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목의 의료제도 및 醫政 = A study on the medical system and policies of Jeju-mok in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9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제주는 섬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관찰영과 병영 단위에 파견되는 심약이 단독으로 배치되는 등 의료제도 면에 있어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독특한 면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

      조선시대 제주는 섬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관찰영과 병영 단위에 파견되는 심약이 단독으로 배치되는 등 의료제도 면에 있어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독특한 면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후기 제주목의 의료제도 및 의정 전반에 걸쳐 여러 사료로서 고증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제주심약의 업무와 인물들을 보면, 조선시대 제주의료의 태생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제주심약은 다른 제도심약에 비하여 의약에만 종사하기 어려운 상황, 주요 의관 가계들의 기피로 의관 자질의 질적인 하락이라는 이중의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의생을 통한 제주의 공공의료 구축은 실패하였다. 제주의생은 18세기 초반 공공의료에 있어 분명 필수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정원 등에서 연속성은 없었다. 의생을 맡은 향리는 필요에 의해 여러 향임을 맡았다. 따라서 의약에 대한 전문성은 결여 내지 부족하였다. 셋째 제주약포의 재배 약재는 제도권 의학을 위한 약재 수급의 실패를 보여준다. 제주에서 제도권 의약을 시행하기 위한 정도의 약재는 수급이 불가능하였다. 그렇다면 대체할 수 있는 향토 약재의 발굴이나, 외부에서의 반입이 필요했을 것인데 그러한 노력도 거의 없었다. 결론적으로 조선후기 제주는 중앙에서 행해지는 제도권 의약에 대한 기반 구축이 실패하였다. 의료를 시행하는 주체, 의료에 쓸 수 있는 약재 등이 모두 결여되거나 부족하였다. 조선후기 제주가 전래의 巫醫를 계속적으로 따른 것은 다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had a unique aspect that differentiated it from other regions in terms of medical system, such as the exclusive deployment of shimyak dispatched to Gamyeong and Barracks units due to the uniqueness of being an island. T...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had a unique aspect that differentiated it from other regions in terms of medical system, such as the exclusive deployment of shimyak dispatched to Gamyeong and Barracks units due to the uniqueness of being an island.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verified as various historical sources throughout the medical system and procedures of Je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the following significant conclusions were drawn. 1) Looking at the work and characters of Jejushimyak, it shows the inherent limitations of Jeju medical care in the Joseon Dynasty. Compared to other multiple regions’s shimyak, Jejushimyak had two limitations: it was difficult to engage in only medicine, and the quality of medical doctors declined due to the avoidance of major medical doctors households. 2) The establishment of public health care in Jeju through Medical Cadets failed. Jeju medical science obviously played an essential role in public health care in the early 18th century. However, there was no continuity in the garden, etc. Hyangri, who was in charge of Medical Cadets, was in charge of various fragrances as needed. Thus expertise in medicine was lacking or lacking. 3) The cultivated herbs of Jeju’s herb field show the failure of supply of herbs for institutional medicine. It was impossible to supply enough herbs to implement institutional medicine in Jeju. In that case, it would have been necessary to discover alternative local herbs or to bring them in from outside, but there was hardly any such effort. In conclu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ju fail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entrally administered institutional medicine. There was a lack or lack of all the entities that provided medical care and herbs that could be used for medical care. The reason that Jeju continued to follow traditional shaman medicin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because there was no other alterna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현, "한의학고서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25-628, 2019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DB (2021.6.1.)"

      4 이원조, "탐라지초본 하" 제주교육박물관 3-413, 2008

      5 이원조, "탐라지초본 상" 제주교육박물관 3-222, 2007

      6 김우리, "조선후기 제주 지역 서적 간행 연구" 제주대학교 2018

      7 김동전, "조선후기 제주 대정현 향리층의 신분변동" 28 (28): 217-243, 1995

      8 박진철, "조선시대 향리층의 지속성과 변화" 한국학술정보 2007

      9 박훈평, "조선시대 지방 의생 제도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 29 (29): 1-9, 2016

      10 김호, "조선시대 제주의 주변성과 의료" 한국학연구소 (59) : 451-483, 2020

      1 이정현, "한의학고서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25-628, 2019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DB (2021.6.1.)"

      4 이원조, "탐라지초본 하" 제주교육박물관 3-413, 2008

      5 이원조, "탐라지초본 상" 제주교육박물관 3-222, 2007

      6 김우리, "조선후기 제주 지역 서적 간행 연구" 제주대학교 2018

      7 김동전, "조선후기 제주 대정현 향리층의 신분변동" 28 (28): 217-243, 1995

      8 박진철, "조선시대 향리층의 지속성과 변화" 한국학술정보 2007

      9 박훈평, "조선시대 지방 의생 제도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 29 (29): 1-9, 2016

      10 김호, "조선시대 제주의 주변성과 의료" 한국학연구소 (59) : 451-483, 2020

      11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 총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11-604, 2018

      12 박훈평, "조선시대 醫官職 審藥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 28 (28): 59-72, 2015

      13 윤봉택, "제주지방의 조선시대 출판문화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14 김형수, "임란직후 상주 지역질서의 재편과 존애원存愛院" 한국국학진흥원 (30) : 451-484, 2016

      15 강위빙, "역주 혜국지" 퍼플 23-25, 2015

      16 김정화, "여말선초 약초원의 형성 과정과 조경사적 의미 고찰" 한국조경학회 45 (45): 60-70, 2017

      17 이형상, "남환박물" 푸른역사 5-355, 2009

      18 이원조, "국역 탐라계록 제주목관첩" 제주교육박물관 3-414, 2017

      19 유호통, "鄕藥集成方"

      20 이원직, "耽羅志,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1 이원직, "耽羅志"

      22 최항, "經國大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3 유희춘, "眉巖日記"

      24 편자 미상, "濟州郡 光武三年五月日邑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5 "濟州邑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6 "濟州邑誌"

      27 윤봉택, "濟州牧에서 개간된 17세기 冊板 硏究" 한국서지학회 (34) : 251-271, 2006

      28 실록청,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29 김성수, "朝鮮後期 私的 醫療의 성장과 醫業에 대한 인식 전환" 대한의사학회 18 (18): 43-68, 2009

      30 조정준, "新編集成馬醫方, 고려대학교"

      31 이행, "新增東國輿地勝覽, 규장학한국학연구원"

      32 국사편찬위원회, "承政院日記, 국사편찬위원회"

      33 이극중, "大典續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4 오기, "吳子直解 濟州刊本, 원각사"

      35 국사편찬위원회, "全羅監司啓錄, 국사편찬위원회"

      36 정의민, "『신편집성마의방』의 의사학적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37 김우철, "17세기 후반 濟州 束伍軍의 編成 實態≪濟州束伍軍籍簿≫의 분석" 한국사연구회 (132) : 75-108, 2006

      38 김호, "16~17세기 조선의 지방 醫局 운영: 경북 영주의 濟民樓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37) : 391-434,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醫史學會誌 -> 한국의사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37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