환경 문제 인식에 대한 통계 분석적 비교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69-83, 2012

      6 교육부,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 및 지도서" 교육부 2015

      7 이향유, "초등사회과 지역 환경교육의 구상과 프로그램 개발 : 인천 지역의 사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이성희, "초등 STEAM 자원순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교육연구원 27 (27): 191-209, 2016

      9 교육부, "초‧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10 배동욱, "지역중심 환경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 환경부, "환경교육진흥법 제2조"

      2 김수연, "환경교육에서 지역사회단체와 학교의 협력 사례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18 (18): 19-32, 2005

      3 환경부, "환경교육 발전계획(2006~2015)" 환경부 2006

      4 최돈형, "환경교육 교수‧학습론" 교육과학사 2007

      5 황철원, "한국과 미국 지역 대학생들의 환경 문제 인식에 대한 통계 분석적 비교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 (20): 69-83, 2012

      6 교육부,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 및 지도서" 교육부 2015

      7 이향유, "초등사회과 지역 환경교육의 구상과 프로그램 개발 : 인천 지역의 사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이성희, "초등 STEAM 자원순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교육연구원 27 (27): 191-209, 2016

      9 교육부, "초‧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10 배동욱, "지역중심 환경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1 홍현진,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활동의 효율적인 운영" 74-75, 2016

      12 함다정,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57-, 2019

      13 임영이, "지역 학습경관 체험을 통한 환경감수성의 함양"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장선영,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만들기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2015 개정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15 원덕재, "주제 중심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실과의 전통문화 교육프로 개발" 10 (10): 19-40, 2004

      16 환경부, "제 4차 국가환경종합계획" 환경부 2015

      17 이선경, "자기 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의 효과" 5 : 71-88, 1993

      18 김주연, "은평구의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55-173, 2017

      19 신미숙,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 활용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2015

      20 환경부, "사회환경교육활성화방안" 환경부 2001

      21 정미영, "대도시에서의 자연체험교육과 연계한 지역화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2 이경아, "노원구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초등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교육연구원 31 (31): 37-52, 2020

      23 최석진, "국가 수준 환경교육 기준 개발 연구" 환경부‧(사)한국환경교육 2014

      24 Iozzi, L. A., "What Research Says to the Educator-Part Tw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Affective Domination" 20 (20): 6-13, 1989

      25 Clover, D. E., "The Nature of Transformation: Environmental Adult and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and ICAE 2000

      26 Gestwicki, C., "Home School, and community relation" Delmar Learning 2004

      27 최석진, "2015년 개정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에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 환경부‧(사)한국환경교육 2015

      28 이철현,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⑤ 교과서 및 지도서" ㈜미래앤 2019

      29 교육과학기술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3-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7-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7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