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주·전남 현대시문학 지도 . 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8912730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시와사람, 2001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895.71 판사항(20)

      • ISBN

        8987061493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광주

      • 서명/저자사항

        광주·전남 현대시문학 지도. 1 / 이지엽 [외]저.

      • 형태사항

        399 p. : 지도, 사진 ; 23 cm.

      • 총서사항

        시와사람총서 ; 6

      • 일반주기명

        공저자: 김선태, 정경운, 최한선
        색인수록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주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군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1. 광주 전남의 현대문학 약사 = 13
      • 2. 1990년대 호남의 시단 ― 민중시에서 생명시로 = 22
      • 3. 한국 문단의 빛 ― 광주 = 40
      • 광주의 현대시문학 = 40
      • 목차
      • 1. 광주 전남의 현대문학 약사 = 13
      • 2. 1990년대 호남의 시단 ― 민중시에서 생명시로 = 22
      • 3. 한국 문단의 빛 ― 광주 = 40
      • 광주의 현대시문학 = 40
      • 젊은 나이를 눈물로야 보낼거냐 / 박용철 = 44
      • 마른 나뭇가지 위 까마귀같이 / 김현승 = 50
      • 통일을 위해 부르는 그치지 않는 노래 / 박봉우 = 56
      • 열린 역사의식과 단절된 형식미 / 송선영 = 66
      • 일어서고 일어서는 피묻은 그리움 / 이성부 = 79
      • 잘못 뽑힌 스스로의 뿌리 / 김만옥 = 87
      • 눈꽃의 화음에 귀를 적시며 / 곽재구 = 94
      • 4. 가사문학의 산실 - 담양 = 102
      • 담양의 현대문학 = 102
      • 노래는 심장에, 이야기는 뇌수에 / 최두석 = 104
      • 뱀딸기의 노래 / 김희수 = 112
      • 눈부신 초록의 햇살 / 고재종 = 122
      • 담양의 다른 시인들 = 130
      • 시조시인·아동문학가 = 135
      • 소설가·수필가 = 138
      • 다른 문인들의 작품세계 = 146
      • 담양권의 시문학의 특질과 전통 계승 = 147
      • 5. 천년 고도의 시심을 영산강에 띄우고 - 나주 = 159
      • 나주의 현대시문학 = 159
      • 가난은 영산처럼 흐르고 / 나해철 = 160
      • 나주의 시인들 = 168
      • 6. 빛과 견고한 것에 대한 사랑 - 화순 = 187
      • 화순의 현대시문학 = 187
      • 시를 추켜든 내 청춘이 너무 보람없다함을 / 여상현 = 189
      • 사랑, 가장 빛나는 무기 /문병란 = 194
      • 7. 섬진강을 품은 시심 - 구례·곡성 = 200
      • 구례·곡성의 현대시문학 = 200
      • 좋은 시인은 소리의 그늘을 만든다 / 이시영 = 201
      • 발바닥이 다 닳도록 우리의 땅을 밟을 일이다 / 조태일 = 207
      • 8. 판소리와 유자향 - 보성·고흥 = 213
      • 보성·고흥의 현대시문학 = 213
      • 친구여, 사는 일을 묻지 말게 / 손광은 = 216
      • 무수한 불꽃으로 살아나는 무녀의 피 / 문정희 = 222
      • 정정한 눈물 돌로 눌러 죽이고 / 송수권 = 227
      • 푸른 울음을 우는 파랑새가 되다 / 한하운 = 232
      • 9. 사람의 깊이 - 순천 = 237
      • 순천의 현대시문학 = 237
      • 근심진 내 얼골처럼 무거히 나려지는 설화 / 임학수 = 240
      • 세상을 향한 아버지의 시선 / 문도채 = 246
      • 작은 것들에서 발견하는 우주의 섭리와 생명성 / 혀형만 = 252
      • 10. 시조문학의 개화지 - 영광 = 261
      • 영광의 현대문학 = 261
      • 질박한 울림과 여운 / 조운 = 265
      • 11. 해조음과 갯바람속에 피어난 문학의 꽃 - 목포 = 274
      • 목포의 현대문학 = 274
      • 비운과 미완의 청년 / 김우진 = 279
      • 몽상과 자유의 퓨리턴 / 최하림 = 284
      • 목포가 낳은 세계적인 이름 / 김지하 = 290
      • 「흑조」와 「반시」의 동인 / 김창완 = 298
      • 12. 1930년대 시문학파의 요람 - 강진 = 303
      • 강진의 현대문학 = 303
      • 남도의 찬란한 순수서정 / 김영랑 = 307
      • 무욕과 불운의 시인 / 김현구 = 315
      • 13. 한국 시문학 1번지 - 해남 = 322
      • 해남의 현대문학 = 322
      • 강강술래의 시인 / 이동주 = 330
      • 홍시하나, 아 저 조선의 마음이여 / 김남주 = 338
      • 분노와 사랑의 페미니스트 / 고정희 = 345
      • 작은 거인의 푸른 대쪽정신 / 윤금초 = 351
      • 대지여, 우리들의 영원한 어머니여 / 김준태 358
      • 형태 파괴와 역설의 달인 / 황지우 = 365
      • 해남에서 온 편지 / 이지엽 = 373
      • 인명색인 = 3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