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 영어 교육에서의 교과 통합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ntegrated En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999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효과적인 초등 영어 교육을 위한 교과 통합의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영어를 중심으로 미술, 체육, 사회 세 과목의 교과 통합 수업 차시별 지도안을 구안하여 교과 통합 수업의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초등 영어 교육을 위한 교과 통합의 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영어를 중심으로 미술, 체육, 사회 세 과목의 교과 통합 수업 차시별 지도안을 구안하여 교과 통합 수업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교과 통합 영어교육의 이론적인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법, 총체적 언어교육, 그리고 다중 지능 이론의 세 가지 주요 제2언어 학습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하여 교과 통합의 의의와 필요성을 찾고자 하였다.
      영어를 중심으로 한 교과통합의 유형에서는 영어 수업 내용을 타 교과 수업내용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영어 학습에 타 교과에서 학습한 기법 적용시키기, 영어 수업에 타 교과의 소재를 도입하기, 완전히 영어로 타 교과를 가르치기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과 통합의 방법에서는 주제 중심 통합, 스토리 중심의 통합, 탐구활동 중심 통합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교과 통합의 유형과 방법 등을 바탕으로 한 교과통합 교수 모형의 한 예로 영어와 미술, 체육, 사회과를 통합한 차시별 수업안을 구안하여 교과 통합 수업의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영어 수업 시간의 부족과 초등영어 교사의 전문성 부족, 과밀 학급 등의 우리 영어 교육의 현실에도, 교사의 통합 교?과 교육에 대한 믿음과 의지가 선행된다면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들은 점진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주제 중심, 이야기 중심 또는 탐구활동 중심의 통합 교과 방법 등을 기본으로, 기존의 교과서에서 통합이 가능한 부분을 찾아내어 수업을 계획하고, 자신의 학급에 맞게 재조정하여 실제 수업에 투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통합수업을 점차적으로 늘려나가면서 교육 과정을 융통성있게 응용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 사용 기회가 확대되어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the desire to suggest the specific means to integrate the curriculum text for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by compiling three subjects Arts, Physic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in one text on the English base. The study has b...

      This study begins with the desire to suggest the specific means to integrate the curriculum text for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by compiling three subjects Arts, Physic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in one text on the English base.
      The study has been done by following order.
      Searched three important Areas, the 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whole language and multiple intelligence (the second foreign language theory) in order to establish principal needs and the meaning of the combined English teaching text.
      As for the English based combined text; following has been carefully considered.
      1) Using the contents of English text as basic material for teaching other subjects.
      2) Implementing technics used in other subjects for teaching English.
      3) Using resources from other subjects for teaching English.
      4) Teaching other subjects completely in English.
      Also as for the combining texts, following points are studied.
      1) Theme focussed Combining
      2) Story Oriented Combining and
      3) Searching Activity Oriented Combining.
      According to above mentioned study results I'm proposing a selective teaching plan that combines English, Arts, Physic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to suggest a specific text combined teaching plan.
      Insufficient English teaching hour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teachers and the crowded class conditions are the dull realities of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of the Country and I am confident that these hazards can be removed gradually when we can adopt the combined text concept with strong commitment.
      Furthermore teachers should find out through studies the combining possible elements from the various texts, basically based on 1) Theme focused 2) Story Oriented and 3) Searching Activity Oriented teaching technics and prepare their teaching pla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lasses.
      When the Combined text method is gradually expended the administration of the curriculum will also flow better with flexibility.
      Consequently, the ability of English communication of the students will be improved through expanded English using opportu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내용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목차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내용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2.1. 제2언어 습득 이론 = 4
      • 2.1.1. 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법 = 4
      • 2.1.2. 총체적 언어접근법 = 7
      • 2.1.3. 다중 지능 이론 = 10
      • 2.2. 영어 중심 교과 통합의 의의와 필요성 = 12
      • 2.2.1. 교과 통합의 의의 = 12
      • 2.2.2. 교과 통합의 필요성 = 14
      • Ⅲ. 영어 중심 교과 통합의 유형과 방법 = 16
      • 3.1. 영어 중심 교과 통합의 유형 = 16
      • 3.2. 영어 중심 교과 통합의 방법 = 18
      • 3.2.1. 주제 중심 통합 = 19
      • 3.2.2. 이야기 중심 통합 = 21
      • 3.2.3. 탐구 활동 중심 통합 = 23
      • Ⅳ. 교과 통합 영어 교수 모형 = 26
      • 4.1. 통합 교수 모형 = 26
      • 4.2. 지도안 작성 = 28
      • 4.2.1. 영어 영어, 미술 통합 교수활동 = 28
      • 4.2.2. 영어 영어, 체육 통합 교수활동 = 33
      • 4.2.3. 영어 영어, 사회 통합 교수활동 = 42
      • Ⅴ. 결론 및 제언 = 51
      • 참고문헌 = 53
      • Abstract =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