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옵션거래지표를 통한 KOSPI200 변동성 예측 = Forcasting KOSPI200 Volatility using Option Demand Ind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7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옵션의 수요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거래량과 관련된 새로운 지표(Option Demand Index 이하 ODI)를 이용해 특정 가격대 옵션에 대한 수요의 밀집 현상과 기초자산 변동성의 인과관...

      본 논문에서는 옵션의 수요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거래량과 관련된 새로운 지표(Option Demand Index 이하 ODI)를 이용해 특정 가격대 옵션에 대한 수요의 밀집 현상과 기초자산 변동성의 인과관계를 조사한다.
      ODI는 옵션의 가격과 거래량 수준에 연동되는 지표로서 그 움직임을 이용하여 특정 가격대 옵션에 대한 수요의밀집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옵션의 수요와 기초자산 변동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ODI와 KOSPI200 변동성에 대해 그랜저 인과관계검정과 충격반응검정을 사용하였다. 검정을 통하여 ODI와 KOSPI200 변동성은 서로 쌍방향으로 인과관계가있으며, 특정 가격대 옵션의 수요에 대한 충격이 유의적으로 KOSPI200의 변동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특정 가격대 옵션에 대한 수요 밀집 현상을 ODI를 통해 확인한 이후, KOSPSI200의 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일정 수치 이상의 ODI 상승 이후에 KOSPI200의 변동성은 높은 확률로해당 연도의 평균 일일 변동성보다 상승하였으며, 일반적인 경우보다 점프 현상이 더 많이 포착되는 경향이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옵션에 대한 수요 밀집 현상이 기초자산의 변동성 확대로 진행됨을 보이며이는 시장정보의 비대칭성에 대한 근거자료로 쓰일 수 있으리라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define “Option Demand Index”(ODI) to find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underlying asset’s volatility and the demand concentrated phenomenon on options of certain strike prices. ODI is the index of option demand and volume, and we can...

      We define “Option Demand Index”(ODI) to find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underlying asset’s volatility and the demand concentrated phenomenon on options of certain strike prices. ODI is the index of option demand and volume, and we can catch the demand concentrated phenomenon on options of certain strike prices by the movement of ODI.
      We use Granger causality test and impulse response test on ODI and volatility of KOSPI200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on demand and the volatility.
      The tests show that ODI and KOSPI200 volatility has bidirectional causality, and the shocks on option demands of certain strike prices affect the KOSPI200 volatility meaningfully. We also find that KOSPI200 volatility increases more than average daily volatility with high probablity when ODI increases on a certain level. And we can catch the underlying price jump efficiently.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that demand concentrated phenomenon on options of certain strike prices increases the volatility of underly asset, and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vidence of asymmetry of market inform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 J. Christensen, "The relation between implied and realized volatility" 50 : 125-150, 1998

      2 Andrew Szakmary, "The predictive power of implied volatility․Evidence from 35 futures markets" 27 : 2151-2175, 2003

      3 Linda Canina, "The informational content of implied volatility" 6 : 659-681, 1993

      4 Kalok Chan, "The Informational Role of Stock and Option Volume" 15 : 1049-1075, 2002

      5 Pan J․A. Poteshman, "The Information in Option Volume for Future Stock Price" 19 : 871-908, 2006

      6 Easley. D.․M., "Option Volume and Stock Price:Evidence on Where Informed Traders Trade" 53 : 431-465, 1998

      7 Bent Jesper Christensen, "New evidence on implied-realized volatility relation," 8 : 187-205, 2002

      8 권상수, "KOSPI200옵션 내재변동성의 예측력" 9 (9): 25-50, 2001

      9 이재하, "KOSPI200 옵션시장에 정보거래자가 존재하는가?" 2006

      10 Black, F., "Fact and Fantasy in the use of option" 31 : 36-41, 1975

      1 B. J. Christensen, "The relation between implied and realized volatility" 50 : 125-150, 1998

      2 Andrew Szakmary, "The predictive power of implied volatility․Evidence from 35 futures markets" 27 : 2151-2175, 2003

      3 Linda Canina, "The informational content of implied volatility" 6 : 659-681, 1993

      4 Kalok Chan, "The Informational Role of Stock and Option Volume" 15 : 1049-1075, 2002

      5 Pan J․A. Poteshman, "The Information in Option Volume for Future Stock Price" 19 : 871-908, 2006

      6 Easley. D.․M., "Option Volume and Stock Price:Evidence on Where Informed Traders Trade" 53 : 431-465, 1998

      7 Bent Jesper Christensen, "New evidence on implied-realized volatility relation," 8 : 187-205, 2002

      8 권상수, "KOSPI200옵션 내재변동성의 예측력" 9 (9): 25-50, 2001

      9 이재하, "KOSPI200 옵션시장에 정보거래자가 존재하는가?" 2006

      10 Black, F., "Fact and Fantasy in the use of option" 31 : 36-41, 1975

      11 Emmanuel Latim Okumu, "Does implied volatility predict realized volatility?" Uppsala University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