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기지역 삼국시대 횡혈식석실묘의 구조특징과 축조주체 검토 =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building groups of horizontal-style stone chamber tomb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Gyeonggi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6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기지역은 삼국이 모두 영유하였던 지역으로 삼국의 횡혈식석실묘가 공존하였고, 박장에 구조적 동질성이 강하여 축조주체 변별에 어려움이 많아 삼국의 고분문화 규명에 상당한 오류를 ...

      경기지역은 삼국이 모두 영유하였던 지역으로 삼국의 횡혈식석실묘가 공존하였고, 박장에 구조적 동질성이 강하여 축조주체 변별에 어려움이 많아 삼국의 고분문화 규명에 상당한 오류를 초래하였다. 그렇기에 경기지역 삼국시대 횡혈식석실묘 중 축조주체 귀속에 있어 재고의 여지가 있는 석실묘의 구조적 차이를 검토하여 축조주체를 명확히 하였다.
      기존 축조주체 관련 연구성과와 더불어 입지와 석실의 평면형태, 규격성, 축조방법, 장법 등을 보다 면밀히 검토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한성기 백제석실로 비정한 것은 고구려·신라와의 묘·장제 차이가 뚜렷하여 재론의 여지가 적은 반면, 신라 석실로 보고된 상당수 석실은 고구려 영역기에 조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축조주체 논란이 지속되었던 가락동·방이동 고분군은 가락동 3호와 5호를 제외하고는 신라 석실임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경기지역에 이식된 삼국의 고분문화가 더욱 선명해졌고, 고분을 통해 경기지역을 영유하였던 삼국의 지배양상과 사회구조를 구체화하는데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yeonggi region was an area occupied and contested by all the Three Kingdoms of Silla, Goguryeo, and Baekje, thus the horizontal tombs of the Three Kingdoms coexist. Due to the lack of burial relics and strong structural homogeneity, however, ther...

      The Gyeonggi region was an area occupied and contested by all the Three Kingdoms of Silla, Goguryeo, and Baekje, thus the horizontal tombs of the Three Kingdoms coexist. Due to the lack of burial relics and strong structural homogeneity,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errors and difficulties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tomb's origins. Therefore, the structural differences of each stone chamber tomb that had room for reconsideration were clarified among the horizontal stone chambers of the Three Kingdoms era in Gyeonggi.
      After a closer examination of the location and the floor plan, standard dimensions, construction method, and funeral methods of the stone chamber, along with the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the existing construction sites in previous stud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ekje stone chamber tombs and burial mounds of Goguryeo and Silla was clear, so there was little room for reconsideration. However, in Deokeun-dong in Goyang, Deoksori in Namyangju, Soha-dong No. 3 in Gwangmyeong, Seondong-ri Nos. 5 and 6 in Gwangju, Eobiri in Yongin, Ichiri No. 9 in Icheon, and Nos. Na-7 and 8 in Eumseong's Munchon-ri, many of the stone chambers previously reported as Silla stone chambers were found to have been built in the Goguryeo occupation time. In addition, the tombs in Garak-dong and Bangi-dong, where the controversy over who built them continued, further consolidated their status as Silla stone chamber tombs, except for Garak-dong Nos. 3 and 5. Through the results of studies such as this, cultures of the Three Kingdoms transplanted in the Gyeonggi region has become clearer, and it is expected that errors in estimating the governance pattern and social structure of each of the Three Kingdoms that had occupied the area through the tombs may be minimiz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