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國 山東省 靑州 출토 馬具와 三燕馬具 = The harness excavated from Qingzhou, Shandong and the SanYan Har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근년 중국『文物』第2期에 山東省 靑州市에서 출토된 일괄 마구가 보고되었다. 산동성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 십육국시기의 마구로, 삼엽형판비 1점, 금동제등자 2점, 규형행엽 7점, 좌목식...

      근년 중국『文物』第2期에 山東省 靑州市에서 출토된 일괄 마구가 보고되었다. 산동성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된 십육국시기의 마구로, 삼엽형판비 1점, 금동제등자 2점, 규형행엽 7점, 좌목식금구 1점, 역반구형 발부를 가진 입주부운주 다수, 마령이 출토되었고, 상단에 장방형 투공이 있는 반구형금구 3점, 삼환령 혹은 사환령의 일부 편, 마면의 상단 장식으로 추정되는 편도 확인되었다. 개별 마구 型式과 조합 그리고 마장으로 볼 때, 운동장묘 일괄 마구는 삼연마구에 속한다. 판비의 지판에 별도의 주연대가 결합되는 제법과 삼엽의 하변이 넓어지며, 입문을 제외한 종:횡 비율이 줄어드는 변화 양상, 금동제등자의 쌍등 채용, 답수부 중앙 돌출도의 퇴화 및 前面 문양 시문, 좌목식금구 돌출부 하단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특징, 규형행엽의 쌍두조문 도안의 간략화, 입주부운주의 중앙 돌출부의 반구화 및 발부 테두리 부분의 폭 증가 등에서, 효민둔154호, 원대자벽화묘, 라마동ⅡM202호, 십이대전창88M1호 등 Ⅰ·Ⅱ단계 삼연마구의 연속선상에 있으며, 삼연마구 Ⅲ단계에 속한다. 이 단계는 4세기 4/4분기에 해당 하며, 前燕 멸망 이후의 시기이다. 청주시는 한의 曹嶷이 廣固城을 축조한 이후 臨淄를 대신하여 청주의 중심이 되었다. 356년~370년은 전연, 370년~384년은 전진, 384년~399년은 동진의 영토였으며, 399년~410년까지는 남연의 수도였다. 4세기 4/4분기, 청주가 전진, 동진, 남연의 영토였다 하더라도 운동장묘 마구를 전진마구, 동진마구 혹은 남연마구로 보기는 어렵다. 운동장묘 마구는 전연의 마구 제작 전통을 이어받은 후연마구로 보는 것이 합당하며, 그 피장자는 광고에 정착한 前燕의 후예거나 동진에 귀부한 後燕人일 가능성이 높으며, 후연의 장식마구를 입수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東晉人일 가능성도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harness excavated from a destroyed tomb in a stadium in Qingzhou, Shandong is reported in the volume 2 nd of Wenwu. It is checked about 90 pieces of gilt bronze include the harness and a buckle in this tomb. There is a bit with three-lea...

      Recently, the harness excavated from a destroyed tomb in a stadium in Qingzhou, Shandong is reported in the volume 2 nd of Wenwu. It is checked about 90 pieces of gilt bronze include the harness and a buckle in this tomb. There is a bit with three-leaves shaped plate, two gilt bronze stirrups, seven pentagonal pendants, an ornament of saddle seat, a lot of cylinder-like column links and two kinds of bells and so on. There is no doubt that it belongs to the SanYan harnes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chnique and shape of the bit, the adoption of the double- stirrups, the decoration and the change of the pedal part, the arch part of the ornament of saddle seat, the simplification of the twin-head bird pattern, the change of the shape of the cylinder-like column link, it is latter than the harness of QianYan Period of the No.154 tomb of Xiaomintun, Yuantaizi tomb, No.202 tomb of Lamadong and No.1 of Shiertaizhuanchang. It corresponds to the last quarter of the 4th century after the collapse of QianYan. Qingzhou became a centre of the Qingzhou after Caoyi constructed Guanggu Castle. It belongs to QianYan from 351 to 370, QianQin from 370 to 384, DongJin from 384 to 399 and became a capital of NanYan from 399 to 410. Even thogh Qingzhou was a part of QianQin, Dongjing and NanYan in the last quarter of the 4 th century, the harness from the stadium should not belong to the harness of these countries. It is certain that this is the harness of HouYan that inherited a tradition of QianYan. The buried person of this tomb should be a descendant of QianYan or a figure of HouYan who surrended to Dongjin. It might be a figure of Dongjin who can obtain the decorating harness of HouY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산동성 청주 출토 마구 검토 Ⅲ. 산동성 청주 출토 마구의 계통 및 시·공간적 위치 Ⅳ. 청주지역 삼연마구 출현의 역사적 배경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산동성 청주 출토 마구 검토 Ⅲ. 산동성 청주 출토 마구의 계통 및 시·공간적 위치 Ⅳ. 청주지역 삼연마구 출현의 역사적 배경 Ⅴ.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