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러닝 효과성의 일반화 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9730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교과부에서 추진해 온 유러닝 시범학교들의 효과를 분석해 보고 그 성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유러닝 효과성의 지표를 만족도, 효능감, ...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교과부에서 추진해 온 유러닝 시범학교들의 효과를 분석해 보고 그 성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유러닝 효과성의 지표를 만족도, 효능감, 학업성취도, 일반화 가능성으로 정하고 유러닝 연구학교의 운영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 그 시사점에 기초하여 유러닝의 효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유러닝의 일반화 방안은 도입단계, 확산단계, 정착단계로 나누어 점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는 정책, 교수-학습, 품질제고, 기술적용 등의 4개 요소로 세분해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 유러닝의 일반화 방안은 유러닝의 효과를 좌우하는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전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일반화 방안은 3단계를 통한 점진적인 방법을 취하고 있어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의 변화에도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effect of u-learning model school which have been in for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suggested a plan which we generalized the effects of u-learning. To analyzed the effects of u-learning, first of all, we set up...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effect of u-learning model school which have been in for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suggested a plan which we generalized the effects of u-learning. To analyzed the effects of u-learning, first of all, we set up indexes of u-learning effect - satisfaction measurement, efficacy measurement, the scholastic achievements,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After we reanalyzed reports of model school and papers fo u-learning, we looked for suggestions of the effects u-leaning. We draw up a plan which we generalized the effects of u-learning according to suggestions.
      We devide a plan by 3 steps - introduction step, diffusion step, fixation step and every step by 4 field - policy of u-learning, teaching & learning, quality control, technology. Because we suggested a concrete plan which we generalized the effects of u-learning, we expect to use usefully our plan at school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유러닝의 효과성
      • Ⅲ. 유러닝 연구학교의 효과성 분석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유러닝의 효과성
      • Ⅲ. 유러닝 연구학교의 효과성 분석
      • Ⅳ. 일반화 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2 김 용, "초중등 교육 이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v.2.0)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3 서정희, "미래교육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모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4 권성호, "u-러닝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한선관, "u-러닝 효과성 분석 및 u-러닝 운영 모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6 권성호, "u-러닝 코리아 로드맵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7 이인숙, "Macintosh 기반 u-러닝 연구학교 효과성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u-러닝 연구학교 1차년도 운영종합보고서" 제1부 유비쿼터스 기반 연구학교 2005

      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2 김 용, "초중등 교육 이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v.2.0)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3 서정희, "미래교육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모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4 권성호, "u-러닝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5 한선관, "u-러닝 효과성 분석 및 u-러닝 운영 모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6 권성호, "u-러닝 코리아 로드맵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7 이인숙, "Macintosh 기반 u-러닝 연구학교 효과성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u-러닝 연구학교 1차년도 운영종합보고서" 제1부 유비쿼터스 기반 연구학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