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elf-Directed Leaning in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918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를 규명하고, 학교생활 적응과 자기주도학습의 정도는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고등학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를 규명하고, 학교생활 적응과 자기주도학습의 정도는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고등학생 1512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적응 검사와 자기주도학습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에 의해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변량분석이 수행되었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학교생활 적응도가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 정도가 높고, 학교생활 적응이 자기주도학습의 전체변량의 46%를 설명하며, 학교생활 적응 하위요인들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상대적 공헌도는 교우관계, 학습지속성, 수업참여도, 규칙준수 순이다. 둘째, 학교생활 적응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their school adjust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s a function of grade le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their school adjust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s a function of grade level.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questions that this study addresses to answer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ir grade level in the degree of school adjustment? Thir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ades in the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1512 high school students sampled from 1 high school in Deajon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chool Adjustment Scale and Self-directed Learning Scale.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th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and ANOVA by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lso, the explanatory power of predictive variables(academic, social, and affective adjustment)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was approximately 46%.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grad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re weren\ 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ades in the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습자 변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예측력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2 "학습자 변인의 상호관계 탐색" 7 : 71-110, 1991

      3 "학습동기와 자아개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4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자기규제학습수준과 학업성취 및 지능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4

      5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4

      6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7 "초,중등 교실을 위한 새 교수법" 교육과학사 2002

      8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ㆍ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16 (16): 219-241, 2002

      9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ㆍ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10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26 (26): 147-162, 2005

      1 "학습자 변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예측력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2 "학습자 변인의 상호관계 탐색" 7 : 71-110, 1991

      3 "학습동기와 자아개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4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자기규제학습수준과 학업성취 및 지능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4

      5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4

      6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학습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7 "초,중등 교실을 위한 새 교수법" 교육과학사 2002

      8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ㆍ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16 (16): 219-241, 2002

      9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ㆍ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10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26 (26): 147-162, 2005

      11 "정서지능과 자아개념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적응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변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4

      13 "자아개념ㆍ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4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5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자기효능감과 수학문장 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1998

      16 "자기-조정적 학습과 동기가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1

      17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8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학적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19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9 (9): 21-40, 2003

      20 "성인교육방법론" 양서원 1997

      21 "성인과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22 "비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3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분석" 12 : 75-96, 2004

      24 "Ther self-directed learner" 2000

      25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35 : 61-79, 1997

      26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18 : 88-108, 1983

      27 "Self-direction in adult learning: Perspective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 1991

      28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Jossey-Bass 1991

      29 "Self-directed learning: Revisiting an idea most appropriate for middle school students" 1995

      30 "Self-directed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Joosey-Bass 87-90, 1985

      31 "Self-directed learning: Emerging theory nad practice" Oklahoma Research Center 1989

      32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Association Press 1975

      33 "Self-directed learning research in the community/junior college: Descriptio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 17 (17): 153-166, 1993

      34 "Self-directed learning" Jossey-Bass 25-36, 1993

      35 "Philosoph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s for Study Self-Directions on Learning"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9-24, 1992

      36 "Freedom to learn" Charles E. Merrill 1969

      3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38 : 1977

      38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2 : 9-24, 1991

      39 "Adjustment and growth: The challenge of life" Harcourt Brace 1995

      40 "Achievement goals, study strategies, and exam performance: A mediational analysis" 91 : 549-563, 1999

      41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 well-being" 24 : 330-358,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