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배재대학교 재학생 대상으로 = A Study 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sumers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 Focus on Paichai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241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sumers with regards to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on educational consume...

      This study is ab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consumers with regards to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on educational consumers (students) of Pai Chai University.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quality improvement.
      Below are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 with regards to groups (gender, nationality, college and class)?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convenience, promptness and accuracy, kindness (empathy), equity and responsiveness to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overall satisfaction evaluation in term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nationality, college, class) for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college administrative services with respect to gender (male and female).
      Second, according to nationality,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Korean and foreign nationalities. The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provided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treated without discrimination.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by dividing the respondents into colleges (Howard College, Seo Jae-pil, Appenzeler College, Kim So-wol Colle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s to convenienc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s mean score appeared to be the highest. This result might be attributed to the closeness of the Korean language center’s administration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with regards to the place where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provide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according to class, the convenience sco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 and lower grade students was high and it was lower as the upper grade. This was because the lower grade students had higher benefits of receiving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In conclusion, students had high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administrative services than average, bu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college and college. This implies that the education reality of Korea,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capacity requi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oriented are focusing on performance rather than interest in students.
      In order to survive in the fierce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if various programs, customized education and high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s are provided to students who are educational consumers, it will have mor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administrative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university administration services qual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search is needed to ensure that efforts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are establish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배재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대학행정서비스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학...

      본 연구는 배재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대학행정서비스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학행정서비스가 지향해야하는 점과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연구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배경변인(성별, 국적, 단과대학,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편리성, 신속성 및 정확성, 친절성(공감), 형평성, 대응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배경변인(성별, 국적, 단과대학, 학년)에 따라 전체 만족도 평가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었으며, 대학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교육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성별에 차별없이 제공하였다.

      둘째, 국적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자는 내국인으로, 대한민국 국적자를 제외한 자는 외국인으로 구분하여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없었으며, 대학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차별없이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셋째, 하워드대학, 서재필대학, 아펜젤러대학, 김소월대학, 한국어교육원으로 구분하여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편리성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높았던 한국어교육원은 대학행정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무실의 위치와 안내표시, 공부하는 분위기, 기본 교육시설의 위치에 대해 만족도 점수가 높았으며,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가 학생들이 느끼는 만족도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년에 따라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교육원과 저학년 학생들이 편리성 점수가 높았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낮았다. 이는 저학년일수록 대학행정서비스의 절차에 대한 홍보와 전화번호 안내 서비스, 기본 교육시설 등에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이 보통이상으로 대학행정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가 높았지만, 단과대학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교육현실과 교육부에서 요구하는 교육역량강화, 성과중심 등을 중점적으로 학생들에게 흥미보다는 성과위주로 피로감을 쌓고 있다고 여겨진다.
      앞으로 점점 더 치열한 대학 간 경쟁구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과 맞춤식 교육 및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대학교육행정서비스에 관한 인식과 만족도 그 이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대학행정서비스는 질적, 양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과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수 있도록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