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외교안보 정책과 한·러 관계 2030 = Russian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nd South Korea-Russia Relations until 2030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0년 9월 한국과 러시아는 수교 30주년을 맞게 된다. 탈냉전기 한국은 북방외교를 통해 소련 및 중공과 수교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외교·안보적 우위를 확보하게 되었고, 이같은 외교 네트워...

      2020년 9월 한국과 러시아는 수교 30주년을 맞게 된다. 탈냉전기 한국은 북방외교를 통해 소련 및 중공과 수교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외교·안보적 우위를 확보하게 되었고, 이같은 외교 네트워크의 비대칭성은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 관계를 규정하는 중요 조건이 되었다. 하지만 어떤 조건 하에서 이같은 외교 네트워크의 비대칭성이 한국의 외교의 자산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 미-중 전략경쟁의 심화 과정에서 그것이 어떤 기회와 제약이 될 것인지, 왜 한국의 북방정책은 반쪽짜리 성과로 위축되었는지,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탐구는 부족해 보인다. 이런 견지에서 동북아 내 러시아의 위상과 ‘전략적 행위자’로서의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지구적 및 동북아 지역적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한·러 관계를 검토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는 한·러 관계를 규정하는 동북아 지역정치의 구도 속에서 러시아의 전략적 효용을 평가해 보고, 미래 한·러 관계의 발전 가능성을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2030년경 한·러 관계를 전망하며 제기되는 중요 질문은 “러시아의 동북아·한반도 정책이 미국의 동북아 전략에 있어서 자산이 될 수 있는가”이다.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무시, 전략적 상호작용의 부분적 회복, 전면적 전략협력의 추진 등의 옵션을 가지는 미국이 협력의 카드를 뽑아 들게 될 경우 러시아가 이를 받아 지역정치 구도에서 자신의 전략적 위상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할 가능성은 높다. 따라서 한국의 대러 정책 구상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으로는 경제위축의 출구로 신(新)북방경제협력의 추진, 동북아 소다자주의를 통한 실질 협력 활성화,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모색에서 러시아의 건설적 역할 유도 등이다. 2030년 이후 전망과 관련 한국의 대러외교의 중심적 지향점은 러시아가 동북아에서 진영논리에 빠져 남방 대 북방의 대립구도를 형성하는 존재가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북아에서 양국이 추동할 수 있는 소다자 및 다자 지역협력을 촉진해 나갈 전략협력 관계를 강화해 나가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ear 2020 will b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OK-Russia diplomatic relationship. In the turbulent period after the Cold War,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Soviet Union and China, and took an advantageous positi...

      The year 2020 will b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ROK-Russia diplomatic relationship. In the turbulent period after the Cold War,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Soviet Union and China, and took an advantageous position toward North Korea in diplomatic and security issues. This “asymmetry of diplomatic networks” between North and South has been a critical fea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mportant questions such as under what conditions this asymmetry can serve as a diplomatic asset for South Korea, how it might work during growing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why South Korea’s Northern Policies were only half successful, and what can ensure further success,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however. It is important to examine critically the status of Russia and its potential as a “strategic player” in Northeast Asia, and to review ROK-Russia relations in the context of regional and global politics. This article aims to evaluate the strategic value of Russia in the region and to investigate constructive forms of ROK-Russia strategic cooperation in the regional context. An important question when analyzing ROK-Russia relations until 2030 is whether Russia s policy toward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can be an asset in the US strategy for Northeast Asia. I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the options of ignoring Russia, partially engaging in strategic interactions, or promoting full-scale strategic cooperation, decides to cooperate, Russia will likely accept that choice and can strengthen its strategic position in the region. South Korea should consider ways to promote new northern economic cooperation, to pursue practical cooperation in the framework of subregionalism, and to induce Russia’s constructive role in establishing a peace and security cooperat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ain direction of South Korean diplomacy in relations with Russian until 2030 should be to prevent Russia from being a player in a Northern triangle against a Southern triangle and to establish strategic partnerships with Russia to build regional coope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러시아 외교·안보 전략 - 외교지향성 변화 궤적과 공세적 방어 전략의 수립 Ⅲ. 동북아 지역정치와 러시아 Ⅳ. 한·러 관계 2030 전망과 과제 Ⅴ. 요약과 정책 제언
      • Ⅰ. 머리말 Ⅱ. 러시아 외교·안보 전략 - 외교지향성 변화 궤적과 공세적 방어 전략의 수립 Ⅲ. 동북아 지역정치와 러시아 Ⅳ. 한·러 관계 2030 전망과 과제 Ⅴ. 요약과 정책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범식, "현대외교정책론" 명인문화사 2016

      2 신범식, "한러 관계의 새 지평" 한러대화 2018

      3 외교부 유라시아과, "한-러시아 외교장관회담 개최 결과"

      4 "푸틴-아베 회담…“북방영토서 특별제도로 공동경제활동 논의”(종합)" 연합뉴스

      5 서동주, "푸틴 집권 4기 러시아의 동북아‧한반도 정책과 한‧러 외교‧경협의 과제" 러시아연구소 28 (28): 111-140, 2018

      6 신범식, "푸틴 3기 러시아의 한반도정책: 변화하는 동북아에서의 적극적 역할 모색" 극동문제연구소 29 (29): 123-161, 2013

      7 신범식,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협상전략 비교" 아태지역연구센터 39 (39): 153-190, 2015

      8 신범식, "러시아 신(新)동방정책과 동북아 지역정치: 지역 세력망구도 변화와 러시아의 가능성 및 한계" EAI 2014

      9 "러 장관 ‘나진-하산 프로젝트’ 대북 제재 영향 안 받을 것" 연합뉴스

      10 노지원, "러 군용기 오전 9시 두 차례 영공 침범 우리군 “접근 말라” 3백여 발 경고 사격" 한겨레

      1 신범식, "현대외교정책론" 명인문화사 2016

      2 신범식, "한러 관계의 새 지평" 한러대화 2018

      3 외교부 유라시아과, "한-러시아 외교장관회담 개최 결과"

      4 "푸틴-아베 회담…“북방영토서 특별제도로 공동경제활동 논의”(종합)" 연합뉴스

      5 서동주, "푸틴 집권 4기 러시아의 동북아‧한반도 정책과 한‧러 외교‧경협의 과제" 러시아연구소 28 (28): 111-140, 2018

      6 신범식, "푸틴 3기 러시아의 한반도정책: 변화하는 동북아에서의 적극적 역할 모색" 극동문제연구소 29 (29): 123-161, 2013

      7 신범식,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협상전략 비교" 아태지역연구센터 39 (39): 153-190, 2015

      8 신범식, "러시아 신(新)동방정책과 동북아 지역정치: 지역 세력망구도 변화와 러시아의 가능성 및 한계" EAI 2014

      9 "러 장관 ‘나진-하산 프로젝트’ 대북 제재 영향 안 받을 것" 연합뉴스

      10 노지원, "러 군용기 오전 9시 두 차례 영공 침범 우리군 “접근 말라” 3백여 발 경고 사격" 한겨레

      11 알렉세이 롯산, "동방경제포럼의 주요 성과" Russia Beyond

      12 우준모, "“신북방정책” 비전의 국제관계이론적 맥락과 러시아 신동방정책과의 접점" 국제지역연구센터 21 (21): 105-130, 2018

      13 Mearsheimer, John J., "Why the Ukraine Crisis Is the West’s Fault"

      14 Chong, Terence Tai Leung, "Understanding the China–US trade war: causes, economic impact, and the worst-case scenario" 7 : 2019

      15 "US may escalate trade war in six ways" Global Times

      16 Marson, Jame, "U.S., NATO Moves in Baltics Raise Russian Fears" The Wall Street Journal

      17 Brown, Pamela, "Trump privately clashed with G7 leaders over reinviting Putin" CNN

      18 Karaganov, Sergei, "Toward the Great Ocean, or the New Globalization of Russia" Valdai Discussion Club 2012

      19 Chapnick, Adam, "The middle power" 7 (7): 1999

      20 Jordaan, Eduard, "The concept of a middle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distinguishing between emerging and traditional middle powers" 30 : 2003

      21 Gill, Indermit S., "The Middle-Income Trap Turns Ten" World Bank 2014

      22 Guillemette, Y., "The Long View: Scenarios for the World Economy to 2060" OECD Publishing 2018

      23 "Russia’s trade with China surges to more than $107 billion" Russia Today

      24 신범식, "Russia’s Place in the Changing Strategic Triangle in the Post-Cold War Northeast Asia: From an Outcast to a Strategic Player?" 국제학연구소 22 (22): 109-134, 2015

      25 Diesen, Glen., "Russia’s Geoeconomic Strategy for a Greater Eurasia" Routledge 2018

      26 Tsygankov, Andrei., "Russia’s Foreign Policy: Change and Continuity in National Identity" Rowman & Littlefield 2016

      27 Power, John, "Russia: Korean THAAD Deployment Is a Security Threat" The Diplomat

      28 RIAC, "Russia-Japan Relations : New Stage of Development" 2019

      29 "Russia war games: Biggest since Cold War ‘justified’" BBC

      30 "Russia interested in reviving dialogue with EU — Kremlin" TASS

      31 Sanger, David E.,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Reach New Agreement on Syria Conflict" The New York Times

      32 Dellmany, Daniel, "Russia and China conduct massive joint military exercises" Euronews

      33 "Russia Moves Toward Military Cooperation Deal With China" The Moscow Times

      34 Daiss, Tim, "Russia Could Take Hold Of China’s Entire Gas Market" Oil price

      35 "Renaissance in relations: Russia, Europe riding on revitalized ties, says economy minister" TASS

      36 "Putin says hopes for successful pairing of EAEU and China’s One Belt One Road project" TASS

      37 Benac, Nancy, "Mueller reveals Trump’s attempts to choke off Russia probe"

      38 "Kaliningrad: New Russian missile deployment angers Nato" BBC

      39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Russia, "Foreign Policy Concept of the Russian Federation"

      40 President of Russia, "First Eastern Economic Forum"

      41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Union, Trade in goods with Russia"

      42 President of Russia, "Eastern Economic Forum"

      43 강유덕, "EU의 對러시아 경제제재와 이후 EU-러시아 무역관계의 변화 -對러시아 에너지 수입을 중심으로" 국제지역문화원 8 (8): 87-130, 2017

      44 "EU’s Tusk sees even more reasons to keep Russia out of G7" Reuters

      45 Stronski, Paul, "Cooperation and Competition – Russia and China in Central Asia,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Arctic"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8

      46 Morrison, Wayne M., "China-U.S. Trade Issue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47 Fabio Indeo., "Central Asia Beyond 2014: Building Regional Security Architecture" ISPI 2014

      48 "Center-2019: 128,000 troops participate in massive Russia, China & India drill" Russia Today

      49 Putz, Catherine, "Can Russia and China ‘Synergize’ the Eurasian Economic Union an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Diplomat

      50 Congressional Budget Office, "CBO’s Projections of Federal Receipts and Expenditures in the National Income and Product Accounts" 2018

      51 Transneft, "Annual Report 2017"

      52 Gill, Indermit, "An East Asian Renaissance: Ideas for Economic Growth" World Bank 2007

      53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Address by Prime Minister Shinzo Abe at the 3rd Eastern Economic Foru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신아세아질서연구회 -> 신아시아연구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신아세아
      외국어명 : NEW ASIA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4 1.035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